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진핑 시대 종교의 중국화 - 맥락과 해석 -

        김우선(Denis Woo-seon KIM) 한국종교학회 2020 宗敎硏究 Vol.80 No.3

        This paper argues that the sinicization of religion by Xi’s regime is not only a response to the 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the religious landscape in China, but also aims at strengthening China’s soft power for the Xi’s new era. Modernization in the post-Mao era has resulted in successful development, but it has unintentionally led to the explosive growth of unauthorized Protestant churches. In response, by sinicizing religion, the party-state tries to regulate religions and thereby asserts its hegemony on the sacred, that is, its authority over religions. The new policy of sinicizing religion shares the regulation of religion in common with the conventional policy of ‘religion compatible with socialism.’ However, the new policy differs from the old in that it attempts to promote China’s soft power by elevating ‘Chinese’ religions and cultures. Finally, this paper sees negatively the prospects that the sinicization of religion from above can adequately respond to the problems of meaning engendered by China’s compressed modernization.

      • KCI우수등재

        내부로부터의 세계화?

        이가영(Gayoung Lee ),김우선(Denis Woo-Seon Kim)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6

        이 글은 국제자원활동이 참여 청년들에게 끼친 재(탈)영토화된 삶과 정체성의 변화를 연구한다. 청년들의 국제자원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는 참여자의 동기나 만족도,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집중되어 있기에, 활동으로 말미암은 정체성의 변화는 기존 연구가 간과하고 있는 주제이다. 국제자원활동은 한국과 소임 국가를 가로지르고 연결하는 초국적 사회적 장에서 전개되기에, 이들은 외국으로의 이주와 활동과 귀환을 통해서 문화 혼종과 탈영토화/재영토화를 체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자원활동 후 귀환한 청년들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그들의 재영토화과정을 한국형, 현지형, 세계시민형, 유목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논의는 귀환 청년들이 갖는 정체성의 다양한 유형을 보임으로써, 동질적인 한국적 정체성의 유지라는 가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내부로부터 진행되는 주관적 세계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The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the young Korean volunteers’ experience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upon their identity formation. Their experience entails not only the departure from and the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but also the life and work in the transnational field. Hence, they have to face cultural hybridization and de(re)-territorialization. This article explores how this experience influences upon the identity formation and thereby identifies the four different paths of returnees’ identity as ‘Korean,’ ‘the assigned country,’ ‘cosmopolitan’ and ‘nomad’ identity. This finding challenges the assumption of a continuity of a homogeneous Korean identity and calls for attention to the gsubjective globalization of Korean society from with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