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90년 이후 영국 커뮤니티 케어 변화의 궤적 읽기: 이용자 선택과 제도 지속가능의 쟁점을 중심으로

        김용득 ( Kim Yong Deu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영국 커뮤니티 케어의 1990년 도입부터 지금까지의 긴 시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변화의 총체적 이해를 위하여 제도변화에서 드러나는 두 가지 측면의 긴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이용자 선택이라는 지향과 공급자 경쟁으로 인한 부정적 측면 사이의 긴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용자 선택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서비스 현금지급제도와 개인예산제도, 공급 측면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지역 파트너십과 서비스 품질관리 제도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욕구증가와 재정압박의 환경에 대응해 가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서는 예방과 재활 목적의 단기회복 서비스 도입, 서비스 이용자격 기준 변화, 자산접근과 비공식 돌봄 강조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비스 선택제도가 가지는 양면성이 경합하는 장기간의 굴곡은 일차적으로 개인화 전략으로 귀결되면서 계속 누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재정 압박의 환경에서 자산접근과 비공식 돌봄에 대한 강조가 개인화 전략에 추가적으로 투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community care in the UK since it was introduced in 1990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Korea. For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change, we looked at the tensions in two aspects of the system. First, we looked at the tension between the individualist element of user choice and the public element of partnership and quality of services to address the negative aspects of competition that appear behind the choice.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direct-payment scheme, partnership and service quality control, and the personal budget system. Second,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system that is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of increasing needs and financial pressures. In this regard, we focused on the Re-ablement services introduced for prevention and recovery, changes in service eligibility standards, and emphasis on asset approach and informal care. The user choice system and the process of addressing the supply side instability behind it appear to be reflected b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personalisation policy, and the emphasis on asset approach and informal care in the environment of financial pressure appears to be being further reflected in the personalisation policy.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의 자산접근 실천 가능성 탐색 :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단계적 적용

        김용득(Kim, Yong Deug),성명진(Sung, Myung Jin),황인매(Hwang, In Mae)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장애인복지관에서 지역사회 중심은 중요한 접근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이에 더하여 사람중심의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두 접근을 자산기반 접근으로 통합해 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3차에 걸쳐 단계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차에는 지역사회중심과 사람중심 접근의 실천 상황 진단, 2차는 자산기반접근 실천의 가능성 탐색, 3차는 자산기반접근 실천의 적용을 통해 드러나는 성과와 문제점을 다루었다.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은 기존의 재활 서비스, 지역사회중심 접근, 사람중심 실천 등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복지관의 자산기반접근 도입은 사람들과의 관계와 실제 삶 중심의 서비스가 강화됨으로써 현장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분절된 업무구조, 새로운 실천방식 도입에서 오는 부담감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Community-centeredness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approach in the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and in addition, person-centered practice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tegrating the two approaches practic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eople into asset-based approaches. To this e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The first one diagnosed the practice of community-centered and person-centered approaches, the seco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an asset-based approach, and the third dealt with the outcomes and problems revealed by the application of an asset-based approach.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re experiencing confusion and difficulties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which is a mixture of rehabilitation services, community-centered approach, and person-centered practice. In this situation, the introduction of asset-based approach by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eople was evaluated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 field by strengthen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real life-oriented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burden caused by the divisional work environment and the introduction of new practices was expre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탈시설과 지역사회중심 복지서비스 구축, 어떻게 할 것인가?: 자립과 상호의존을 융합하는 커뮤니티 케어

        김용득 ( Kim Yong Deu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최근 정부는 취약계층의 돌봄 체계를 커뮤니티 케어로 전환한다고 선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커뮤니티 케어 정책이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하며, 어떤 내용을 실행해야 하는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커뮤니티 케어는 서구에서 지향해 온 슬로건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시설에 살지 않고 지역사회 일반적인 환경에서 살도록 하자는 정책이며, 동시에 지역사회 주민들이 취약한 사람과 어울려 사는 좋은 지역사회를 만들자는 의미도 가진다.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대형시설에 살고 있어 삶의 장소를 지역사회로 옮기는 탈시설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공동체를 만드는 과업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커뮤니티 케어 정책이 다음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시설에 사는 사람들의 지역사회 이주를 도우면서, 보통 사람들의 삶의 공간과 유사하게 거주시설을 혁신하고, 공유생활이나 지원주택과 같은 다양한 모델을 개발한다. 둘째, 가정지원 서비스, 통소형 서비스, 특별한 욕구에 대응하는 서비스 등 지역사회서비스를 확충한다. 셋째, 서비스 진입체계를 정비하고,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한다. 넷째,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협력관계를 만들고, 취약한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지역사회 역량을 개발하고, 캠프힐과 같은 대안 공동체를 지원한다. Recently,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ill change the care system for the socially vulnerable to community ca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s and contents that community care policy should aim for. In the western society, community care is a long-standing slogan that aims to encourage vulnerable people to live in a community environment rather than separate institution. It also means creating a good community where neighbors live well with vulnerable people. In Korea, many people still live in large institutions, so we need to carry out deinstitutionalization. And th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hould be expanded. It is also important to increase interdependence of community members. This study suggests that community care policy should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we must help people move from institutions to the community, and also develop diverse residential service models similar to ordinary people's living condition. Second, local community services should be expanded, such as home help services, day services, and services that meet specific needs. Third, the servic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services should be easily accessible and well connected. Fourth, we need to create a good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users and providers, develop community capacity to get along with vulnerable people, and create alternative communities such as Camp Hill Village.

      • KCI등재

        자침시(刺鍼時) 탄침(彈鍼)의 수기자극(手技刺戟)이 전위변화(電位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용득 ( Yong Deug Kim ),김영태 ( Young Tae Kim ),박성섭 ( Sung Sub Park ),박귀종 ( Gwi Jong Park ),손인철 ( In Cheul Sohn ),김경식 ( Kyung Sik Kim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1 No.4

        Objectives: To understanding biological mechanism of acupuncture therapy, we have proposed a hypothesis. First of all, there exists electric property in meridian and meridian point. Second of all, energy flowing in meridian is related with electric property. Third of all, there is electronic interaction between the operator who performs acupuncture therapy and the receiver who is given acupuncture therapy. Forth of all, acupuncture effects may depend on the electric capacity which is transferred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receiver via acupuncture needle. Methods: Under the hypothesis, we studied the effects of electric charge in ST37(+) and ST39(-) generated by Tanchim (彈鍼) manipulation which was stimulated at ST36 point. And compared with data on the changes of electric charge from the hand of the operator during acupuncture stimulation. Electric charge induced via acupuncture needle from the operator may be important factor that causes the changes of electric charge in meridian and acupoint in the receiver.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electric charge induced by the operator using Maclab 400 by the following methods. The one was in stable electric circle condition and the other was in unstable electric circle condition. Results: In this experiments, the changes of electric charge from the stimulation type of Tanchim manipulation performed in our lab condition in acupuncture therapy was induced at least three factor, one was the difference of bio-potentials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receiver of acupuncture therapy, another was the depth of acupuncture insertion from the skin of the receiver, the otter was an electromyogram of the receiver. Conclusion: The data imply that the first factor should make a capacitance current when the operator touched the acupuncture needle which was inserted in the receiver.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capacitance currents stimulus in electronic view may be important factor in acupuncture therapy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receiver of acupuncture therapy.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거주시설 유형별 자기결정 경험 연구

        김용득(Kim Yong-Deug),박숙경(Park Suk-K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4

        본 연구는 자기결정경험을 중심으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유형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생활시설, 그룹홈, 자립홈 3개 유형의 거주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9인의 지적장애인이 경험한 17개의 시설거주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유형별로 자기결정 경험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립홈, 그룹홈, 생활시설 순으로 자기결정이 보장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탈 시설요구를 적극 수용하고 자기결정 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거주시설 정책 개혁이 필요하며, 서비스 평가시 이용자의 주관적 경험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지적장애인에 대한 연구와 관련해서는 대화분석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풍부하게 드러내는 연구들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ifferences on self-determin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livings in the different types of residential homes: large institutions, small group homes and independent living home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17 living experiences, which came from interviews on 9 research participants lived in residential homes. Some of 9 research participants had experience living in only one type of residential homes; others had experiences living in two or three types of residential hom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e different levels of self-determin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each types of residential homes. In terms of degree of self-determination, its level in the small group homes are higher than large institutions; independent living homes are higher than the small group homes. By this finding, this paper raised the need for the policy changes on residential home for the disabled people to accelerate deinstitutionalization and make sure higher level of self-determination of disabled people. This study suggested other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search on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Firstly, evaluative researches on service provisions to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should reflect subjective experiences of service users. Secondly, diverse researches focusing on subjective experiences should be tried to expand understanding on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these studies, conversation analysis could be widely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