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외 , 실내 ( 아파트 ) 및 지하상가 공기중 진균 포자 분포에 관한 조사 - 1995 년 하절기 ( 6 , 7 , 8 월 )

        김용관(Yong Kwan Kim),김규언(Kyu Earn Kim),이현희(Hyun Hee Lee),박경화(Kyoung Hwa Park),이영진(Young Jin Lee),이기영(Ki Yo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실외 공기 중 진균 포자의 분포에 관한 보고는 있었으나 실내 및 지하상가 공기중의 포자 분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고, 실내외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진균의 항원성을 연구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의 진균 분포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방법 : 1995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하절기 3개월 동안 실외(영동세브란스병원), 실내(여의도 소재 아파트) 및 지하상가(강남역) 각각의 장소에서 1주일에 3회씩 Buckard Personal Volumetric Air Sampler를 사용하여 실리콘 기름(silicone grease)을 바른 현미경용 슬라이드 위에 시료를 5분 동안(10L of air/min) 채집한 뒤에 현미경하에서 포자의 종류와 수를 확인한 뒤에 이를 공기 입방 미터당 포자수(spores/㎥ of air)로 환산하여 포자의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실외에서 채집된 포자수는 6월에 가장 많았으며(1,903 sp/㎥), 그 평균 포자수는 1,843 sp/㎥이었다. 이들 포자를 종류별로 분석해 보면 Cladosprium (927 sp/㎥), Leptospira (190 sp/㎥), Drechslera (132 sp/㎥) 둥의 순으로 분포도가 높았다. 2. 실내(아파트)에서 채집된 포자수는 7월에 가장 많았으며(647 sp/㎥), 그 평균 포자수는 592 sp/㎥이었다. 이들 포자를 종류별로 분석해 보면 Cladosprium (313 sp/㎥), Leptospira (51 sp/㎥), Drechslera (29 sp/㎥) 둥의 순으로 분포도가 높았다. 3. 지하상가에서 채집된 포자수는 8월에 가장 많았으며(1,021 sp/㎥) , 그 평균 포자수는 851 sp/㎥ 이었다. 이들 포자를 종류별로 분석해 보면 Cladosprium (388 sp/㎥). Leptospira (88 sp/㎥), Drechslera (70 sp/㎥) 둥의 순으로 분포도가 높았다. 4. 실외에 분포하고 있던 포자의 수는 실내 및 지하상가의 포자수보다 약 2∼3배 정도 높았고 실외와 실내 포자수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실외와 지하상가 포자수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실외, 실내 및 지하상가의 포자수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하절기 동안 채집된 포자의 수는 실외에서 가장 많았으나, 포자의 종류는 장소에 관계없이 Cladosporium, Leptospira 및 Dtechslera의 순으로 분포도가 높았다. 따라서 생활 주변에 많이 분포하고 이들 포자의 항원성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진균 포자 분포에 대한 전국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number of fungus spores in the air is greater compared to pollen and also is less influenced by seasonal variation. As the first step in the study of the allergenicity of fungus,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of fungus spores in the air of outdoors, indoors and underground markets during summer(June, July and August, 1995). We collected spores on the slide glass coated with grease by using the Burkard Personal Volumetric Air Sampler. The frequency of collection was three times per week for five minutes(10L of air/min). Then we counted the number of fungus spores under the light microscope and identified them according to the atlas for sp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number of spores during June, July and August were 1903sp/㎥, 1731sp/㎥, and 1894sp/㎥ in outdoors, 533sp/㎥, 647sp/㎥, and 595p/㎥ in indoors, and 646sp/㎥, 886sp/㎥, 1021sp/㎥ in underground markets, respectively. 2. The most common species of spores in outdoors were the Cladosporium(927sp/㎥), Leptospira(190sp/㎥), and Drechslera (132sp/㎥) . These were also the most common spores in indoors and underground markets. 3. Although the number of spores in indoors was closely related with that in outdoor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underground markets and outdoors in the number of spores. 4. The number of spores in outdoors, indoors and underground markets were related to the relative humidity. In conclusion. Cladosporium, Leptospira, and Drechslera were the most common spores in outdoors, indoors and underground markets during summer.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allergenicity of these spores.

      • KCI등재
      • 소아에서 흉막유출 ( pleural effusion ) 에 관한 연구 - 연령에 따른 원인 질환을 중심으로 -

        김용관(Yong Kwan Kim),이영진(Young Jin Lee),김규언(Kyu Earn Kim),이기영(Ki Yo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1

        N/A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tiologic disease for the treatment of pleural effusion, because pleural effusion is secondary phenomenon of various diseases as well as respiratory diseases. We star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etiologic disease of pleural effus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period and apply the results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pleural effusion.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112 patients in admission to the general hospital of medical college of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4, because of pleural effusion. We estimated the etiologic disease by clinical findings, radiologic findings, serologic laboratory findings as well as thoracic fluid findings. Then we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the etiologic diseases of pleural effus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13 cases in infancy period (11.6%), 45 cases in preschool period (40.2%), 35 cases in school period (31.2%), 19 cases in puberty period (17.0%). 61 cases were male, and 51 cases were female. 2) In the etiologic diseases of pleural effusion, pleural effusion developed due to mycoplasmal pneumonia in 44 cases(39.3%), pneumonias other than mycoplasmal pneumonia in 31 cases (27.7%), pulmonary tuberculosis in 19 cases(17.0%), and tumors in 8 cases(7.1%). 3) The pleural effusion was located in right lung in 47 cases (41.9%), left lung in 44 cases (39,3%), and both lungs in 21 cases (18.8%). 4) In cases with pleural effusion due to mycoplasmal pneumonia, the titers of antimycoplasmal antibody were 1:80 in 14 cases (31.8%), 1:160 to 1:320 in 8 cases (18.2%), 1:640 to 1:1,280 in 19 cases (43.2%), above 1:2,560 in 3 cases (6.8%). 5) The most common etiologic disease was pneumonia other than mycoplasmal pneumonia in infancy (38.5%), mycoplasmal pneumonia in preschool(42.2%) and school period(51.4%). But it was pulmonary tuberculosis in puberty period (42.1%).

      • 소아 아토피성 천식에서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 사이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고찰

        이영진(Young Jin Lee),김용관(Young Kwan Kim),강혜영(Hye Youn Kang),김규언(Kyu Earn Kim),이기영(Ki Yo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원인 회피가 용이하지 않은 항원에 의한 아토피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 여러 지표 중 혈청 총 IgE치와 알레르기피부시험 반응 정도, 면역치료에 사용된 항원의 수, 기관지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결막염 둥의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 여부 및 이들 알레르기 질환의 중증도, 운동유발성천식의 동반 여부등이 알레르기 면역요법의 유효성 여부를 미리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기관지천식으로 면역요법을 받았던 환아들 중에서 기관지천식의 추정 진단 하에 시행한 혈청 총 IgE가 증가되어 있거나 알레르기피부시험상 한가지 이상의 항원에 대하여 양성으로 18개월 이상의 면역요법 결과 추적 평가에서 임상 증상의 90%이상이 소실되었다고 한 33명을 대상군(effective group)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연령과 성별이 같으면서 면역요법의 효과가 없었던 33명을 대조군(ineffective group)으로 하여 이들 유효군과 무효군 총 66명에서의 총호산구수, 혈청 IgE치, 피부반응 검사상 양성인 항원수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1) 기관지천식만 있었던 경우는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15.2%. 무효군 9.1%였고, 기관지천식과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었던 경우는 유효군에서 39.4%, 무효군에서 36.4%였으며 기관지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이 같이 있었던 경우는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에서 각각 42.4%, 54.5%로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에서 아토피의 가족력, 운동유발성천식이나 아토피 피부염의 동반 유무 등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3) 면멱요법 시행전 혈청 총 IgE치는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515±381 IU/ml, 무효군에서 382±318 IU/ml 로 두 군사이 에 유의 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없다. 또한 면역요법 시행전 총 호산구수치도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500±354/㎣, 무효군에서 626±422/㎣로 역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4) 알레르기피부시험상 양성인 항원의 수가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3.7개, 무효군에서는 4.5개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주요 항원의 알레르기 시험상 양성율은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면역요법에 사용한 항원의 수는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2.2개, 무효군에서 2.8개로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2). 결론 : 가능한한 면역요법에 사용하는 항원의 수를 적게하는 것이 면역여요법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we evaluated the various allergic indices, such as serum total Ige, total eosinopil count, allergy skin test response, number of antigens used for immunotherapy between each 33 patients with atopic disease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with atopic disease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immunotherapy group. 1) There was no predictive value for the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in the pretherapy severity of allergic diseases before treatiment. 2) The level of pre-immunotherapy serum IgE and total eosinophil count were not rel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llergen included in the immunotherapy. : 2.2±0.5 in effective group, 2.8±1.4 in ineffective group It is suggested that as possible as small numbers of allergen should be included for the more effective immunotherapy.

      • KCI등재

        알쯔하이머 질환의 분자신경생물학적 소견

        김영훈(Young-Hoon Kim),이정구(Chung-Goo Rhee),김용관(Yong-Kwan Kim),김성수(Sung-Soo Kim)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8 노인정신의학 Vol.2 No.1

        알쯔하이머 질환은 heterogenous disorder이다. 가족성 혹은 비가족성 알쯔하이머 질환의 원인이 되거나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유전인자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염색체 21번의 APP 유전자 돌연변이는 NP의 핵심물질인 Aβ42를 양산하고, 염색체 19번에 위치한 위험인자 Apo-E e4 allele는 Aβ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해 Aβ40의 축적이 일어나며, 염색체 14번과 1번의 presenilin 돌연변이는 역시 섬유화 성향(fibrillogenic)이 높은 Aβ42, 43를 생산하여, 결과적으로 이들 모두 NP에 Aβ가 침착되는 것을 촉진한다(Table 4). Aβ의 침착이나, PHFtau로 형성된 NFT는 신경세포를 죽이고, 환자를 치매에 이르게 하는 최종공통경로(final common pathway)로 생각된다. 그러나 알쯔하이머 질환의 신경병리기전은 현재 그 일부만이 겨우 밝혀져 있을 뿐이다. 이 분야는 현재 뇌의 노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 중첩되는 분야로서, 기초과학적 욕구뿐만 아니라 사회의학적 관심도 고조되어 있어, 현재 어느 분야보다도 더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Alzheimer's disease (AD), the most common dementia in the elderly, is associated with a characteristic neuropathology:extracellular neuritic plaques (NPs) and intraneuronal neurofibrillary tangles (NFTs). AD is diagnosed clinically on the basis of progressive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the diagnosis of AD is only reliable if 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t autopsy shows high numbers of NPs and NFTs particularly in the hippocampus and cerebral cortex. The major component of NP is β-amyloid protein (Aβ), a fragment of the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NFTs are largely composed of paired helical filaments (PHFs) containing abnormally phospholylated form of the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MAP), tau. A genetic etiology for AD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population survey. It is revealed that 25-40% of the AD patients are familial and the disease is inherited as an autosomal-dominant trait in most families. Age at onset patterns of AD patients in affected families had indicated that its distribution is bimodal with a cut-off age 58 years. Several mutations in the APP gene, located on chromosome 21, are linked to early-onset AD (EOAD). However, these account for only a small fraction of cases of EOAD. The remaining cases are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two other genes:one on chromosome 14 that encodes S182 (presenilin 1) and the other on chromosome 1 that encodes STM2 (presenilin 2). It is also known that inheritance of specific apolipoprotein E (apoE) alleles, located on chromosome 19, determines the risk and mean age of onset of late-onset AD (LOAD). In this review, we will briefly discuss the biology and hypothetical mechanisms of Aβ, presenilins, apoE and tau protein, thos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AD.

      • Bronchial cast 1 례

        김정한(Chung Han Kim),김상정(Sang Jung Kim),김용관(Yong Kwan Kim),이영진(Young Jin Lee),김규언(Kyu Earn Kim),이기영(Ki Yo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The bronchial cast formation is a rare phenomenon which occurs exceptionally in association with pneumonia, asthma, mucoviscidosis, bronchial mucoid impaction, alveolar proteinosis, and bronchiectasis. Such diseases can produce severe obstructive conditions with excessive mucous and mucopurulent secretions in the bronchi and alveoli leading to formation of variable size of cast,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child with bronchial cast and subsequent atelectasis who was treated with flexible bronchofiberscope to remove it.

      • KCI등재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연조직 손상에 관한 임상적 연구

        유준영,김용관,배준수,장현석,You, Jun-Young,Kim, Yong-Kwan,Bae, June-soo,Chang, Hyun-Seo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199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19 No.4

        The soft tissue injuries of Oral & Maxillofacial region include abrasion, contusion, simple laceration, laceration of skin with underlying tissue, soft tissue injuries combined with facial bone fracture and involving functional structures such as facial nerve and vessel, orbit, lacrimal duct and salivary gland and so 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ge range was 1 to 97, and the highest incidence occured in the 3rd decade(23.4%), followed by the 1st decade(20.2%), 4th decade(18.1%), 4th decade(18.1), and 5th decade(14.3%) 2. The sexual ration was 4 : 1(M : F). 3. The most common cause of facial laceration was a accident(54.5), followed by blow(17.8%), traffic accident(15.9%) and unknown(10.8%). 4.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site of injury was a forehead(24), followed by oral cavity(16.9%), lip(15%), eyebrow(14.5%), cheek(14%), chin(11.8%), nose(2%), scalp(1.4%) and neck(0.9%). 5. Most of wound size was less than 3cm in length. 6. 28 patients suffered facial bone fracture, representing 7%. 7. The major complications following facial laceration were infection and facial paralysis caused by facial nerve injuries, representing 4.5% and 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