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동성제약을 고려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 분석

        정용승 ( Yongseung Jung ),김영일 ( Youngil Kim ),김광환(논평),이항용(논평)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19 韓國經濟의 分析 Vol.25 No.2

        본 연구는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성제약에 따른 가구별 소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의 2 경제주체모형을 설정하여 경기변동 관점에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을 살펴보았다. 2000~2016년 기간의 노동패널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유동성자산이 부족한 유동성제약 가구의 비중(20~40%)이 적지 않으며, 이들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추정되었다. 특히 경기하강기에는 유동성제약이 큰 가구의 소비증가율이 비제약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또한 노동패널을 이용해 분석한 우리나라의 유동성제약 가구와 비제약 가구간 소비 갭은 2000년대 이후에 경기역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유동성제약 가구의 소비행태가 우리 경제의 소비 변동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DSGE모형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기존 케인지언들이 강조하는 Keynesian cross 함수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변형된 2 경제주체모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비 변동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항구적 기술충격을 도입한 대표적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과 2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 모두 빈도공간(frequency domain)에서 표현한 소비증가율의 스펙트럼은 실제자료에서 나타나는 소비증가율의 ‘L’자형 특징을 설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Watson (1993)의 RMSAE측면에서는 유동성 제약을 도입한 2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이 대표적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보다는 다소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시경제모형의 개선과 더불어 경기대응정책 및 경제의 복원력(resilience) 강화를 위해 가계부문의 유동성제약이 갖는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consumption by liquidity constraints using KLIPS data, and builds up a simple two-agent economic model to to examine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gap. According to analysis of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00 to 2016, the proportion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liquid assets (20~40%) was sizable while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of these households was estimated to be high. Especially in economic downturns, the consumption growth rate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constrained. In addition, the consumption gap between households with liquidity-constraints and without the constraints showed a counter-cyclical pattern in the sample period. This suggests that consumption behavior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consumption volatility of the economy. Next, we examine the consumption fluctuations of Korea through the two-agent economic mode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SGE model which is modified to incorporate the Keynesian cross function emphasized by the Keynesi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both the representative-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with the persistent technology shock and the two-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could not explain the L-shape characteristic of consumption growth rate data in terms of the spectrum of consumption growth rate expressed in the frequency domain. However, in terms of the RMSAE of Watson (1993), the two-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with liquidity constraints is somewhat superior to the representative-agent small open economy business cycl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iquidity constraints of the household s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acroeconomic models as well a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the economy and macro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 KCI등재

        가계부문 신용사이클이 채무불이행 위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성욱 ( Sungwook Park ),임진 ( Lim Jean ),김영일(논평) 한국금융연구원 2018 韓國經濟의 分析 Vol.24 No.3

        호황기에는 차입자와 금융회사 모두 투자의 수익성과 대출의 상환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이게 되고 금융회사도 자기자본 개선 등으로 대출을 적극 확대하는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대출태도가 관대해진다. 그 결과 사후적으로 보면 채무상환능력이 부족한 차입자에게도 대출이 일어나는 과잉대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용사이클 상의 호황기때 부적격 차입자에 대한 대출이 늘어나면서 대출의 질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2017년까지 신규로 개설된 578.6만 개인대출 계좌의 미시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계좌가 개설된 시기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해당 계좌의 연체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가계대출 증가율이 높았던 시기에 실시된 대출일수록 부실확률이 더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주택담보대출보다는 신용대출이, 은행대출보다는 비은행대출이, 그리고 임금근로자대출보다는 비임금근로자대출이 신용사이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가계대출 부실확률은 경기사이클보다는 신용사이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신용사이클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경기사이클이 대출의 부실확률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거시건전성 정책인 동태적 대손충당금이나 경기대응완충자본이 경기사이클보다는 신용사이클에 따라 적립되는 것이 금융안정에 더욱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동태적 대손충당금이나 경기대응완충자본도 가계대출의 종류에 따라 적립규모를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주택담보대출 증가분보다는 신용대출 증가분에 대손충당금을 더 많이 적립하는 것이 금융안정에 더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boom, financial companies are far more lenient on lending in compliance with their loan expansion policy.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equity of financial companies improves, but both borrowers and financial companies come to enjoy optimistic views on investment profitability and loan redemption. Consequently, financial companies give out loans even to borrowers with poor debt service ability. These loans granted to ineligible borrowers during the credit cycle boom are excessive loans, in hindsight,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oans as a whol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growth rate of household deb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delinquency rate by using the micro information of 5.786 million accounts newly opened during 2010 to 2017.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the growth rate of household debt in a certain period, the higher the insolvency rate of loans made in the corresponding term.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credit loans than mortgage loans, non-bank loans than bank loans, and non-wage workers’ loans than wage workers’ loans are more sensitive to credit cycles.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insolvency is more affected by the credit cycle than economic cycl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little effect of economic cycle on insolvency when credit cycle is controll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ynamic loan loss provisions and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CCyB), the two most typical macroprudential policies, should be accumulated in line with the credit cycle rather than economic cycle for a more direct impact on financial stabilit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amount of the dynamic loan loss provisions and CCyB depending on the type of loan. That is, for instance, more loan loss provisions should be accumulated for increment of credit loan than that of mortgage loan to better enhance the overall financial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