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적 표상으로서의 연화문이 지닌 현상학적 의미

        김연화(Kim, Youn Hw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연화문에 나타난 문양은 작품의 내용 미학과 형식미학에 의해 구현되는 상징과 표상이며, 현상적 의미를 지닌 표현적 행동의 예술적 활동이다. 연구의 목표는 도자조형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상징적 개념과, 물성적 형식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예술로서의 화훼가 지니는 표현의 미학적 가치를 정립하는 데 있다. 이것은 문양의 외연과 내포에 대한 조건과 속성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범위는 80여점의 한국, 중국, 베트남도예작품을 진단 해석 하였고, 형태학적인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1단계로 연화문의 개념과 상징적 구조를 설정하고, 2단계에서는 형상학적 구성, 지각적 형식인 의미요소간의 상관적 관계성을 비교, 판별, 평가 하였다. 3단계에서는 연화문이 지닌 내용미학으로서의 요소를 확인,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한 발견점은 연화문의 상징 및 장식 효과를 의미 요소로서의 형식과 소재 및 구성이 지닌 내적요소인 외연(Denotation)과 내포(Connotation)로 재해석, 규명하였다. 따라서 이는 연화문이 지닌 존재론적 상태와 현상학적 구조에 대한 미학적 가치를 재확인하는 의미를 지닌다. Lotus flower pattern is a symbol and emblem which materializes the substantial and formal aesthetics of the piece of art, thus being the artistic activity of expressive behaviour with phenomenal mea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symbolical concept of pieces of ceramics and the identity of material form, and to establish the aesthetical values of the expression which flower pattern carries out in the form of art. It was done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and properties on extension and connotation of the patter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80 pieces of ceramics from Korea, China, and Vietnam we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the morphological approach method. 1st stage of the research is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nd symbolic structure of lotus flower pattern. 2nd stage is comparison, differentiation, and evaluation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eaningful elements which are perceptual forms and make formal structure. 3rd stage is investigation on the elements of the substantial aesthetics carried out by lotus flower pattern. The most important points discovered through this research is the tries to grasp their relationship to denotation and connotation, effect and symbol and decoration of lotus flower pattern which materialize the substantial formal patterns as structu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reassurance that lotus flower pattern is a symbol and emblem as aesthetics of values which materializes the phenomenal structure.

      • KCI등재

        주파수 대역 제한에 의한 한국어 자음의 지각 특성 분석

        김연화(Kim, YeonWhoa),최대림(Choi, DaeLim),이숙향(Lee, Sook-hyang),이용주(Lee, YongJu)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1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requency band limitation on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Monosyllabic speech (144 syllables of CV type, 56 syllables of VC type, 8 syllables of V type) produced by two announcers were low- and high-pass filtered with cutoff frequencies ranging from 300 to 5000 Hz. Six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performed perception test by types of filter and cutoff frequencies. We reported phoneme recognition rates and types of perception error of band-limited Korean consonants to examine how frequency distortion in the process of speech transmission affect listener’s per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cognition rates varied with the following factors: position in a syllable, manner of articulation,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s. Consonants in the final position were stronger to the frequency band limitation than those in the initial position. Fricatives and Affricates are stronger than stops. Fortis consonants were less stronger than their lenis or aspirated counterparts. Types of perception error also varied depending on such factors as consonant’s place of articulation: In case of bilabial stops, they were perceived as alveolar stops with while in cases of alveolar and velar stops, there were changes in phonation types without any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 KCI등재

        표상으로써의 기하학적 모티브가 지닌 존재형식과 구조

        김연화 ( Kim Youn Hw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1 No.-

        조형작품의 모티브(Motif)는 형식과 의지에 의해 구성되는 상징과 표상이며 현상적 의미를 지닌 표현적 행동의 의식적 활동이다. 본 연구는 기하학적 모티브가 지닌 조형형식과 구조의 외형적 양식으로 재현된 의미가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는가에 대한 조형적 형상 연구에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한 접근 방법과 범위는 기하학적 상징과 추상적 재현의 대표적 작품 66점을 9개의 카테고리별로 분석, 진단, 재해석 하였다. 논제에 대한 미적 가치 체계와 대상이 지닌 존재방식의 상호 작용된 표현 소재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기술(記述)적, 상징적 개념을 지닌 양식으로서의 기하학적 모티브가 지닌 조형형식들은 직유, 은유, 환유에 의한 이념적 속성을 지닌 인위성으로서의 독특한 비재현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 formative work`s motif is its emblem and symbol that are formed by formal will, and is also a conscious activity that has its phenomenal meaning.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on on formative phenomenon to see how a meaning reproduced into an external style of formative form and structure that are in a geometrical motif is expressed. For this goal, this study is based on the approaching methods such as and in the range of analysis, diagnosis and retranslation by 9 categories of 66 work pieces that represent geometrical symbols and abstractive patterns. For this study, I referred to the aesthetic value system on the theme and to a new possibility of the materials expressed under interaction of existence methods. I found especially that the formative forms of a geometrical motif as forms that have their symbolic concepts are with non-reproduced elements as artificiality that is with ideological attributes by technique, metaphor and metonymy.

      • KCI등재

        비양식성과 비정통성으로서의 민화가 지닌 현상학적 해석

        김연화(Kim, Youn Hwa),한석우(Han, Suk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민화(Minhwa)는 조선조시대 생활인의 문화, 역사적 변화속에서 자연스럽게 탄생된 우리 민족 예술의 정체성이 내제된 고유의 양식이며 조형 표상이다. 이는 일상적인 생활속에서 지속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창조적인 동인의 사고와 잠재적인 미의식이 순수하게 내적깊이로 표출된 사상, 의식, 행동, 규범이 작위없이 나타난 독창적 예술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복(至福)사상의 발상적 기원을 지니고 있는 민화의 비인위성, 비양식성과 비정통성으로서의 형식을 지닌 조형표상의 진단과 규명에 연구의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한 접근방법과 범위는 모티브의 상징과 추상적 재현의 대표적 작품 99점을 11개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 인지, 분석, 진단, 재해석 하였다. 민족적 기질과 사회적 양태 및 자연숭배신앙, 민간신앙, 도교, 유교, 불교적 관점에서의 현상학적 해석과 진단을 통해 민화의 환원적 현상과 형식으로서의 내포성과 외연성의 존재론적 미적가치의 준거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작품의 조형적 정체성에는 서술적, 해학적, 일상적인 콘텐츠로 무작위의 형식배제와 비재현적, 비공간성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Minhwa is a unique culture and formative symbol that embeds the identity of our ethnic art naturally created in the midst of cultural-historical changes. Since it was continuously formed in ordinary life, it is an original work of art that unintentionally expresses ideology, consciousness, behavior, and standard that genuinely presented creative thought and potential beauty as inner depth. This study aims for the diagnosis and investigation of the formative emblem that takes the form of Minhwa"s non-artificiality, non-formality, and non-legitimacy that has the conceptual origin of extreme happiness in daily life. The method of approach and range included categorizing, recognizing, analyzing, diagnosing, and reinterpreting 99 work pieces in 11 categories that are representative in the emblem of motive and abstract representation.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diagnosis in respect of ethnic characteristics, nature worship, folk belief, Taoism, and Buddhism, Minhwa"s it was verified based on the criteria for the ontological aesthetic value of inclusiveness and extensionality as a reductive phenomenon and form of Minhw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that the formative identity of artwork found through the study are narrative, humorous, and ordinary contents that excludes the formality; and it is formed in terms of non-representation, and non-spatiality.

      • KCI등재

        울산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와 비운영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 비교연구

        김연화(Youn-Hw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울산지역 학교구강보건실운영학교(상진 528명)와 비 운영학교(문현 442명) 초등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의 가정형태 결손가정은 상진 11.6%, 문현 3.6%로 상진초등학교가 훨씬 많았다. 2. 구강보건행동을 살펴보면 ‘간식 후 항상 잇솔질한다’ ‘1년 동안 이가 아프지 않아도 치과 정기 검진한다.’ ‘구강보건에 관심이 많다’의 문항에서 상진초등학교 구강보건행동 점수가 높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3. 구강보건지식에서 ‘초콜릿, 과자, 사탕 등은 충치발생 음식이다’ ‘과일, 우유, 채소 등은 치아청결 음식이다’ ‘식후에 껌을 씹으면 잇솔질을 하지 않아도 된다.’ ‘잇솔질을 옆방향일 때 이가 가장 깨끗이 닦인다.’의 문항에서 상진초등학교가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4. 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년 간 구강보건지식은 문현 초등학교는 학년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진초등학교는 4학년 4.95점, 5학년 5.48점, 6학년 5.67점으로 나타나 고학년일수록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This study surveyed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s with(528) or without dental clinic(442) in Ulsan. Sang Jin had 11.6% students from single parent or parentless families, revealing a much higher percentage than that of Mun Hyeon 3.6%. The findings showed on oral health care the score of activities of students in Sang Jin about always brushing ones teeth after having snacks having seen a dentist and gotten regular dental checkups and having a lot of concern for ones oral health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un Hyeon. Sang Jin earned statistically higher marks for having better oral health knowledge that Chocolate, cookies and candy easily cause decayed teeth, Fruit, milk and vegetables cleanse the teeth, Brushing teeth can be replaced with chewing gum after meals, and Brushing teeth in left & right is the best way to cleanse. As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care differed depending on the graders 4th, 5th, 6th in Sang Jin, the higher their grade was in.

      • 라투르 다시 쓰기: 행위를 따라가라!

        김연화(Yeonwha Kim),장하원(Hawon Chang) 과학기술과 사회 네트워크 2023 과학기술과 사회 Vol.- No.4

        이 논문은 라투르식 현장 연구와 글쓰기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라투르의 초기 작업으로 분류되는 과학인류학 저작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라투르는 과학적 실천이 이루어지는 실험실을 인류학적 현장 연구의 현지로 택해, 과학적 사실이 어떻게 실험실의 일상적인 실천들과 협상들 속에서 문헌적 기입들과 함께 만들어지는지를 세밀하게 기술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인류학 작업들에서 라투르가 실험실의 물질들과 실천들을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로서 어떤 자세와 전략을 취했는지, 또 라투르식의 민족지적 서술에서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에 기반하여, 라투르의 논의에서 행위자는 언제나 행위자 네트워크의 효과로서 주어진다는 점에서 개별적인 존재자가 아님을 명확히 밝히고, 따라서 ‘행위자를 따르라’는 구호는 행위자들의 관계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그려 내라는 주문이라는 점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장 연구자로서 라투르의 위치성을 짚어 보면서 라투르의 논의를 상황적 지식으로서 이해하고, 이에 기반하여 라투르의 기획을 보다 성찰적으로 이어 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볼 것이다. 라투르를 좇아 물질들과 실천들을 탐구하는 구체적인 방식과 그 함의를 제시하는 이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현장에서 인간은 물론 비인간 사물과 물질의 역할을 보다 실질적으로 탐구하는 경험적 연구들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Latour’s Actor-Network Theory as a methodology for fieldwork by analyzing his early works, Anthropology of Science. Latour chose a scientic laboratory as a eld site and described how scientic facts were constructed through practical tasks, negotiations, and literary inscrip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attitudes and strategies that Latour adopted as an anthropologist of science to explore the materials and practices in the laborator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his ethnographical writing. Based on this work, we argue that the actors in Latour’s discussions are always presented as results of actor-networking, rather than as individual entities. erefore the slogan “following the actors themselves” is simply a call to describe the process by which actors’ relationships are made. Finally, we will consider the situatedness of Latour as a eld researcher and his ndings as situated knowledge, which will show how the Latourian research program can be continued more reflexively. Starting with this research of presenting Latour’s specic ways of exploring materials and practices and their implications, we hope to stimulate empirical researches that deal with the roles of humans and non-humans in various fields more substantially.

      • KCI등재

        산업도자 전문교육의 창의성 구현을 위한 플렛폼 구축

        김연화(Kim, Youn Hw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미래지향적인 산업도자 전문교육 체계구축의 방향은 연관분야에서의 기술적, 정책적, 실용적, 문화적 교육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플렛폼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이는 곧 지식기반 산업도자산업을 선도할 전문고급인재 양성을 통한 융합교육 시스템 활성화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최근 국내의 대학과 대학원의 혁신과 성공의 기본 요인이 되고 있는 신 가치 창출의 기본개념은 미래지향적 지식기반 창의교육 시스템 구축과 실현에 근거하고 있다. 교육에 대한 새로운 비전은 교육중심, 연구중심 지향의 보편적 방향과 함께 뚜렷한 정체성 확립과 교육이념을 목표로 하는 특화된 전문적인 고급인재양성중심, 융?복합형 학문중심, 클러스터중심, 실용인재 중심 등의 차별적 교육혁신 실현과 국제경쟁력 확보 우위의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이것은 곧 미래지향적 융합교육의 비전과 미션 수립 및 실천적 전략방법 도입으로 사업화, 상품화에 따른 새로운 가치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역할에 선도적인 일익을 담당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예술, 공예, 디자인 연관 분야인 산업도자교육의 교육체계 시스템 구현에 따른 합리적인 플렛폼 구축 개발은 중요한 의미와 당위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산업도자의 교육성과 창출에 의한 시대적, 사회적 역할 부응과 함께 창의산업 분야별 특성화와 다양성의 조화에 의한 교육의 수월성, 융합성, 전문성, 제고를 위한 플렛폼 구축의 위계와 컨텐츠 구조를 체계화 하였다. A direction for future-oriented Industrial ceramic education system is to improve technical, political, practical and cultural educational power in the relate fields, building a platform to create a new added value. This carries a significance in vitalizing a substantial convergence in the educational system by nurturing highly specialized and advanced talents capable of leading the knowledge-based creativity industry. Recently, a basic concept of creating a new value as a fundamental factor for reformation and success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s based upon the building and realization of future-oriented creativity education system. A new vision on education should be in a universal direc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oriented which should be aimed at establishing a clear identity and educational philosophy. Therefore, the study should look towards the realization of reformation in differentiated education focused on the fosterage of specialized and advanced talents, convergence in academia, cluster-oriented and practical talents, as well as the achievement of superiority 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refers to taking a key role in maximizing the creation of a new value on commercialization based upon the establishment of vision and mission on future-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and adoption of practical strategic approach.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rational platform to realize the educational system in industrial ceramic expert education related to arts, crafts and design has a significant meaning and appropriateness. To do this, the hierarchy in platform and contents structure have been systematized to improve the supremacy, convergence and professionalism in education by specializing each areas composing the creative industry and harmonizing the diversity with satisfying the periodical and social role in creating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industrial ceramics.

      • KCI등재

        조선조 베갯모의 함의성과 현시성이 지닌 융복합적 공리체계

        김연화(Kim, Youn Hw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베갯모가 지닌 융복합적 가치성을 규명하기 위한 유의미적 공리체계의 논리적 정합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존재론적 관점에서의 사의적 항상성은 개념, 공리, 속성, 본성의 형이상학적 의미구조에 대한 인식소(episteme)에 해당된다. 또한 명제가 지닌 논점의 정당화를 위한 가치 확보는 창의적 신념과 이념적 자아성 및 내면적 동인이 지닌 의미소를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의미추구에 대한 형식논리학적 접근과 관념론에 근거한 관념론적 변증법을 적용하였으며 엘리토 기법(Elito method)을 통해 체화적 속성과 변인을 추출, 해명하였다. 아울러 논구의 중심축이 되는 공리는 융복합적 가치를 논증하는데 전제가 되는 규준이 되므로 연구명제의 정당성 해명은 암시적, 교호적, 구현적 공리체계가 지닌 정합성을 통해 베갯모의 미적 규범을 논변하였다. 연구의 발견점은, 의미구조가 체화된 암시적 공리는 관념적, 기원적, 고유적인 내면적 동인으로 민예적, 고유적 얼(我)과 맥(脈)의 함의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몰(沒)형식적, 비격률적 표상의 본물성과 베갯모가 지닌 융복합적 미적 규범인 시정(詩情)미, 다변적 중의미, 화애(花愛)미로 교호적, 차원적 품성가치의 부화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이는, 이념과 의식이 지닌 표상적 가치 논리와 사유의 정체성에 대한 융복합적 공리체계의 아키플래즘(archiplasm)해석의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gical coherence of the axiom architecture to identify the convergent value of embroidered pillow ends. The homeostasis of the mind from an perspective corresponds to the episteme of the metaphysical semantic structure of concepts, axioms, attributes, and nature. Moreover, to ensure the justification of the point of the thesis is valu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emantic elements of creative beliefs, ideological self-reflection, and inner motives. This study applied an approach of mathematical logic to the semantic pursuit and idealistic dialectics based on idealism and extracted and identified somatic attributes and variables using the Elito method. In addition, as the axiom, the main pivot of our discussion, is the underlying criterion for proving the convergent valu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sis was clarified by discussing the aesthetic standard of embroidered pillow ends through the consistency of the implied, reciprocal, implemental axiom architec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e implications of folk and legacy as the idealistic, original, and inherent motives for the implied axioms with an embodied semantic structure. Moreover, the study identified the nature of non-formal and non-committal representation and the compatibility of reciprocal and dimensional character values as well as convergent aesthetic standards such as the beauty of a poetic mind, multilateral heavy meaning, and the love of flowers contained in embroidered pillow end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its archiplasmic interpretation of convergent axiom architecture regarding the ideological and conscious logic of ideational value and the identity of r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