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페쇄 치음 /t/의 음운적 특성 연구

        김신효(Shin 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4

        Russian voiceless dental stop consonant / t / have a feature value [+cons, -son, -nas, +ant, +cor, -high, -low, -back, -cont, -del,rel, -strid, +voic] I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fact that the Russian consonant /t / behaves differently from the other consonants in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due to their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underspecified matrix of Russian underlying consonants / t / does not have specified feature value and / t / is an unmarked coronal consonant. And it is ranked the lowest in the sonority hierarchy. The coronal consonant / t / participates in a palatalization with the following palatal actively and palatalize preceding plain consonants passively because of markedness hierarchy such as ‘Velar > Labial > Coronal’. Unmarkedness of consonant / t / make it possible to allow the active participation in a process of insertion and deletion not only in a modern Russian but also in a diachronic perspective. 러시아어 설정음(Coronal)의 무표성에 대한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찾을 수 있지만 개별 자음의 무표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러시아어 기저자음 중 연구개음(Velar) 3개, 순음(Labial) 5개를 제외한 나머지 절반 이상이 설정음에 해당하는 것을 고려하면 무표적 자음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무성 폐쇄 치음 /t/는 미명시도표에서 자질 값 명시 수가 0으로 가장 적고, 조음자 기준 유표성 서열에서도 무표적 설정음에 속하며, 공명도 기준 유표성서열에서도 다른 무성 폐쇄음(voiceless stop), 파찰음(affricates)과 함께 최하위에 속한다. 그리고 연자음성 동화 과정에서 /t/가 설정음에 속하기 때문에 연구개음이나 순음에 비해 연자음성 동화 적용 서열이 낮아 후행하는 연자음에 가장 활발하게 연자음화되고, 선행하는 자음들을 연자음화시키는데는 가장 소극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자음, 4자음 자음군의 단순화 과정에서 가장 탈락 빈도가 높아 무표적 자음임을 확인할 수 있고, 자음 결합에서 동일 형태소 내의 자음 군에서 단일조음장소만 허용하게 된다는 제약이 /t/의 설정음 미명시로 극복되어 무표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시적으로 /t/는 조음 장소가 다른 경우는 물론이고 동일한 경우에도 가장 적극적으로 탈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러시아어에서 극히 드문 현상인 자음 삽입 현상에도 /t/가 참여하고 있어 무표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는 무성(-voice)자음, 조음자가 설정음인 자음, 공명도가 가장 낮은 자음, 미명시도표에서 자질 표기가 모두 미명시되어지는 자음, 통시적으로 탈락과 삽입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음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다른 자음들에 비해 무표성이 강한 음운적 특성을 가진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언어, 교육> : 러시아어 비음의 음운적 특성

        김신효 ( Shin Hyo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Russian nasal consonants / m /, / n / have a feature value not only [+consonant] in common with obstruents , but also [+sonorant] in common with vowels. Nasal / m /(bi-labial) and / n /(dental) have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but different manner of articulation. The feature value of / m / is [+cons, +son, +nas, +ant, -cor, -high, -low, -back, -cont, -del, rel, -strid, +voic], and that of / n / is [+cons, +son, +nas, +ant, +cor, -high, -low, -back, -cont, -del, rel, -strid, + voic]. There is a difference in feature [cor] value of / m / and / n /. I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fact that the Russian nasal consonants behave differently from the other consonants in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due to their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receding voiced obstruent is changed to an unvoiced one in a process where the last voiceless obstruent in the consonant cluster `` voiced obstruent + nasal /m/ + voiceless obstruent`` skips the nasal consonant and spreads its feature value to the preceding voiced obstruent transparently because of the feature [+sonorant] of the nasal consonant. The coronal nasal /n/ participates in a palatalization with the following palatal actively and palatalize preceding plain consonants passively because of markedness hierarchy such as ``Velar > Labial > Coronal``. But the labial nasal /m/ is palatalized with the following velar palatal actively and participates in a palatalization with the following coronal palatal passively. This result helps us confirm the phonological difference of /m/ and /n/ in a palatalization. When the a final consonant is nasal, the unvoicing phenomenon of a final consonant doesn``t occur. In such a case as cluster ``obstruent + nasal`` the feature value [voiced] of the preceding obstruent doesn``t change, but the following nasal can assimilate into the preceding obstruent. When continuing the same nasals / -nn- / in a consonant cluster, the feature value [+cont] of a weak position leads the preceding nasal / n / to be changed into [-cont] / 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s of consonants in syllabic onsets and codas that should observe the ``Sonority Sequence Principle``, the sonority hierarchy of nasal consonants has been confirmed. In a diachronic perspective following nasal / m /, / n / there is a loss of the preceding labial stop and dental stop. But in clusters with the velar stop+nasal, the two-component cluster has been kept phonetically intact.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어 자음무리 단순화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자음무리 단순화 과정에서 탈락하는 자음은 유표성 서열이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음의 유표성 서열(markedness hierarchy)을 밝히는데 Archangeli (1984)에 의해 제시된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어 자음의 유표성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등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를 제약으로 만들어 최적성이론에 의해 자음무리 단순화를 분석하였다.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서열에서는 [+anterior] 자질을 가지는 무표적 설정음(Unmarked Coronal)인 (/ t /, / d /, / s /, / z /, /n/, / l / / r /, / c /, / ?/)를 가장 무표적인 음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완전명시에서 명시된 13개의 자질 중 미명시 도표에서 전혀 명시되지 않은 / t /를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가장 공명도가 낮은 무성폐쇄음(voiceless stop)과 파찰음(affricates) 즉, / p /, / t /, / k /, / c /, / ?/ 등이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3자음 무리 단순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묵음화 현상은 CLUSTER [UPF], CLUSTER [UAF]등 2가지 제약이 최적형을 결정하는데 대부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CCC, CLUSTER [OCP], CLUSTER [SONORITY]. MAX-IO 제약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чувство와 같은 4자음 무리, безмолвствовать와 같은 5자음 무리는 CLUSTER [UAF]+ 라는 추가적인 제약을 통해 최적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동일한 환경에서 묵음화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자음무리들과 형태소 경계에서 묵음이 되는 자음 무리와 통시적인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대해 본 논문에서 도입한 3가지 자음 유표성 서열 결정 기준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음절내 위치가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자음 유표성을 결정하는 추가적인 기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러시아어 유음의 음운적 특성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유음(liquid)은 자음과 모음의 자질을 모두 공유하고 있다. 즉 폐쇄음(stop)을 발음할 때와 같이 설단이 치경과 접촉하는가 하면 모음을 발성할 때와 같이 공기가 큰 마찰을 하지 않고 자유롭게 흘러가게 된다. 러시아어 유음 /l/, /r/은 [+consonant]자질 값을 가진다는 점에서 자음과 공통점이 있고, [+sonorant]자질 값을 가진다는 점에서 모음과 공통점이 있는 공명 자음이다. 공명도 서열 상 전이음(glide) 다음으로 높은 자음이면서 조음자는 [coronal]에 속하는 설정음이다. 유음이 가지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장애음과는 다른 음운적 특성을 가지며, 공명음 부류 내에서도 비음(nasal)과 음운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유음 /l/과 /r/은 공통점도 많지만 서로 다른 음운적 특성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음이 유성성 동화와 어말무성음화 현상에서는 장애음과 차이를 보이고 연자음성동화에서는 설정성(coronal)으로 인해 연구개음(Velar)이나 순음(Labial)에 비해 쉽게 동화되며 공명음 부류 중에서 비음 /m/과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음 음소배열에서는 음절 두음에서의 4자음결합, 3자음 결합, 2자음 결합 등에서 음절 두음의 마지막 분절음이나 음절 말음의 첫 분절음 출현 빈도에서 다른 자음들과 월등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유음은 [+sonorant]자질 값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무성음+유음/l/, 무성음+유음/r/, 유음/l/+무성음, 유음/r/+무성음 등 2자음 결합에서 후행 무성음에 무성음화 되지도 않고, 선행하는 다른 무성음을 유성음화 시키지도 않는다. 그리고 무성음+유음/l/+유성음, 무성음+유음/r/+유성음, 유성음+유음/l/+무성음, 유성음+유음/r/+무성음 등 3자음 결합에서 유음은 자신의 유성성(voice)을 선행하는 무성음에 전파하지 않고 후행하는 자음의 유성성을 선행하는 자음에 투명(transparent)하게 전파한다. 그리고 유음이 [+sonorant] 값을 가지기 때문에 유성성 자질 값이 미명시([0voice])되어 어말유성성 중화의 목표음(target)이 될 수 없다. 또한 유음이 속해있는 설정음이 연구개음이나 순음에 비해 연자음성 동화 적용 서열이 낮기 때문에 후행하는 연자음에 가장 활발하게 연자음화되고 선행하는 자음들의 경연자음성을 동화시키는데는 가장 소극적이다. 특히 이화현상에서는 유음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분절음이다. 또한 유음 /r/과 /l/은 자음 중 전이음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공명도를 가지므로 공명도 연쇄원리를 준수하는 음절의 경우 음절 핵(nuclear)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음절 두음의 마지막 분절음이나 음절 말음의 첫 분절음이 되는 빈도가 높다, 그리고 원시슬라브어(Proto-Slavic)에서 중위후설모음(mid-back vowel)을 뒤따르는 유음은 *#oLC연쇄를 형성하고 이 연쇄 중에서 많은 경우 현대러시아어에서 음위전환(metathesis)되어지며 어중 위치(medial position)에서 예르(jer)가 현대러시아어에서는 유음-모음 연쇄로 보존되어지는 통시적 특성을 가지는 자음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음은 공명음인 동시에 설정음이며 공명도가 높은 자음이라는 사실 때문에 다른 자음들과는 다른 음운적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유음 /r/과 /l/도 연자음성 동화에서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

      • KCI등재

        러시아어 동사 시제형의 전이적 사용 연구

        김신효(Shin 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러시아어는 일정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전이 과정(하나의 형태적 형태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모든 전이 유형은 다양한 문체적 뉘앙스를 표현하고 문장의 의미에 오버톤(обертон)을 전달한다. 즉, 화자의 표현 수단이며 주관적인 양상 표현 수단이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가장 빈도와 비중이 높은 것이 동사의 시제 형태이다. 러시아어 동사는 과거, 현재, 미래 3가지 문법적 시제 형태를 가지고 각시제의 고유한 의미 뿐 아니라 다른 시제형태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것은술어 역할을 하는 동사의 형태적 시제가 의미적 시제와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사 시제의 전이 유형은 6가지가 있다. 즉, 과거시제 의 미인 문맥에서 동사의 문법적 형태를 현재시제나 미래시제로 사용하고, 현 재시제 의미인 문맥에서 과거시제나 미래시제의 문법적 형태를 사용하며, 미래시제 의미인 문맥에서 과거시제나 현재시제 형태의 동사를 사용하는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시제 전이는 서술적 기능면에서 형태적 시제와 의미적 시제의 불일치를 유발하게 된다. 그래서 형태적 시제에 대한 행위의 연관성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문법 시제의미가 가지는 뉘앙스도 약해진다. 문법적 형태의 의미는 내포적인 뉘앙스(коннотативный оттенок)로작용하여 외연적 의미(денотативное значение)인 문맥적 의미에 오버톤(обертон)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러시아 문학작품 텍스트를 주로 이용하여 러시아어 동사의 시제 전이 현상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문맥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language system, there are transposition processes - the use of one morphological form in another meaning in certain communicative situations. All types of transpositions express different stylistic nuances, inform the sentence of brighter overtones of meaning, and the act as means of expression and the subjective modality of the speaker.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orms of tense have various meanings. They are used not only in their own meaning, but also in the meaning of other tense forms. This means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 in the predicate function may not coincide with the semantic tense. Thus, the following transposition variants of the verb tense are possible: - use of the form of the presen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ast (the so-called present historical); - use of the form of the presen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future; - use of the form of the pas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resent; - use of the form of the pas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future; - use of the form of the future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ast; - use of the form of the future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resent; When the grammatical tense and in-context meaning are paired together, the result is (1) the weaken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attribution of the action to the grammatical form, (2)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form eventually weakens, sometimes imperceptibly.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form becomes a connotative nuance that accompanies, as a kind of overtone, the basic denotative meaning from the context.

      • KCI등재

        인가 제약에 의한 러시아어 /v/의 정체성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2

        러시아어의 대표적 자음관련 음운 현상 중 하나인 유무성 자음 동화는 자음이 인접한 환경에서만 발생 가능하고 원칙적으로 인접자음을 건너뛰고 동화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공명자음 /m/,/n/, /l/, /r/, /j/와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는 규칙의 촉발음(trigger)과 대상음(target) 사이에 인접하더라도 음운 현상에 참여하지 않고 오히려 원거리에 있는 자음이 음운 현상에 참여하는 예가 발생한다.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들과 /v/가 장애음 무리 사이에 오는 경우 [voice] 자질 값을 미명시하고 투명성 효과(transparency effects)로 설명하여 양자 간의 차이를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의 정체성은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다른 공명자음과 차이가 있다. 인가제약(Licensing)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m, n, l, r, j/)들은 Son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 Nas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에 따라 유성성([voice]) 미명시 여부가 달라지고 최적형이 상이하게 도출된다. 반면 /v/는 무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 /sverx/ → [sverx]의 경우에만 Son VOI ≫ LICENSE 제약 위계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유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zver’/ → [zver’], 유성자음([+voice])+/v/+무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bez vtoroj/ → [bes ftoroj], 무성자음([-voice])+/v/+유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 /s vdovoj/ → [z vdovoj]는 제약 위계가 LICENSE ≫ Son VOI 이든, Son VOI ≫ LICENSE 이든 옳은 형태를 도출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인가제약에 의한 분석을 통해 /v/는 다른 공명자음들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다. 또한 /v/가 어말이나 무성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는 장애음의 특성과 동화 현상을 촉발시키지는 못한다는 공명음적 특성 모두를 가진다는 정의에 설득력을 부가할 수 있다.

      • 스털링엔진 설계 및 해석 연구

        김신효,조대권,의창,배한나,Kim, Shin-Hyo,Cho, Dea-Kweon,Kim, Ui-Chang,Bae, Han-Na 선박안전기술공단 2015 선박안전 Vol.38 No.-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 및 그린에너지 개발 정책에 힘입어 외연기관의 일종으로 Stirling Engine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스털링엔진은 크게 알파, 베타, 감마형의 3가지 방식으로 구분되어지며 그 중 감마타입 엔진의 설계가 용이하고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음에도 실린더와 크랭크간의 접속거리 문제로 인하여 알파, 베타 타입에 비하여 용적을 크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로 알파형에 적용하는 Yoke crank를 적용하면 용적을 줄임과 동시에 실린더의 병렬화에도 유리하다. 금번 연구에서는 기존의 Ross Yoke crank 설계기법에서 나아가 감마형 스털링엔진의 Yoke crank 설계를 더욱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