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층적 이동 IPv6 망에서의 페이징 기법

        김수미(Sumi Kim),최종원(Jongwon Cho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Ⅲ

        인터넷이 활성화되고 무선통신 가입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동성에 대한 요구는 커져 가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 IETF의 Mobile IP WG 서 진행중이다.계층적 이동 IPv6는MAP(Mobility Anchor Point)을 도입하여 지역적 이동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했다. 이러한 HMIPv6 환경에서 활동상태 노드와 비활동상태 노드의 상태를 구분하여 망의 부하 문제를 해결해 주는 페이징 기법이 적용된 P-HMIPv6 프로토콜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HMIPv6의 문제점을 살피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한 MP-HMIPv6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KCI등재

        고통의 재현, 그 정치성에 대한 단상

        김수미(Sumi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언론과 사회 Vol.23 No.4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고 한국 사회가 이 사건에 대응해가는 과정은 우리로 하여금 지금의 삶이 영위되는 현실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고 또 깊이 숙고해 볼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가 아우르는 여러 단면들 중에서 사회적 재난으로서 이 사건이, 고통 속에 놓인 세월호 희생자와 유가족들이, 그리고 이러한 상황의 발생에 개입된 여러 주체들 간의 관계가 한국 주류 언론에 의해 어떻게 다루어지고 구성되었는지, 이것이 어떠한 문화 정치적 함의를 갖는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한국 주류 언론의 보도가 ‘자유롭게 살거나 혹은 죽거나’의 근래 신자유주의 생체정치의 기조와 상관하며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조명을 통해, 사회를 구성하는 개별 생명의 안위가 여러 사회적 분류체계에 의한 차별 없이 동등하게 공적인 고려의 대상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and the way South Korean society responded to this social disaster have led us to question what kind of society we are living in.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South Korean press coverag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t pays attention to the ways the mainstream press treated the victim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in pain and constructed the relationships among diverse social groups involved in this tragic accident. This study highlights how the press coverage of the disaster echoed the operative logic of contemporary neoliberal biopolitics, “live free or die,” in particular.

      • KCI등재

        백제 멸망 이후 馬韓 인식의 변화 양상

        김수미(Kim Sumi)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7

        Dongmyeong Dodokbu and Mahan Dodokbu established in the territory of Baekje after its fall by Tang Dynasty are estimated to have been located in Woongjin and Jimohyeon or currently Iksan, respectively. Iksan was recorded as the “Namraeji of King Jun and the old land of Mahan annexed to Baekje” in many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Those records are related to King Mu’s transfer of the capital to Iksan during Baekje in the seventh century. After transferring the capital to Iksan, Baekje absorbed the transmitted land of Mahan and King Jun in the whole region and formed a perception of succeeding the history of Mahan, which affected Tang’s perceptions of Mahan. The epitaphs of Baekje and Goguryeo migrants that were active in Tang after the fall of Baekje and Goguryeo give clues about their origins. The epitaph of Buyeoyung, the crown prince of Baekje, contained both Baekje-related terms such as Jinjoin, Mahan, and Daebang and Goguryeo-related ones such as Yohae, Hwansan, Hason, and Gyeru. The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the epitaphs of Baekje migrants written after 680. It was because of the phenomenon that identified Baekje with Goguryeo as Buyeoyung of Woongjin Dodok stayed in Geonansong in Liaodong, which was in the old territory of Goguryeo. The epitaphs of Goguryeo migrants referred to Goguryeo as Jinbyeon and Jinhan and still inherited the perceptions of Buyeo succession and Gija Joseon. Their epitaphs, however, did not show the perception of Goguryeo’s succession of Mahan those days. Choi Chi-won’s perception of succeeding the history of Three Hans and Three Kingdoms was to succeed Mahan-Goguryeo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eing influenced by Shilla’s perceptions of Three Hans. It is estimated that the perception of Mahan-Goguryeo emerged after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Shilla needed to establish the perceptions of Three Hans anew to complet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and check the Baekje officials in Woongjin Dodokbu in Liaodong. Shilla’s measure was to convert to a new perception of Mahan-Goguryeo instead of China’s old perception of Mahan-Baekje. Shilla was able to form its own perceptions of Mahan-Goguryeo because the group of Anseung of Goguryeo that sought asylum in Shilla settled down in Iksan or Geummajeo.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from the perception of Mahan-Goguryeo succession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The remark made by Gyeonhwon of Later Baekje in Wansanju indicates that the perception of Mahan-Baekje was still transmitted among the migrants of the old Baekje territory. The literary people of Gungye had the same perception of Three Hans-Three Kingdoms as Shilla and connected Mahan to Aprok and Goguryeo rather than to Geumma and Goguryeo.

      • KCI등재

        포스트휴먼 기술 담론과 포스트휴먼 주체 구성의 정치성에 대한 탐구

        김수미(Sumi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2

        2016년 3월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와 바둑 기사 이세돌 간의 대국을 기점으로 포스트휴먼 기술 관련 미디어 담론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수용은 이를 상상하고 현실화할 수 있는 사회적 맥락의 구성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이 전제 조건의 형성에는 사회적 기술, 이와 긴밀한 관계 속에 있는 인간에 대한 특별한 이해의 틀을 구조화하는 의미화의 작업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글은 포스트휴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 주류 언론과 방송이 생산해 낸 담론이 향후 우리가 당면할 사회적 존재 조건과 우리가 취해야 할 주체성을 제시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 의미화 작업이 갖는 사회 정치적 함의를 분석한다. 인간과 비인간 간의 존재론적 경계가 와해되는 시기의 대안적 사유 체계로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이 이 글의 논의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Discourse on posthuman technology has been spreading rapidly through the South Korean media since the five-game Go match between Lee Sedol, one of the world’s best Go players, and Google DeepMind’s artificial intelligence, AlphaGo. Technological process and artifacts are socially construc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be successfully completed when it is legitimized by symbolic discourse, which tells everyone how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and social subject positioned in a specific techno-political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of thinking suggested by the South Korean media in terms of the posthuman social context and the posthuman subject. The analysis draws on critical posthumanism that offers an alternative vision of contemporary posthuman landscape where the existential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becomes blurring.

      • KCI등재

        고위험 분만간호교육에 적용한 팀 기반 학습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주는 효과

        김수미 ( Sumi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고위험 분만간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총 100명이었으며, 주 1회 3시간, 총 8주 동안 팀 기반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전과 후에 3가지 변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자료는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χ<sup>2</sup>-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향상되었으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이 고위험 분만간호교육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파악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학문분야의 교수학습법으로 확대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다양한 변수 측정과 반복연구를 통해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academic success in high risk delivery nursing. This study is designed for equivalent control group. The learning program was put into practice 1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the team based learning program and control group didn’t do. The data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χ<sup>2</sup>-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effects of the team based learning program are as follows: The exercise group has made increase in the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team based learning is useful for increasing the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and is expected to be applied as an effective learning program for students in the future. We hope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through repeated studies and various variable measure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포스트-진실” 시대의 진실에 대하여 : 저널리즘과 진실의 정치에 대한 소고

        김수미(Sumi,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4

        우리는 지금 비진실, 가짜, 거짓 정보와 말들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공적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지배하는 독특한 역사적 상황에 직면해 있다. 소위 ‘포스트-진실’의 시대로 지칭되는 지금 시기 정치 문화의 구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특히 ‘가짜뉴스’가 지목되고 있으며, 그것의 본질이나 기능을 정의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역사는 현실의 단순 배열이 아니라 특별하고 제한적인 관점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해 낸 것이라는 인식에 기초하여, 근래의 정치 문화가 ‘포스트-진실’과 ‘가짜 뉴스’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되는 방식을 문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다음의 질문들에 집중한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 초반의 역사적 시기를 칭하는 개념으로서 ‘포스트-진실’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포스트-진실’의 시기는 어떤 특성을 가지며 어떤 점에서 새로운 것으로 이해되는가? 우리는 어떤 과정을 통해 이러한 시기에 도달해 온 것으로 파악되는가? 만약 ‘포스트-진실’의 시대가 도래했다면 저널리즘은 이러한 사회 정치적 지형의 형성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해 왔고, 지금 그것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이상의 논의를 통해 ‘포스트-진실’의 정치 문화의 문제성을 짚어 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Post-truth’ has emerged as a crucial concept in the attempts to define the nature of contemporary political culture. And ‘fake news’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as a key element in the construc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historical era entitled ‘post-truth’. Grounded on the assumption that history is not a simple array of undisputed facts but a cultural construct conditioned by specific political interests, this research calls into question the ways in which current political culture is understood with the concepts of ‘post-truth’ and ‘fake new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in particular: In public discourse, how is ‘post-truth’ conceptualized?; how is the new era of ‘post-truth’ understood?; how is journalism involved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new ‘post-truth’ era has arrived? While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roblematic aspects of the ‘post- truth’ political culture and come up with the solutions to them.

      • KCI등재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 적용한 팀 기반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주는 효과

        김수미 ( Sumi Kim ),김정이 ( Jung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주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총 82명이었으며, 3시간씩 주 1회, 총 8주 동안 팀 기반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전과 후에 3가지 변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자료는 χ2-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은 향상되었으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이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교육분야의 교수학습법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반복 연구와 다양한 변수 측정을 통해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on academic succes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n high risk puerperium nursing. This study was designed for equivalent control group. The learning program was put into practice 3 hour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the team based-learning program and control group didn’t do. The data was analyzed by paired χ2-test, t-test, independent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effe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program are as follows: The exercise group had made increase i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team-based learning was useful for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was expected to be applied as an effective learning program for the students. We hope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through various variable measurements and repeated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수업 연구 - 학습자 간 유창성 평가를 중심으로-

        김수미 ( Kim¸ Sumi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1 언어와 문화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s through fluency evaluations among learners in academic-purpose Korean debating classes. For that, the discussion of 31 advanced learners was conducted fluency evaluations by fellow learners, and the debaters'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that determine a debater's fluency shows that the variable that most influences the debater's fluency judgment i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rgument, and the proportion of non-fluent utterances is somewhat less influential tha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rgument. Second, fellow learners judged debaters with low rates of non-fluent utterances to be linguistically fluent. Th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that native language speakers judge foreign learners' speaking fluency by their speaking speed. Third,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debater's judgment of content fluency w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rgument. Learners tend to perceive debaters who use arguments highly as fluent debaters. Fluent discussion speaking requires training for learners' ability to construct arguments, as in conventional discussions, and also involves speaking practice to reduce non-fluent speech. This study is valuable as a learner-focused study in that debating classes are paramount, and is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discussed learners' fluency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study of learners' fluency judgments from the native language speaker's perspectiv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CI등재

        한국 치유 문화 작동의 정치학

        김수미(Sumi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1

        지금 한국 문화 지형을 구성하는 복합적인 국면들 안에서 유독 두드러진 현상은 소위 치유 문화의 부상과 확산이라 간주된다. 이 특정 현상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해되고 분석될 수 있겠으나 본 글의 문제의식은 얼핏 소비문화의 확대재생산 도구로 비춰지는 치유 문화의 상품화 경향 이면에서 작동하고 있는 정치 경제적 세력으로서 시민 주체성의 탈각화와 더불어 이들이 심리학적, 특히 감성적 주체로 구성되어 가는 과정에 놓인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측면은 이 시대 적극적이고 선택적으로 자기 계발하는 신자유주의 시대 주체성의 고양이 동시에 정서적으로 병들고, 불안정하고, 상처받은 병인(病人)으로서의 주체성 고양과 함께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근래 한국 주류 언론이 개인을 주로 정서적으로 무기력하고 취약한 병리적 주체로 구성하는 방식들을 밝혀내고, 이것이 빈곤, 실업, 가정 폭력과 같은 사회 문제들의 원인을 개인 정서의 문제로 치환시키며, 안정된 경제적 재화 공급보다는 국민의 정서적 복지에 집중하는 신자유주의 시기 치유적 통치 체제가 한국 사회에 자리 잡게 되는 데 기여하는 방식에 대해 논한다. It seems that one of the most noteworthy phenomena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s the rapid expansion of therapy culture. The research reported here examines both the aspect of therapy culture linked to the expanded reproduction of consumer capitalism and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outh Korean citizens are constructed as subjects suffering from emotional deficits while being divested of subjectivity as a main political and economic force. It is claimed that individuals who are encouraged to be self-fulfilling subjects in the neoliberal era are also urged to focus on their emotional vulnerability. The research examines the ways South Korean mainstream newspapers contribute for fostering an ambience where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unemployment, and domestic violence are attributed to the emotional dysfunctions of individuals by pathologizing citizens as emotionally fragile subjects. In this culture of therapeutic governance, it is not problematized for the government to devote to the emotional welfare of citizens instead of working for a stable supply and a fair distribution of economic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