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러싱 공법 적용을 위한 구역정의 및 적정유속 확보여부 모의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리(Kim, Suri),아린(Gim, ARin),하정태(Ha, Jeongtae),진혁(Kim, Jinhyeok),전환돈(Jun, Hwando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5

        최근 상수관망시스템은 각종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 내 침전물인 스케일이 생성된다. 생성된 스케일은 상수관망시스템에 급격한 유속변화, 유향변화에 따른 수충격 발생 시 박리되어 수용가로 유입되며, 적수, 탁수 등의 수질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러싱 공법을 적용하여 관벽에 퇴적된 스케일을 제거해야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의 연구에서는 플러싱 공법 수립 시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적정 유속에 대한 연구 및 실험만이 제시되어 있으며, 적정 유속이 확보 가능한지 사전에 검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러싱 공법 적용 시 적정 유속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구간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용수가 소화전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하기 위해 소화전의 유량-손실수두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모델을 재구축하고, Emitter Coefficient를 통한 압력기반 모의를 실시하여 세척구간별 적정 유속을 확보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플러싱 공법 절차를 A시 일부구역에 적용하여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적용 결과 주입점에서 충분한 압력이 확보되어있어 모든 세척구간에서 적정 유속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입점에서의 압력이 부족한 상황을 모의하기 위해 주입점에서의 압력을 20 m 낮추어 모의한 결과, 일부 세척구간에서 적정 유속 확보를 위한 유량 방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경우 실무자의 판단에 의해 플러싱 공법의 기준을 낮추거나 다른 관세척 공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water supply networks have experienced deterioration because of various factors, which result in the accumulation of a large amount of scale on the inside surface of pipes. The scale may enter houses when a surge occurs owing to abrupt velocity or flow direction change in pipes, and eventually, water quality accident such as red-water can occur. The scale should be removed by applying pipe-cleaning practices, such as flushing, to prevent this type of accident. Currently, most studies have suggested only the desirable flow velocity to remove the scale through flushing. In our opinion, it will be more critical to develop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achieve the desired flow velocity. Hence, we developed a method to delineate a flushing section and modify a water supply network in considering the minor loss on the hydrant using the head loss-flow rate curve for the hydrant. Next, we simulated a flow condition using the emitter coefficient to achieve the desired flow velocity for flushing each section.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part of the water supply network of a city in Korea. From the results, the pressure head at the primary water source point of the network was sufficient such that each flushing section experienced the desired flow velocity to complete the flushing process. We lowered the pressure head by 20 m at the primary water source point and simulated a flow condition for insufficient pressure head. Under these conditions, some of the flushing sections could not experience the desired flow velocity, and hence, the scale could not be removed as desired. In this case, we believe that the utility authority should decide whether flushing is still a suitable option for cleaning the pipe, or whether other clean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비상시 수계전환에 따른 적정공급률 결정 방안

        김수리(Kim, Suri),아린(Gim, ARin),하정태(Ha, Jeongtae),전환돈(Jun, Hwando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상수관망의 노후화에 따라서 관파괴와 같은 운영중단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발생하는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대규모단수가 발생할 수 있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시 수계전환을 통한 용수공급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그러나 비상시 수계전환을통한 물공급 방안은 대부분 비상관을 통한 인근 지자체나 급수구역에서 물을 공급하는 계획만 수립되어 있고 실질적으로비상시에 물공급이 가능한 범위(연계공급범위)와 시간(연계공급시간)을 평가하지 않고 있다. 또한 비상시 물을 공급해 주는인근 지자체나 급수구역에서 충분한 수량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는 단수지역에 공급률을 조절하여 연계공급시간을 늘리도록운영하는 것이 단수피해 저감에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수지역에 충분한 물공급을 하기 위한 수량이확보되지 않은 경우에 비상시 적정공급률을 결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물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을 모의할수 있는 A-PDA 모형을 사용하여 비상시 수계전환에 따른 연계공급범위와 연계공급시간을 모의하였으며 모의결과를 수요자만족도 지수를 적용하여 공급률별 수요자 만족도를 정량화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요자 만족도를 높이고 연계공급시간을늘릴 수 있는 적정공급률을 산정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을 실제 관망에 적용하였다. The deterioration of water supply networks leads to frequent accidents, such as pipe failure, which result in water service interrup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accident, a large-scale water service interruption can occur. Therefore, an emergency interconnection plan has been established to prevent interruptions in water service. However, most emergency interconnection plans only consider whether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region of water service interruption. The area that can actually supply water, emergency water supply area (EWSA), and the possible time required to supply water, emergency water supply time (EWST) are not usually considered. Furthermore, in cases wherein the adjacent local governments or adjacent water supply blocks have insufficient water for the region of water service interruption, it is a good practice to increase the possible water supply time by the reducing the water supply rate (WSR)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from the water service interruption. In this study, a method is suggested to determine the proper WSR required to minimize the damage when the amount of emergency water is insufficient. Since it is a case where the amount of emergency water is not sufficient, A-PDA is used to simulate EWSA and EWSA for each WSR. The simulation results are subsequently converted into th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for each WSR. Through this procedure, the proper WSR can be determined, thereby improving both customer satisfaction and water supply time. Finally, this method is applied to a real water supply network to verify its applicability.

      • KCI등재후보

        국어교과통합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역기능적 진로 사고에 미치는 효과

        주연(Jooyoun Kim),김수리(Suri Kim)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3 지식융합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생들이 국어수업 내용과 자신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진로 교육을 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국어교과 성취기준과 진로연계 학습 요소를 융합하여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셋째, 서울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127명 중 63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8차시 적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는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F)를 이은경(2001)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화 작업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척도는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등 4개 하위요인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이은경, 2001). 진로사고 검사(Career Thought Inventory: CTI) 도구는 Sampson 등(1996)이 개발하고 장선철(2003)이 요인분석하여 타당화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진로와 관련된 역기능적 진로 사고를 측정하는 것으로 진로 결정 과정에 관한 일반화된 의사결정 혼란, 수행불안, 왜곡된 정체감 등 3개 하위요인의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하였고, 이후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 사전 평균점수는 84.35점, 사후 평균점수는 98.90점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644, p<.001). 또한 실험집단의 진로사고검사의 전체 사전 평균점수는 54.21점, 사후 평균점수는 46.84점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역기능적 진로 사고의 수준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430, p<.01). 이와 같이 실험집단에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가 향상되고, 역기능적 진로 사고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학생들이 진로탐색을 하는 데 있어 방해요소가 되는 역기능적 진로 사고를 감소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t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thinking by devis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Korean language subjects and integrating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career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develop their dreams. there i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integrated with Korean subjects was examined for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econd,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subjects was conceived by converging Korean language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and career-related learning elements. Third, the Korean language 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8th class for an experimental group of 63 out of 127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s a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 tool,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F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was validated by Lee Eunkyung(2001)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d The self-efficacy scale for career decision-making consists of a total of 25 questions of 4 sub-factors: goal selection, job information, problem solving, and future planning (Lee Eunkyung 2001:49). The Career Thought Inventory (CTI) tool developed by Sampson et al. (1996) and validated by factor analysis by Jang Seon-Cheol(2003) was used. This questionnaire measures career-relate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and consists of a total of 26 questions in three sub-factors: generalized decision-making confusion, performance anxiety, and distorted identity regard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for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25.0, followed by a paired samples t-tes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pre-average score f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84.35 points, and the post-average average score was 98.90 points. (t=-7.644, p<.001). In addition, the overall mean score of the career thinking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54.21 points, and the mean post-test score was 46.84 points. (t=3.430, p<.01).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improved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before the implemen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as improved throug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subjects. Second, it reduced the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that interferes with students’ career explor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진로교육,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준비에 대한 질적 연구

        유혜진(Yoo, HyeJin),김수리(Kim, SuRi),이수림(Lee, Su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experience of youth, which was to focused on the career educati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To do this, we interviewed 15 youth(boy 7) in September of 2015.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evaluated about career education positively and helpful. However, career counseling was insufficient for them. Second, they chose their career dream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self-understanding. Parents and supporters were effect on their dream. Third, they considered study important for their career preparation, and the support of family and friends were positive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of career development system and education for youth. We discussed of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진로경험을 질적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받은 진로교육은 어떠한지, 지금까지의 진로의사결정 및 현재 진로준비는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15명(남학생 7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에 개인면접 을 실시하였다. 면접 내용을 합의적 질적 분석(CQR)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개 영역, 13개 범주, 50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의 영역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한 진로교육이 대부분 긍정적이었고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상담과 같은 개별적인 진로교육의 기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의사결정의 영역에서 경험과 자기이해를 근거로 희망 직업을 선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등 주변인의 영향, 환경적 영향 도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 영역에서는 학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에 긍정적 도움을 주는 것으로 주변의 지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청소년의 주도적인 진로개발, 통합 적인 진로교육의 방향과 세부적 내용 및 제도마련의 기초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비상시 수계전환에 따른 공급성능 개선방안

        아린(Gim, ARin),김수리(Kim, Suri),최세중(Choi, Seajoong),전환돈(Jun, Hwando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3

        상수관망은 다양한 사고에 따른 단수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대규모 단수의 발생은 상수관망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시 수계전환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비상시 수계전환 계획을 수립할 때 대부분 비상관로를 통한 운영 계획만 수립된다. 그러나, 비상시 수계전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비상시 연계공급가능범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비상시 연계공급가능범위는 상수관망의 구조, 연계 배수블록간 고도차, 비상관로의 제원, 위치 및 가압펌프 유무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상시 수계전환 운영을 실시할 때 충분한 공급범위를 확보할 수 없는 원인을 정리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비상관로 관경 증가, 가압펌프 추가, 비상관로 추가 및 감압밸브 추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선방안의 효과를 정량화 하기 위하여 실제 상수관망을 대상으로 개선방안별비상시 공급가능률을 산정하였다. 수리해석은 PDA 기법을 이용하였다. 적용결과 개선방안별 효과를 알 수 있었고 비상시 수계전환의 설계와 운영시 더 나은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기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hen operating a water supply network (WSN), pipe failures and water service interruptions are inevitable. A large-scale water service interruption decreases the reliability of a WSN; therefore, an emergency interconnection plan (EIP) is adopted to prevent it. To establish an EIP involving emergency interconnection pipes, in most cases, only the operation plan is considered. However, it is required to evaluate possible interconnected supply areas (PISAs) from the EI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EIP. It is obvious that PISA is dependent on the structure of the WS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interconnected blocks, size and location of the emergency interconnection pipes, and inline pumping station.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the reasons resulting in insufficient PISA from the EIP and suggested improvement methods such as increasing the pipe diameter, new pumping stations, adding emergency interconnection pipes, and adding pressure relief valves. To quantify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methods on the performance of the EIP, we applied them to a real WSN and estimated the emergency supply rate for each improvement method by using Pressure Driven Analysis (PDA) was used as the hydraulic simulation tool. Consequently, each improvement method increased the PISA and the emergency supply rate on the network. Thus, the suggested method will be us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IP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