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한환경에서의 소형풍력발전 실증운전

        김석우(Kim Seokwoo),경남호(Kyong Nam-H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6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26 No.4

        10㎾ wind turbine has been successfully commissioned at the King Sejong station in April, 2006. The wind turbine installed is a part of the R&D program for developing a solid wind/diesel hybrid power control system for a remote area such as Antarctica.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develop an anti-icing and de-icing technologies for a small wind turbine rated under 50㎾. Since its commissioning, the turbine has generated about 500㎾h for 47days without any system faults. Although sufficient data have not been obtained yet, any trouble has not occurred in the wind/diesel hybrid system based on the current analysis. Concerning on the environmental impact by the wind turbine operation, the turbine is installed within the station boundary in order to meet the Madrid protocol. Therefore, wind turbine operation meets the international requirements for preservation of antarctic ecosystem.

      • KCI등재

        경제위기와 ODA 정책 변화: 이탈리아와 그리스 사례 비교

        김석우 ( Seokwoo Kim ),김영완 ( Youngwan Kim ),이지선 ( Jisun Yi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8 No.2

        20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유럽연합 회원국이자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인 이탈리아와 그리스는 경제위기라는 공통의 위기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위기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국제개발협력 정책에도 영향을 끼쳤고, 공적개발원조(ODA) 규모와 내용 상 변화를 가져왔다. 이탈리아와 그리스는 유사한 수준의 경제위기를 경험하였으나, 해당 국가들의 ODA 정책 상 그 세부적 변화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탈리아는 양자원조의 규모를 유지한 반면, 그리스는 다자원조의 비율을 크게 증가시키고 양자원조의 비율을 대폭 축소시켰다. 이탈리아의 대 EU 다자원조 비율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는 관측되지 않았던 반면, 그리스의 대 EU 다자원조 비율은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러한 정책 변화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경제적 규모 차이, 난민위기로 인한 정치적 차이, 역사적 ODA 정책 차이와 EU 내 외교적 영향력 차이라는 네가지의 요인들을 바탕으로 두 국가의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ODA 정책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들 요인들 중 EU와의 외교적 관계 및 영향력 차이가 두 국가의 ODA 정책 내 상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적 위기 상황속에서, 본 연구는 공여국들의 국내외적인 요인들이 위기 후 각 국가의 ODA 정책에 어떠한 변화를 유도할지에 대한 분석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taly and Greece, the member countries of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ave been affected by economic crises.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ir crisis experiences, we observe that their ODA policies have taken different paths. Italy has maintained the level of bilateral aid and multilateral contributions to the EU, whereas Greece has rapidly increased its contributions to the EU in absolute terms. To explain the different aid trajectories,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le causes of such differences in terms of economic size, political dynamics from the refugee crisis, history of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U. Among these factors, the country’s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EU appears to play a most significant role. Given that donor countries are affected by economic hardships in recent yea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donors’ behavior under the crisis concern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 KCI등재

        한국 ODA 정책의 기원: 경쟁가설과 경험적 분석

        김석우(Seokwoo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2

        한국 ODA 정책에 관한 많은 기존의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자난 30여 년간의 한국 ODA 규모와 추이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를 시도하 려고 한다. 한국 ODA 정책의 근원은 연구하기 위하여 6가지 다른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첫째는 이익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부가 특정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ODA 정책을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 두 번째 가설은 해외 압력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부가 세계 사회의 요구와 압력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ODA 규모를 증가시 켜왔다고 주장한다. 세 번째 가설은 능력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부가 단순히 ODA를 증대시킬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ODA 규모를 증가시켜 왔다고 주장한다. 네 번째 가설은 경쟁 가설이다. 이 가설은 인접 국가들과의 경쟁 과정 속에서 한국 정부의 ODA 정책의 기원을 발견하려고 한다. 다섯 번째 가설은 이념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정책결정자들의 인식, 지식과 이념의 변화가 한국 ODA 정책 변화의 핵심이었다고 주장한다. 여섯 번째 가설은 국내정치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국 사회에서 ODA 관련 인식공동체의 등장이 한국 ODA 정책의 변화를 이끌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설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 분석을 시도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익, 해외 압력, 능력, 이념, 그리고 국내 정치적 요인들이 한국 ODA 정책 변화를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한된 자료와 한국 ODA 정책의 짧은 역사로 인하여, 이러한 경험적 결과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고, 더 많은 다른 국가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espite increasing literatures on Korean ODA policies,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changes in the total Korean ODA volume and trend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This study tries to fill that research gap. In a way to try to explain origins of the Korean ODA policy, six competing hypotheses are created. First is the interest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changed its ODA policy to pursue certain interests. The second hypothesis is the foreign pressure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increased its foreign aid volume to meet increasing demand and pressure from the global society. The third hypothesis is the capacity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ble to increase its foreign aid just because it has become more able to do so. The fourth hypothesis is the competition hypothesis. This hypothesis tries to find the origin of Korean ODA policies in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 fifth hypothesis is the ideology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change in perception, knowledge and ideology of Korean policy makers plays a decisive role in changing Korean ODA policies. The sixth hypothesis is the domestic politics hypothesis. This hypothesis argues that emergence of aid-related epistemic community in the Korean society has changed Korean ODA policies. Based upon the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is paper concludes that interest, foreign pressure, capacity, ideology, and domestic political factors can partially explain origins of Korean ODA policies. However, because of limited data and short period of Korean ODA giving history, this conclusion is tentative, and more comparative researches are recommended.

      • KCI우수등재

        ODA 정책의 국내 요인

        김석우(Seokwoo Kim),박현정(Hyunjeong Park)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1

        OECD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들의 GNI 대비 원조 비율은 모두 다르다. 한국과 미국처럼 매우 낮은 비율을 보이는 국가들도 있고, 반면에 스웨덴과 노르웨이처럼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는 국가들도 있다. 이러한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국제체제적 차원에서의 설명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이 글은 국내 정치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이 글은 국내 복지정책의 차이가 해외원조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국내에서 복지지출 비율이 높은 국가가 해외원조 비율도 높다는 것이다. 국가들이 국내적으로 가지고 있는 관습, 규범, 제도가 외연화 과정을 거쳐서 외교정책과 대외원조 정책에도 반영된다는 것이다. 국가가 가지고 있는 예산의 제한이라는 측면을 보면, 이러한 주장은 상식과는 상반된 것이다. 왜냐하면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있는 정부는 국내 복지정책을 위한 비용과 해외원조 공여 비용을 경쟁재로 간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내 복지정책이 높은 국가일수록 해외원조 비율도 높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횡단면 시계열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GNI 대비 ODA 비율을 종속 변수로 하고, 국내 복지정책 비율을 설명 변수로 포함한 회귀분석 모델을 시도하였다. 이 모델에 국가의 경제 규모, 경제발전 수준, 무역량, 과거 식민지 수 등 여러 통제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회귀분석 결과는 이 글에서 제시한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즉, 국내 복지정책이 외연화되어 해외원조 정책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었다. The ODA/GNI ratios among OECD DAC countries are all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are countries such a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relatively low ODA/GNI ratio, while there are also countries such as Sweden and Norway which have relatively high ODA/GNI ratio. How can we explain this difference? Pointing out limitations of theoretical explanations from international systemic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find source of this difference within domestic polit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rgues that differences in domestic social policies can explain differences in foreign aid behaviors among OECD DAC countries. That i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high domestic social welfare ratio is causally related to the high ODA/GNI ratio among donor countries. Customs, norms and institutions in domestic politics are reflected in foreign policies and more specifically foreign aid policies through externalization process. This argument is contrary to the common sense, because governments faced with limited budget may be forced to choose between provision of more domestic welfare benefits and provision of more foreign aid. To prove the hypothesis of “more domestic welfare benefits lead to more foreign aid”, this study tried pooled times series regression analyses. For the models of regression analyse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ODA/GNI ratio, and the explanatory variable is the social welfare spendings/GDP ratio. Other variables such as the economic siz, the economic development level, the export volume, and the number of former colonies possession ar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s as control variables. The regression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It has been proved that more domestic welfare benefits lead to more foreign aid prov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