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의 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 항산화능 및 항산화 비타민치

        김윤하 ( Kim Yun Ha ),안봉환 ( An Bong Hwan ),양성열 ( Yang Seong Yeol ),김철홍 ( Kim Cheol Hong ),조문경 ( Jo Mun Gyeong ),이광수 ( Lee Gwang Su ),김석모 ( Kim Seog Mo ),송태복 ( Song Tae Bo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2

        목적 : Pfannenstiel incision을 통한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 절제술의 수술을 실시하여 vertical midline incision을 통한 수술과 수술 용의성 및 수술에 따른 제반결과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만 2년 2개월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부산백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 (Ia₂-IIb)으로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1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기록을 검토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환자의 나이, 체질량 지수, 병기, 조직분류, 림프절 수, 수술시간, 예측 실혈양, 수술병리경계의 양성율, 합병증과 재원일수를 포함하여 각 환자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전향적으로 수집되었다. 통계분석은 t-test, x²-test, Fisher Exact 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 미만일 때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 절제술 시행에 있어 Vertical midline incision으로 시행한 경우는 62 예, Pfannenstiel incision은 61예였다. 두 군간의 연령분포, 체질량 지수, 임상 병기 분포, 조직분류, 제거된 림프절수, 수술 중 평균 실혈량, 병리조직 절개부 양성율, 술 중 혹은 술 후 합병증, 재원일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 수술 시간이 Pfannenstiel incision에서 169분, Vertical midline incision에서 197분으로 (p-value<0.0001) Pfannenstiel incision 군에서 유의 있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Pfannenstiel incision은 수술에 따른 이환율의 증가 없이 용이하게 시행되었고 Vertical midline incision과 비교 시 유사한 림프절 개수를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Pfannenstiel incision은 초기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수술 적치료로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 절제술 시행에 있어 수술 합병증의 증가나 수술부위 노출의 제약 없이 미용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수술시간의 단축이란 측면에서도 고려 될 수 있는 절개법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review patients undergoing radical hysterect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comparing Pfannenstiel and Vertical midline incisions for operative feasibility and perioperative outcome.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February 2003, 123 patients underwent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for cervical cancer at Busan Paik hospital.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a gynecologic oncologist. Prospectively,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 of each patient`s medical record, including age, body mass index (BMI), stage, histology, nodal counts, operative time, estimated blood loss, surgical pathologic margin positivity, complication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studied using X²test, t-test, and Fisher Exact test. Results : Radical hysterectomy was performed through a Vertical midline (n=62) and Pfannenstiel (n=61) inci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MI, stage, histology, nodal counts, estimated blood loss, surgical pathologic margin positivity, complication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But, patients with a Pfannenstiel incision had shorter operative time than those with Vertical midline incision (169 min vs 197 min, P<0.0001). Conclusion :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can be safely performed through a Pfannenstiel incision without increased operative morbidity and equal nodal removal as compared with Vertical midline incision. Pfannenstiel incision may offer the benefits of improved cosmesis and shorter operative time without compromising surgical exposure or increasing the risk of surgical complications.

      • KCI등재

        자궁경부 환상투열 절제술 후 이형성증의 재발

        김용식 ( Kim Yong Sig ),김석모 ( Kim Seog Mo ),최호선 ( Choe Ho S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자궁 경부 환상투열 절제술의 시행 후 고등급 이형성증의 재발율 및 재발에 관련된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중등도 상피내 종양 이상 및 일부 미세 침윤암 환자에서 진단 및 치료 a고적으로 자궁 경부 환상투열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절제면 양성, 다중 사분면의 침범, LEEP 시행직후의 자궁경관 세포진 양성 등이 재발에 미치는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재발된 군은 조직학적으로 중등도 이형성중 이상의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이 발견된 107명을, 대조군은 최소 24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 후 재발이 없었던 1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평균 사분면의 침범정도는 재발된 군에서 3.1 사분면 (quadrant), 대조군에서 1.8 사분면이었고, 절제면 양성인 경우는 재발된 군의 36.4% (39/107) 대조군의 6.7% (81/1207)였으며, 분석이 가능했던 898명의 LEEP 직후의 자궁경관 세포진 양성은 재발군의 19.5% (17/87), 대조군의 1% (8/811)였다. 결론 : LEEP을 시행한 후 재발율은 8.1% (107/1314)였으며, 다중 사분면이 침범된 경우, 절제면이 양성인 경우, LEEP 직후의 세포진 검사가 양성인 경우는 재발 또는 잔류병변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주의 깊은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high grade dysplasia after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Methods : LEEP using local anesthesia was performed on an outpatient basis in 1656 patients referred for colposcopy for an abnormal Papanicolaou smear of cervigram during a period of 7 years. We performed a cytologic smear immediately after loop excision. LEEP cone slides were reviewed to assess involvement of margins, multiple quadrants. Results : One hundred seven patients (8.1%) had recurrent dysplasia and mean interval of recurrence after loop excision were 13.2 months. Greater recurrence rates were noted involving margins (36.4% of recurrent group vs. 67% of control group), multiple quadrants (3.1% of recurrent group vs. 1.8% of control group), and endocervix immediately after loop excision (19.5% of recurrent group vs. 1% of control group). Conclusion : Careful follow-up should be applied in the cases of multiple quadrants involvement, margin positivity, positive Pap result right after LEEP.

      • KCI등재

        수술 전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한 난소의 원발성 악성 혼합성 뮬러리안종양

        강명선 ( Kang Myeong Seon ),김석모 ( Kim Seog Mo ),최호선 ( Choe Ho Seon ),이유경 ( Lee Yu Gy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MAGE gene and human papillomavirus (HPV) 16, 18 type in patients with cervical neoplasia using in exfoliated cervical cells. Methods : The expression of common MAGE gene (MAGE 1 to 6) in cervical scraps was studied by reverse-transcription p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12 normal control patient and 48 patients with abnormal cytologic results. In all 60 patients, colposcopic directed biopsy and HPV test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one. Results : The pathologic results of 60 patients was 12 cervicitis, 37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s (14 LSIL, 23 HSIL), and 11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s. No expression of common MAGE gene was detected in 12 cervical scraps of cervicitis. The common MAGE gene of LSIL, HSIL and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s was expressed in two (14.3%), seventeen (73.9%), ten (90.9%) respectively. HPV type 16 or 18 was detected in 1 cervicitis, 5 LSIL, 20 HSIL and 10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In 51 patients (85%), the HPV test result and the common MAGE gene expression showed coincident results. Conclusion : This result suggests common MAGE gene might be potential tumor marker in cervical neoplasia and adjuvant test of the Papanicolaou smear.

      • KCI등재

        난소의 성숙 기형종에서 유래한 갑상선 유두암

        정광필 ( Jeong Gwang Pil ),김석모 ( Kim Seog Mo ),최호선 ( Choe Ho S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Malignant transformation is a rare complication in a mature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usually being reported less than 2% of case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arising from a mature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is a squamous cell carcinoma. However, adenocarcinoma is reported extremely rare, in most cases it was impossible to tell the source of the malignancy. We experienced a case of papillary carcinoma of thyroid glands arising from mature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and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난소의 성숙 낭성기형종에서 유래한 악성 변형 11예의 임상 병리학적 고찰

        강우대 ( Kang U Dae ),윤대석 ( Yun Dae Seog ),이재영 ( Lee Jae Yeong ),김석모 ( Kim Seog Mo ),최호선 ( Choe Ho S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4

        목적: 본 연구는 비교적 드문 난소의 성숙 낭성기형종의 악성 변화에 대한 임상 병리학적 특징과 이에 따른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2년 1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치료한 11예의 악성변화가 있는 난소의 성숙 기형종 환자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분포, 연령, 임상증상, 병기, 치료 방법, 추적 관찰의 결과 등에 대해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난소 성숙 낭성기형종의 악성화는 11예로 성숙 낭성기형종 Objectiv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cerning the clinical pathology of malignant transformation arising from ovarian mature cystic teratoma.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in this rare t

      • KCI등재

        제왕절개분만 후 질식 분만 시도시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

        조문경 ( Cho Moon Kyoung ),김윤하 ( Kim Yun Ha ),박상현 ( Park Sang Hyeon ),김석모 ( Kim Seog Mo ),송태복 ( Song Tae Bo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7

        목적 : 선행 제왕절개분만 후 질식 분만을 시도한 경우 성공군과 실패군 사이의 여러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성공에 관여하는 인자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 중 선행 제왕절개분만 후 질식 분만을 원하여 시도 분만을 시행한 33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성공군 282명과 실패군 48명에서 산모의 나이, 산과력, 제태 연령, 산모의 키, 임신 전 몸무게, 산모의 분만시 몸무게, 초음파로 예측한 태아 몸무게, 신생아 몸무게, 입원시 자궁경부 상태 (Bishop score), 유도 분만의 여부, 선행 임신과의 간격, 선행 제왕절개분만 전 질식 분만한 과거력, 선행 제왕절개분만 후 질식 분만한 과거력, 선행 제왕절개분만시의 적응증, 선행 제왕절개분만시의 수술 방법, 선행 제왕절개분만시의 제태 연령과 신생아 몸무게를 조사하여 두군간에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제태연령이 더 낮을수록 (274.0±20.6 vs. 281.1±7.9일, P<0.01), 산과력이 높을수록 (1.3±0.5 vs. 1.0±0.2, P<0.01), 출생체중이 적을수록 (3,238±543 vs. 3,458±497 gram, P<0.01), 입원당시 Bishop score가 더 높을 수록 (7.8±2.7 vs. 6.6±2.5 P<0.01), 이전에 시도분만에 성공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 (0.17±0.38 vs. 0.02±0.14, P<0.01), 선행 제왕절개분만시 신생아 체중이 적은 경우 (3,257±460 vs. 3,838±411 gram, P<0.05)에 선행 제왕절개후 질식분만을 시도할 때 성공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을 분석한 결과 두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Bishop score와 질식 분만 과거력의 여부가 시도분만의 성공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선행 제왕절개 후 질식 분만을 고려하는 산모나 임상의에게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rial of labor (probability) = e^(13.48+014Bishop score+1.06vaginal delivery history-0.001birth weight-0.259gestational age)/1+e^(13.48+0.14Bishop score+1.06vaginal delivery history-0.001birth weight-0.259gestational age) Objective : To determine predi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trials of labor in women attending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delivery.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from January 1998 through December 2001 of 330 patients (sucess group n=282, failure group n=48) undergoing trials of labor after cesarean delive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Student`s t-test and the Chi-square test. Results :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prognostic indicators: lower gestational age (274.0±20.6 vs. 281.1±7.9 days, p<0.01); higher gravity (1.2±0.5 vs. 1.0±0.2, p<0.01); higher matern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3228±543 vs. 3458±497 gram, p<0.01); lower birth weight (7.8±2.7 vs. 6.6±2.5, p<0.01); history of prior trial of labor success (0.17 vs. 0.02, p<0.01), lower birth weight at prior cesarean section (3257±460 vs. 3838±411 gram, p<0.05). Conclusion :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ccessful trials of labor after cesarean delivery-Bishop score at admission, history of prior vaginal delivery will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be helpful to the physician and the patient. Trial of labor (probability) = e^(13.48+014Bishop score+1.06vaginal delivery history-0.001birth weight-0.259gestational age)/1+e^(13.48+0.14Bishop score+1.06vaginal delivery history-0.001birth weight-0.259gestational age)

      • KCI등재

        전형적인 악성 난소종양의 임상적 특징을 보인 난소 갑상선종

        임소이 ( Im So I ),하진아 ( Ha Jin A ),김석모 ( Kim Seog Mo ),최호선 ( Choe Ho S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Struma ovarii is a rare form of ovarian neoplasm, composed entirely or predominantly of thyroid tissue and generally a benign germ cell tumor of the ovary. The tumor usually present with findings of an asymptomatic mature mass. Despite containing thyroi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