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ean System을 적용한 기업정보시스템의 효율적 구축방안

        김석곤(Seok Gon Kim),김지관(Jie Kwan Kim)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5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5 No.추계

        본 연구는 기업의 정보화 구축시 성과 중심의 구축으로 인한 시스템 효율의 저하와 시스템의 효율 저하로 의해 발생하는 비용 등을 린 시스템 적용으로 최적화하고 프로세스 접근의 한계성을 구축 사이클을 개선을 통해 기존의 정보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비효율적 측면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접근가능 모델을 제시하여 구축 방법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 전력량계 실증시험장 구축 연구

        김석곤(Seok-Gon Kim),배경호(Gyeong-Ho Bae),김태유(Tae-Yoo Kim)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9

        전력량계의 성능시험은 계량오차와 전자파, 고조파 등 주변환경에 의한 오동작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온습도, 전기, 기계적 환경 등 기타 제반환경이 전력량계에 미치는 실증시험 연구와 기술개발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전납품대상 전력량계의 신규 개발시 실증시험을 통한 성능검증과 전자식 전력량계의 확대 사용에 따른 전력량계의 오동작 원인 분석, 전력품질향상 등의 품질검증 기반을 마련하고자 전력계량시스템의 실증적 연구 및 시험분석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논문임

      • 국내외 전자식 전력량계 부가서비스 시행현황과 국내 부가서비스 발전 전망

        김석곤(Seok-Gon Kim),김태유(Tae-Yoo Kim),이경호(Kyeong-Ho Lee),배경호(Gyeong-Ho Bae)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9

        국내 한국전력에서 관리 운영하고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는 약 55만 여대이며, 이중 약 15만 여대가 고압용 전자식 전력량계로 2000년대 초반부터 원격검침을 통해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고객 측에 대해서는 역률과 누적전력량 등의 기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력량계와 원격통신을 이용한 전력부가서비스는 전력회사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부하사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피크부하 제어 등의 수요관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과거는 물론 미래의 사용량을 예측하고 기타 전력 사용패턴 등을 관찰함으로서 고객의 능동적인 참여로 전력 사용량을 절약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현 시점에서의 국내 전력부가서비스의 활용수준은 초기단계로 매우 기본적인 정보에 한해서 활용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관련 연구사례와 적용사례, 그리고 시행현황의 조사 분석을 통해 향후의 국내 전력부가서비스 적용전망과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형 스마트 전력량계 부가서비스 적용방안 연구

        김석곤(Seok-Gon Kim),이한별(Han-Byul Lee),이영주(Young-Joo Lee),최용성(Yong-Sung Choi)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P Vol.59 No.1

        Electronic watt hour meters(WHM) for high pressure running in domestic were installed to the digital type meter and ones for low pressure are expected to complete within several years. Domestic power metering technology is being beyond a simple framework with an electronic type and is rapidly evolving to intelligent smart metering systems in conjunction with promotion of a national smart grid project. Major policy outlook of the world's major power company regarding Intelligent metering is the application of the fare structure diversification and is the improvement of level of service to customers. In addition, electric power companies should focus on the cost red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an efficient operation of distribution facility. In this paper, we are about to make an observa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 of the overseas smart meter and to have a view of value-added services(VAS) system of smart meter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based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VAS utilizing electronic watt hour meter performed by recent research projects.

      • KCI등재

        전자식 계기 IEC 61000-4-6 EMS 시험표준 적용 타당성 연구

        김석곤(Seok-Gon Kim),박창호(Chang-Ho Park),신동열(Dong-Yeol Shin),송태승(Tae-Seung Song),최용성(Yong-Sung Choi) 대한전기학회 2011 전기학회논문지 Vol.60 No.6

        Electricity meters using in Korea are about 1.8 million units. From among these, electronic meters for high voltage, about 170 thousand units were installed to the digital type meter and ones for low voltage installed hundreds of thou-sands of meters through a model project. Recently, low voltage meter are expected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within several years. Domestic power metering technology is being beyond a simple framework with an electronic type and is rapidly evolving to intelligent smart metering systems in conjunction with promotion of a national smart grid project.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ensure an immunity of meter for electromagnetic field and environmental noise at the installation site.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check the validity of international standard that focusing on RF electromagnetic field immunity of meter to secure the quality and improve the reliability in field operation of meter. And we will verify the validity of test specification focused on actual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are going to offer the improvement plan of test standard.

      • 차세대 전자식 전력량계 부가서비스 기술개발 추세 및 국내 적용 전망

        김석곤(Seok-Gon Kim),양승호(Seung-Ho Yang),이영섭(Young-Seop Lee),최용성(Yong-Sung Choi)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2009년 기준으로 국내 전력회사에서 관리 운영하고 있는 전력량계는 약 1,800 여 만대로 이중 약 16만 여대의 고압용 전력량계는 전자식화를 완료하였고 기타 저압용 전력량계는 2015년 이내에 전자식화를 완료할 예정이다. 국내에 전자식 전력량계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 채 10여년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의 전력계량 기술분야는 단순한 전자식화의 틀을 벗어나 국가적 스마트그리드 사업의 추진과 연계하여 지능화된 스마트 전력계량시스템으로 급격하게 진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내 현안 연구과제로 수행된 '전자식 전력량계를 활용한 부가서비스 시행방안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외 주요국가의 차세대 전자식 전력량계 부가서비스 기술개발 추세를 조망하고 향후 국내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스마트급 전력량계의 부가서비스 도출방안과 항목선정을 위한 평가 그리고 구체적 적용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관 세정용 로봇의 고 정밀 DC모터 제어

        김석곤(Seok-Gon Kim),김광홍(Kwang-Hong Kim),김준홍(Jun-Hong Kim),조병학(Byung-Hak Cho) 전력전자학회 200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0 No.11

        PID 제어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동조가 용이하며, 특성이 우수하여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LM628 모터제어기를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튜브 하부에 누적되어 있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로봇의 제어특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증기발생기내의 튜브는 약간의 외력에도 쉽게 손상을 입기 때문에 세정로봇에서 물을 분사 할 때에는 정확한 위치제어가 요구된다. PID 값과 속도, 가속도값 그리고 가변속도 등의 변화를 주었을 때, 슬러지를 제거하는 로봇 노즐부의 모터에서<br/> 발생하는 실제의 위치 및 속도, 그리고 전류값을 확인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朝鮮後期17世紀宮闕丹靑硏究

        김석곤 ( Seok Gon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조선후기 궁궐단청의 자료는 임진왜란 이후에 중건 및 창건된 궁궐과 『朝鮮王朝實錄『 등에 보이는 사료가 있어 그 이전에 비해 자료가 풍부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조선후기의 궁궐 목조건축도 仁祖反正과 李适의 亂등으로 인한 화재로 昌德宮敦化門·宣政殿· 舊璿源殿과 昌慶宮明政殿·明政門·弘化門그리고 慶熙宮崇政殿· 興化門등의 17 세기 건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조선후기에서도 제 3 기인 순조·순종 때에 중건된 건물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일제의 침략을 겪으면서 철저히 궁궐이 변형되고 훼손되어 그 전모를 정확히 밝히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궁궐단청의 형식도 현재 남아 있는 모습을 원형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사료되어 궁궐단청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 논문의 주제인 17 세기 궁궐 목조건물에 나타난 단청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궁궐단청의 형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동시기의 사찰단청 등을 비교하여 17 세기 단청 형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조선후기 17 세기 궁궐단청의 형식을 찾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17 세기 궁궐 단청을 정리하면 조선시대에는 궁궐 외에 진채단청을 하는 것에 대하여 강력히 제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궁궐 내에서도 정전이나 편전 이외에 진채단청을 행하는 것은 왕에게 윤허를 받아 처리하는 것을 기록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단청에 대한 규정이 있어 궁궐의 중요한 전각은 진채단청을 하였고 그 외의 전각에는 박채단청을 하였던 점과 중국에서 수입한 안료는 진채단청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17 세기에 중건 및 창건된 궁궐 목조건물 중 창경궁 명정전·명정문과 창경궁 선정전의 단청이 17 세기의 단청으로 파악되며 17 세기 사찰단청에서 보이는 머리초 문양과 동일한 형식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또 17 세기 이후에 건립된 다른 궁궐 목조건물의 단청과 비교를 통해 그 시기가 오래된 단청의 형식임을 알 수 있다. 17 세기 궁궐 단청의 특징은 첫째로 금모로단청의 형식이지만 금문을 머리초의 직휘부분이나 창방·평방 뺄목의 부리와 같이 면적이 작은 독립부재에 사용하였으며 둘째는 청색과 녹색의 연화를 주문양으로 사용하였고 셋째는 휘부분에서 늘휘 형식의 1 휘이거나 휘가 없이 쇠첩부분만을 표현하고 있다. 넷째는 창경궁 명정전·명정문에서는 쇠첩과 색붙임이 연결되어 있고, 다섯째는 머리초에서 속녹화가 없으며 겉곱팽이의 표현을 일률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항아리의 위치가 석류 위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여섯째 청색이 다른 곳의 단청에서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일곱째는 공포부에는 긋기로 표현하는데 첨차뱃바닥의 긋기 표현에서 뱃바닥 변을 연결하는 ‘ㄷ’자 형식으로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창경궁 명정전 당가의 평방 뒷목과 창덕궁 선정전 평방 뒷목에 금문이 시문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7 세기 궁궐단청을 고찰하면서 단확의 규정이 있는 궁궐단청이 건물의 중요도에 따른 단청의 형식을 달리하고 있음을 볼 때 현재 궁궐 정전에 행해진 단청은 궁궐 정전의 중건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조선왕조실록『의 기사 내용, 그리고 궁궐 정전 이외의 건물에 행해진 단청의 형식과 비교했을 때 금모로단청을 궁궐 정전에 적용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하며 왕실의 권위와 위계에 맞는 금단청을 궁궐 정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research objects of dangchungs, colorful paintings beneath the roof, of royal palac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exist more abundantly than the previous era because the materials of danchung appear not only in the rebuilt and newly founded palaces but in the historical texts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since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But the present wooden buildings of palac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mostly rebuilt during King Soonjo and Soonjong periods, namely, the 3rd late Chosun period, because the fires in Injo``s restoration and Lee Whal``s revolt destroyed many palaces and historical texts except for Changduk Palace. Donwha Gate, Seonjung Mansion, Kuzunwon Mansion, Changkyung Palance, Myungjeong Mansion, Hongwha Gate in the 17th century. As these remaining palaces were thoroughly changed and partially damaged by the Japanese Invasion, we now have difficulty in revealing their whole aspects. So, instead of considering the present aspect of palace danchungs as their prototype, we need to align a comprehensive reorganization about palace danchungs. The theme of this treatise is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palace danchungs through the wooden palaces in the 17th century. It will also compare them with the same period temple danchungs and figure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forms of palaces in the 17th century. By doing the process, this treatise establishes the basic form of palace danchungs of the 17th century, namely, the late Chosun Dynasty. Organizing palace danchung of the 17th century leads us to know that Jinchae danchung was publically controlled except for royal palaces and that King``s permissions were required for it except for Jeongjeon and Pyeonjeon in royal palaces. Also, it is known that the important Jeongak of palace used Jinchae danchung while the other less important monuments used pakjae danchung. And the China-imported pigments were used only in jinchae danchung according to the rules related with danchung. Danchungs in Changkyung Palace, Myeongjung Mansion, Myeongjung Gate, Sunjeong Palacein Changkyung Palace among the wooden buildings of rebuilt and newly founded of the 17th century are regarded as the genuine 17th century danchung and possess the same form as therafter-tip patterns in temple danchung. This period also has the oldest form of danchungs, compared with danchungs of the wooden buildings in other palaces built since the 17th century. The research of palace danchungs of the 17th century shows that the rules for danwhak, red and blue special ingredients produced different forms of danchung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building. Given that there were historical situations of reconstructing palaces, historical materials in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and comparision with the form of danchungs in other buildings than the royals palaces, the application of present Kumoro danchung must be reconsidered in application to the royal palces as standard and instead we can conclude that the use of kum dangchung is more desirable in the light of royal authority and hier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