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부가여과에서 알루미늄 여과판 사용 시 양자검출효율과 화질평가를 통한 효율성 분석

        김상현(Sang-Hyeon Kim),김연민(Yun-Min Kim),권경태(Kyoung-Tae Kwon),마상철(Sang-Chull Ma),한동균(Dong-Gyoon Ha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복합부가여과에서 높은 원자번호 물질에서 발생된 특성방사선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루미늄 여과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양자검출효율, 화질평가를 실시하였다. 구리 0.1, 0.2, 0.3 mm 에 알루미늄 1mm 사용 전, 후를 평가하였다. IEC 규정에 의해 선질, 양자검출효율을 실험하고 화질평가는 PSNR, MAE, MSE, CNR, SNR 정성적 평가로는 국가암검진 흉부 평가표의 해상, 대조도 평가 7문항을 이용하였다. MTF 10, 50%에서 4.6, 2.54 cycle/mm 모두 동일했고 NPS, DQE, PSNR MAE, MSE, CNR, SNR, 정성적 평가는 모두 알루미늄 미사용 시 같거나 약간 우수했다. PSNR은 30 dB이상으로 모두 의미있는 수치였고 정성적 평가에서 T-test 검정은 p>0.05였다. 알루미늄 여과판은 광자검출효율과 화질 평가에서 사용 전, 후 큰 차이가 없으므로 특성 방사선 제거를 통한 피부선량 감소를 위해 사용됨이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iveness of aluminium(Al) filter in the added compound filtration for the removal of characteristic radiation from high atomic number material by DQE and image evaluation. 1mm Al was applied to each 0.1, 0.2, 0.3 mm copper and befere and after use were evaluated. Beam quality and DQE were tested by IEC regulations and image quality was evaluated by PSNR, MAE, MSE, CNR, SNR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7 items for resolution and contrast from chest x-ray criteria of national cancer checkup. MTF 10 and 50% were the same by 4.6, 2.54 cycle/mm and NPS, DQE, PSNR MAE, MSE, CNR, SNR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all the same or slightly better when Al was not used. PSNR is over 30dB and all significant and at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p-value of t-test was over 0.05. The DQE and image quality evaluation have littl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use of Al filter and it is effective to use the Al filter for the reduction of skin dose by removal of characteristic radiation.

      • 새로운 전사방법을 활용한 MoS₂/WSe₂ 이종접합 PN 다이오드 제작과 특성에 관한 연구

        김상현(Sang-Hyun Kim),김태봉(Tae-bong Kim),윤창민(Chang-Min Yun),정상민(Sang-Min Jung) 대한전자공학회 2022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A stable transfer method is required to make a two-dimensional material PN junction diode. We have developed a new transfer method to stably fabricate two-dimensional materials PN junction diode. The disadvantages of dry transfer method and wet transfer method were refined by mixing the existing transfer methods: dry transfer method and wet transfer method. At the new transfer method, we coat WSe2 with a PC solution and take it off using PDMS and tape. And it is arrayed to put it on MoS2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When measuring MoS2/WSe2 heterojunction samples made by the new transfer method by Raman spectroscopy, we could confirm both MoS2 peak and WSe2 peak were red-shifted. Also, at the I-V measurement, we could confirm the current flow three times more when it was forward biased than that of reverse biased. Consequently, we could get stable MoS2/WSe2 yield with a new transfer metho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MoS2/WSe2. We are expecting that the new transfer method can be extended to other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will help fabricate various two-dimensional heterojunction structures.

      • KCI등재

        Treatment of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with Intravenous Zoledronate - A Case Report -

        석현,Yun Tae Kim,김상현,차장규 대한재활의학회 2011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5 No.3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TOH) is a rare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that is characterized by acute onset of disabling bone pain. The locally increased bone turnover and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associated with this disorder indicate a potential role for an antiresorptive agent such as bisphosphonate as a treatment. A previously healthy 46-year-old man developed the sudden onset of pain in his right buttock and inguinal area,especially during walking and caused him to limp. A thorough medical workup including X-ray, MRI, and bone SPECT revealed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and he was treated with an infusion of zoledronate (5 mg). Two weeks later, he was fully recovered from pain and the gait disturbance. A follow-up MRI of the hip joint taken after 6 months showed complete resolution. The use of intravenous zoledronate provided a successful outcome in the treatment of TOH. The possibility of TOH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complaining of sudden hip pain and a limping gait. MR imaging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diff erentiation of TOH from other aggressive conditions with long term sequelae.

      • 곤충세포주에서 누에신 단백질의 발현 및 성상구명

        윤은영 ( Yun Eun Young ),구태원 ( Goo Tae Won ),황재삼 ( Hwang Jae Sam ),김상현 ( Kim Sang Hyun ),강석우 ( Kang Seok Woo ),김근영 ( Kim Keun Young ),진병래 ( Jin Byung Rae ) 한국잠사학회 200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는 곤충 유전자를 이용한 항세균성 펩타이드 생산 및 농업용 소재로서의 응용에 관한 연구로서 항세균성 단백질 누에신 유전자를 베큘로 바이러스 발현계(BEVS)를 이용하여 곤충세포주에서 발현한 후 누에신 단백질의 농업용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농작물을 가해하는 감자 고추의 무름병을 일으키는 Pectobacteriun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가지 및 고추의 풋마름병을 일으키는 Ralstonia solanacearum, 양송이 버섯의 세균성 갈색 무늬병을 일으키는 Pseudomonas tolaasii 및 무와 배추의 검은썩음병을 일으키는 Xanthomonas campestries pv. campestris에 대해서 항세균 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Ralstonia solanacearum 및 Pseudomonas tolaasii에 대해 높은 활성을 나타태었으며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에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Ion exchange 및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약 20 kDa의 성숙 누에신 단백질을 순수 분리하여 pH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pH 2∼12 완충액에서 30분간 처리하였을 때에도 항세균 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100℃에서 2시간 처리시에는 활성이 안정되었으며 4시간 처리시에도 80% 정도로 유지됨을 확인함으로써 누에신 단백질은 pH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ntibacterial protein gene, nuecin was expressed in Sf9 cells using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 The antibactetial activity of mature nuecin against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k Ralstonia solanacearum and Pseudomonas tolaasii was significantly high,k demonstrating that nuecin had a wider antibacterial spectrum on gram vegabtive and positive bacteria. The result appears to be superior to other antibacterial peptide, attacin. The nuecin was purfied by SP- sepharose and Mono Q HR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then by Superdex 200 HR 10/30 column. The purified nuecin is quite stable at 80°C and 100°C for several hours of incubation and in a wide pH range (pH 2-12).

      • 누에 배양세포(Bm5) 및 생체에서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를 이용한 누에신 단백질 발현 특성

        윤은영 ( Yun Eun Young ),구태원 ( Goo Tae Won ),황재삼 ( Hwang Jae Sam ),김상현 ( Kim Sang Hyun ),강석우 ( Kang Seok Woo ),김근영 ( Kim Keun Young ),진병래 ( Jin Byung Rae ) 한국잠사학회 200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는 누에신 단백질의 대량발현을 통해 농업용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누에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유래의 pBm10pol-Xa 벡터에 누에신 유전자를 도입하여 누에 배양세표(Bm5) 및 누에 생체에서 발현한 결과 누에신전사체는 바이러스 접종 후 1일째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5일째에 최대로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누에신 단백질은 3일째부터 발현량이 증가하여 5일째까지 계속 지속적으로 발현되었으나 그 발현량은 전사체에서처럼 많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누에신 단백질의 발현량은 누에 세포에 비해 누에 생체에서 기대만큼 그 발현량이 많지 않았다. 또한 누에신의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를 이용하여 세포내 및 번역후 변형과정을 통하여 세포외로 분비된 누에신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세포내에 비해 세포외로 분비시 그 발현량이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를 이용하여 외래 단백질을 생산할 경우 정확한 메카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강력한 프로모터에 의해 세포내 단백질 생산량은 많은데 비해 정확한 단백질 고차구조 형성을 도와주는 foldase 및 chaperon의 양은 한정되어져 있으므로 정확한 고차구조를 형성하여 세포외로 분비되는 생물학적 활성을 띠는 단백질은 매우 적은 양만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누에신 단백질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분비 프로세싱의 해명 및 번역 후 변형과정의 개선을 통한 발현계의 개량이 시급히 요구된다. For the practical use of nuecin protein, we tried to overexpress nuecin using Brn5 inserted nuecin cDNA into pBm10pol-Xa vector derived from B.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BmNPV), and expressed in Bm5 cells and B. mori respctively. SDS-PAGE and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an expressed of the protein when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 was used. The amount of intracellular protein is abundant, but the amount of extracellular protein is poo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ilogically active nuecin protein produced by using BEVS is poor because incresed level of misfolded nuecin by the strong promoter, polyhedrin and p10 of BEVS, decrease the level of free chaperons and foldases by binding with them.

      • KCI등재

        팽창흑연을 이용한 p-Xylene 흡착

        이채영(Lee, Chae-Young),지형섭(Jee, Hyeong-Sub),정재우(Chung, Jae-Woo),김상현(Kim, Sang-Hyoun),조윤철(Cho, Yun-Chul),강석태(Kang, Seok-Ta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5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내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물 제거를 위한 탄소계 나노물질인 팽창흑연의 흡착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황산처리 후 600℃∼1,000℃에서 1분동안 팽창시킨 팽창흑연의 최적 팽창조건은 800℃였으며, 팽창부피는 195배에 이르렀다. 입상 활성탄과의 흡착능력을 비교한 실험결과, 팽창흑연의 비표면적은 92.4m<SUP>2</SUP>/g 으로 나타나 활성탄의 1/10에 불과하였으나, 대상 오염물질인 p-Xylene 흡착은 5분 이내에 평형농도에 도달한 반면 입상 활성탄의 경우 평형농도에 이르는 시간이 7일 이내로 나타났다. 이는 팽창흑연의 공극구조가 주로 중간공극 및 거대공극으로 이루어져 물의 혼합에 의한 대류현상으로 흡착이 일어난 반면, 활성탄에 존재하는 공극은 대부분이 미세공극으로 이루어져 확산을 통한 느린 흡착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팽창흑연의 등온흡착 실험결과는 langmuir식과 일치하였으며, 최대 흡착량은 24.0mg/g, 흡착상수는 7.94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휘발성 유기오염물에 대한 활성탄과의 비교 실험결과, 팽창흑연은 작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활성탄에 비해 비흡착량은 작았으나 흡착속도는 1차속도식 기준으로 500여배가 큰 것으로 나타나 빠른 흡착제거가 필요한 공정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expanded graphite (EG) were investigated by a series of batch adsorption tests using p-Xylene as a model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fter acid treatment, graphite were expanded at various temperature from 600℃ to 1000℃ for one minute. The optimal temperature was 800℃, where the expansion ratio reached 195 times of original volume.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of EG was 92.4 m<SUP>2</SUP>/g, which was only 1/10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however the adsorption of p-Xylene by EG was almost completed within 5 minutes while that of GAC continued for 7 days because the majority of pores of EG was consisted with meso- and macro-pores. According to the Langmuir isotherm analysis, the maximum specific adsorption of p-Xylene onto EG was 24.0 mg/L with the adsorption constant of 7.94. In conclusion, the adsorption capacity of EG was much less than that of GAC due to the significantly lower specific surface area, but the first order kinetic constant was more than 500 times larger than GAC. Overall, EG might be effective where the fast adsorption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