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운증후군 산전 선별검사

        병점,경미,조지영,박민혜,김상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1995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산모 14279명 중 임신 16∼18주에 Triple 선별검사를 받은 35세 이하의 저위험군 산모 661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riple 선별검사의 양성률은 3.4%이었다. 2) Triple 선별검사의 다운증후군에 대한 양성 예측도 는 1.8%이었다. 3) Triple 선별검사 양성 군에서 산모의 나이는 음성군 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되어 있으나 산모의 과거력, 가족 력 등에서는 의의가 없었다. 4) Triple 선별검사 음성군에서 단독인자의 위험도에 의해 실시한 양수천자검사의 결과는 의의가 없었다. 5) Triple 선별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각 표지물질들 의 수치가 모두 낮게 나타날 때는 Trisomy 18을 진단하기 위해 양수천자검사가 필요했다. 선천성 기형의 출산을 예방하는 방안으로 좀더 정확한 선별검사의 정보와 보다 빠른 시기에 가능한 검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비용- 효과적인 면에서의 개발과 더불어 선별검사에 대한 산모의 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6614 women less than 35 years of age who underwent the triple test between 16 and 20 weeks gestation from July, 1995 to Desember, 1996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positive rate of the triple test was 3.4%. 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the triple test was 1.8%. 3. Maternal age of the screening posi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creening negative group but, the past history and the family history were not significant. 4. The result of amniocentesis that were performed due to the level of the MSαFP, β-hCG and uE3 was not significant. 5. The amniocentesis should be advised to evaluate the trisomy 18 when it were reduced the level of MS FP, β-hCG and uE3 in the screening negative group.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천자 1,064예의 임상고찰

        김상향(Sang Hyang Kim),현주(Hyun Joo Kim),박은선(Eun Sun Park),최미영(Mi Young Choi),전정희(Chung Hee Ch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임산부 산전 관리에서 산모 혈청 3중 표지자검사를 염색체 이상 태아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모두 시행하게 됨에 따라서 일신기독 병원 산부인과 산전관리에서 양수천자의 빈도가 과거보다 현저히 증가하게 되었다. 목적 : 저자들은 임신중기 양수천자 시술을 받은 임산부들의 임상고찰을 통해 이 시술의 안정성, 염색체 이상의 빈도 및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3년간 본원에서 양수천자술을 시행받고 분만까지 확인된 1,0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연령분포를 전체 임산부 연령과 비교했으며, 염색체 이상아의 발생 빈도와 양수천자의 적응증, 합병증, 임신과 신생아 결과를 의무기록 중심으로 후향성 조사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tandard test로 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 1,064예의 연령분포는 35-39세군과 40세 이상군에서 다른 연령군보다 많은 양수천자술이 시행되었다. 양수천자의 적응증은 선별검사 양성군이 524명, 4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고령 임부 254명, 20.8%였으며, 다음으로 β-hCG 비정상, 과거력상 염색체 이상 또는 선천 기형아의 분만, α-FP 이상등의 순서였다.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양수천자 1/35.5이었다. 양수천자의 합병증은 13명에서 발생, 태아 손실률이 0.78% 즉 천자 128명당 1명으로 나타났다. 결론 : 산전관리시 염색체 이상아를 발견 하기위한 임신중기 양수천자술은 66.5명당 1의 염색체의 숫적 이상을 발견했으며, 천자 128명당 1명의 태아 손실률을 보여 비교적 안전한 검사로 사료되나, 자궁전벽에 태반존재시 주의를 요하며, 천자후 복통을 호소시는 입원시켜 적극적인 안정과 치료를 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임산부 산전관리에서 산모 혈청 3중 표지자검사를 염색체 이상 태아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모두 시행하게 됨에 따라서 일신기독 병원 산부인과 산전관리에서 양수천자의 빈도가 과거보다 현저히 증가하게 되었다. Midtrimester genetic amniocentesis has been a gold standard for prenatal diagnosis in antenatal care since last 25 years. After the triple serum marker test was introduced as a prenatal screening method for Down syndrome, the frequency of genetic amniocentesis was increased. Objective: To determine the complication, risk of amniocentesis and detection rate of chromosomal abnormality.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of 1,064 midtrimester genetic amnicentesis in IL Sin Christian Hospital antenatal clinic from Jan 1995 to Dec 1997. Chi square test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p value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Amnicentes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ge of 35-39 yrs and 40yrs over. And also the incidence of chromosomal abnormality was higher than younger age group. The indications of amnicentesis were screen positive of triple marker test(43%), advanced maternal age(20.8%), abnormal β-hCG level, past history of chromosome abnormality or malformed baby and abnormal α-FP level in order. Total number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was 30 and the incidence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was 2.8%(30/1,064). The complications were developed in 13 cases and fetal loss rate was 0.78%(9/1,064). Conclusion:The detection rate of chromosomal abnormality in midtrimester amni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was high and relatively safe procedure but, we should be attention to more careful manipulation.

      • KCI등재

        Serrated Edged Macro Morcellated[SEMM] 방식의 자궁적출술에 대한 임상 고찰

        전정희,현주,황연희,김상향,은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목적: 양성 부인과질환의 여성에서 부분자궁적출술의 잇점과 안전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996년 10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양성부인과질환으로 CASH를 시행받은 환자37명과 CISH를 시행받은 환자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복식 전자궁적출술을 받은 55명의 환자와 비교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세 군간의 평균비교는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1. 수술시간은 CASH가 110±31.9분, CISH가 230.5±65.7분, TAH가 145.3±30.8분으로 세 수술간의 수술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평균 실혈량은 CASH가 277.6±162.2cc, CISH가 220±212.4cc, TAH가 466.4±320.7cc로 TAH에서 현저하게 실혈량이 많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2. 합병증은 CASH가 10.8%, CISH가 10%, TAH가 30%로 TAH에서 합병증의 비율이 높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CASH가 6.5±0.95일, CISH가 6.4±1.09일, TAH가 7.5±1.19일로 TAH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lt;0.05]. 결론: 양성 부인과질환에서 부분자궁적출술은 전자궁적출술을 대신할수 있는 유용하고 안전한 수술이며, 자궁경부는 여성에게 유용한 기관으로 적절한 적응증없이 제거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vantage and safety of subtotal hysterectomy in women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37 cases of CASH and 20 cases of CISH, 55 cases of TAH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from October, 1996 to December, 1998.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cheffe test. Results: The operation time was 110±31.9min in CASH, 230.5±65.7min in CISH, 145.3± 30.8min in TAH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3 groups, mean blood loss in TAH[466.4±320.7cc] was much more than CASH[277.6±162.2cc], CISH[220±212.4cc], so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lt;0.05]. The complication rate was 10.8% in CASH, 10% in CISH, 30% in TAH. The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in TAH, so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hospitalization day was 6.5±0.95days in CASH, 6.4±1.09days in CISH, 7.5±1.19days in TAH, hospitalization day of TAH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CASH, CISH[p$lt;0.05]. Conclusion: Subtotal hysterectomy is efficient and safe operation substitutes for total hysterectomy in women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We noticed that cervix is not a useless organ, so it should not be removed without a proper ind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