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의 유형과 특성

        김삼섭 ( Kim Samsup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특수교사, 일반교사, 보조인력 및 학부모 등 학교구성원 1,60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의 유형 및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교구성원의 36%가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유형 중 언어폭력 사건, 언어폭력 사건 중 놀림 사건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은 주로 또래에 의해, 쉬는 시간 동안 교실 또는 복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발생 이후에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방법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피해가 크지 않거나, 이야기해도 소용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이 발생된 경우 피해 장애학생의 경우 친구를 대하는 것이 무섭거나 싫어졌고, 학교의 경우 장애학생에 대한 과보호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he survey research about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bully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606 school members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general education teacher, assistance personal and school pare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36% of school members have experiences about school violences. The high proportion of school violence was verbal abuse. Especially picking on disabled students was most common type. The most of school violence was happened by peer at rest time in the classroom and corridor. After the violent incident, doing nothing was much better than doing respond officially or unofficially. That`s because there was not much damage and because it was not helpful to tell others. When the school violence was happened, the violence victim had an experience to feel scared or to hate to see friends and the overprotecting disabled students was increased in school. From the above results, improvement plan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was suggested.

      • KCI등재

        제1부: 학술논문 : 직장동료가 인식하는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 문항 개발 및 타당화

        나용기 ( Yonggi Na ),김삼섭 ( Samsup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이 연구에서는 직장동료가 인식하는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 문항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예비조사를 통해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의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직장동료 11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제거시 문항내적 합치도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7개 요인의 63개 문항으로 구성된 직장동료가 인식하는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를 개발하였다. 문항은 근무태도 요인 3개문항, 생산성 요인 7문항, 안전생활 요인 3문항, 업무적응기술 요인 17문항, 사회기술 요인 12문항, 자기관리 요인 10문항, 지원활동 요인 11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study for developing job success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ought by co-workers, is to validate preliminary criterion of job success factors through a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113 Co-work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riterion, which consist of 63 items of 7 factors, of job succ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ought by co-workers were developed. For this, an item internal consistency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e found out that job success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ought by Co-workers consist of 3 items of Working attitude factor, 7 items of production factor, 3 items of Safe factor, 17 items of Adapt working factor, 12 items of social factor, 10 items of Self-management factor, 11 items of Support activities factor.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 개발

        정정온 ( Jeongon Jeong ),백종남 ( Jongnam Baek ),김삼섭 ( Samsup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이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함에 있어 수용할 준비는 어느 정도 되어있는 지를 판단하는 준거, 즉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예비준거를 구성한 다음,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① 교사의 준비, ② 예술적 수용, ③ 학교협력문화, ④ 협조적 수용, ⑤ 존중의 문화, ⑥ 정보의 교류의 6개 영역에 속하는 29개의 문항이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준거는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교사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요인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는 준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다중지능이론의 수용 준비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adoption criter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is 197 special class teachers. First, We made the adoption preliminary criterion. Preliminary criterion is made by development of item group, professional examination and preliminary inspection. Second, To improve item discrimination, We applied analysi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pha if item deleted and item-total correlation. And to improve construct validity of criterion, we appli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is evidence on internal structure. From this result, We found out 29 items subjected those 6 categories: the teacher``s preparation for class; artistic acceptance; school cooperation atmosphere; cooperative acceptance; respectable atmosphere; information exchange. This study focused on probing and opportuning what criterion is nee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in which the teachers adapt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ese new criterion will be used as a criterion whether the teachers is prepared for adapt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r not. In addition, We expect that the adoption criter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ill be useful for further study to know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adopt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 KCI등재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 인권 침해 실태

        Kim, Kiryong,Kim, Samsup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uman rights violations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3 main categories: bullying, direct discrimination and indirect discrimination. 10 sub-categories include violence, sexual abuse, verbal abuse, harassment, cyber-bullying, invasion of privacy, educational neglect, discrimin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unsupported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inconsiderateness, and 36 small-catego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606 school members compris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assistants and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inclusive classroom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59.2%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expressed as a percentage, was the highes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lowest was for general teachers. Of the main categori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school bullying showed a higher proportion(42.3%) than direct or indirect discrimination. Of the 10 sub-categorie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 in all school members was the denial of accommodation. No support for communication and commute to school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36 small-categori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eliminating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권 침해 실태를 알아보고 장애학생의 인권 증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인권 침해 조사 문항을 개발한 후, 특수교사, 일반교사, 보조인력 및 학부모 1,6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 대상자의 59.2%가 장애학생에 대한 인권 침해 사건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구성원별로는 특수교사가 인권 침해 사건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학부모, 보조인력, 일반교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 침해 대분류 유형 중 학교폭력에 대한 경험 비율이 직접차별 또는 간접차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차별과 간접차별의 경우 학교폭력에 비해 경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분류 유형 및 소분류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직접차별 또는 간접차별에 포함되는 하위 유형 중 일부 유형은 학교폭력에 해당되는 하위 유형보다 경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인권 침해 중분류 유형 중 편의제공 미지원이 전체 학교구성원이 가장 많이 경험한 인권 침해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고, 소분류 유형 중 통학지원 미제공, 의사소통 미지원 등 간접차별의 하위유형에 해당되는 인권 침해 유형에 대한 경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 직접 차별 및 간접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