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속철도역 안내표지판의 특성 분석 및 표준화 방안

        김부원(Kim Boo-won),한찬석(Han Chan-seok),시곤(Kim Sig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4D

        현재 고속철도역의 안내표지판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모든 고속철도역에서 모양이나 배치에 대한 통일성이 없다. 그리고 시설물의 안내 표시가 실제 위치와 전혀 다른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판도 있다. 또한, 광고나 다른 장애물에 가려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내표지판의 시인성, 정확성, 통일성, 간결성의 특성을 포함하는 표준화 빙안을 제시하였다. 제공하는 안내정보의 의미와 방법에 따라서 방향안내, 위치안내, 정보안내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유형에 따라 전국의 고속철도역을 조사하여 안내표지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시인성, 정확성, 통일성, 간결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안내표지판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Directional sign system in Korean high speed railway stations has a lot of problems. For an example, It lacks of consistency in the shape or allocation. Also, the signs do not match with the actual directions sometimes. Last but not least, the view is blocked by the other signs such as advertisement or other barriers.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that includ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First, we categorized signs into directional signs, locational signs, and infomational signs. Then, we examined the actual high speed railway stations in Korea to learn the real situation. Finally,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ar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 KCI등재

        지난 5년간 우리나라 정상 출생아 체중의 변화

        박세진 ( Se Jin Park ),김부원 ( Boo Won Kim ),이정주 ( Jung Ju Lee ),민희 ( Min Hee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8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9 No.2

        목적: 지난 2002부터 5년간 37~40주 사이의 정상 출생아들의 평균 출생체중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우리나라 통계청이 수집 한 인구동태 통계자료를 통해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출생한 총 신생아 중 37주 미만과 40+1주 이상을 제외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연도마다 출생주수별 평균 출생체중, 남아와 여아의 출생주수별 평균 출생체중, 그리고 서울과 지방을 구분하여 서울과 지방의 남녀 평균 출생체중, 출생주수별 남녀 평균 출생체중을 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난 5년간 37~40주 전체에서 평균 출생체중과 남녀 평균 출생체중을 구하였다. 결과: 2002년부터 2006년 사이 출생한 37~40주 사이의 정상 출생아들의 지난 5년간 평균 출생체중은 남아 3,312 g, 여아 3,210 g 이었으며, 각각 62 g, 49 g 감소하였다. 서울과 지방에서 출생한 남녀의 평균 출생체중도 지난 5년간 남아 68 g, 60 g, 여아 54 g, 47 g 각각 감소하였으며 서울과 지방의 지역 구분에 따른 평균 출생체중 증감의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출생주수별 남녀 평균 출생체중은 37~39주에서 감소하였으나 40주에서는 오히려 4 g, 2 g 증가하였으며, 서울과 지방의 각 출생주수별 남녀 평균 출생체중도 37~39주에서는 양 지역 모두 감소하였고 40주에서는 양 지역 모두 약간 증가하였다. 결론: 지난 5년간 우리나라 정상 출생아들의 평균 출생체중은 남녀 모두 감소하였으며 성별, 출생 주수, 지역에 따른 평균 출생체중의 증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Purpos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birth weight of full term newborns in the Korean population over the past 5 years and to delineate their relating factors. Methods: We used the dynamic statistics of the population from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hich represents the current trend of social stratification. We analyzed birth records over a five-year period & studied the changes in the birth weight of full term newborns by year, gender, gestational age & Seoul or non-Seoul areas from 2002 to 2006. Results: The mean birth weights of newborns in the 37~40 weeks range were 3,312 g and 3,210 g for male & female infants, respectively & decreased by 62 g and 49 g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birth weight in full term newborns decreased from 3,299 g to 3,243 g in tota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birth weigh for each year, both sexes, each gestational age & capital or non-capital areas. Conclusion: The birth weight of full term newborns in Korea has de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showing that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genders, gestational ages, and Seoul or non-Seoul areas. We need to study more prospectively the demographic variables which cause the trend if the mean birth weight continues to decrease.

      • 고속철도역 안내표지판의 특성 분석 및 표준화 방안

        한찬석(Han Chan-seok),김부원(Kim Boo-won),시곤(Kim Sigon) 한국철도학회 200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Directional sign system in Korean high speed railway stations has a lot of problems. For an example, It lacks of consistency in the shape or allocation. Also, the signs do not match with the actual directions sometimes. Last but not least, the view is blocked by the other signs such as advertisement or other barriers.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that includ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First, we categorized signs into directional signs, locational signs, and infomational signs. Then, we examined the actual high speed railway stations in Korea to learn the real situation. Finally,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ar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