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점 ( Mi Jeom K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영미 ( Young Mi Kim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감각통합능력 및 일상생활능력이 지체된 것으로 진단된 뇌성마비 유아 1명을 대상으로 대상유아의 장애 및 발달 특성을 고려한 감각통합프로그램(촉각, 전정각, 고유수용각 훈련을 중심으로 구성)을 구안,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아동용 감1)각반응검사(SSP)와 신변처리능력 평정척도(DARBAS의 하위 영역)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프로그램은 2004년 1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총 72회기(주 3회, 회기당 40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각 능력의 변화 수준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상유아의 감각통합능력은 사전 점수 89점보다 56점 향상된 145점으로 나타나 감각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변처리능력 평정척도에서 대상유아의 신변처리능력은 사전 7.3개월 수준에서 사후 30개월 수준으로 평균 22.7개월 수준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구안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추론하였다.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was applied to improve the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ffectively. Pre- and post- test designs were applied for one child with celebral palsy who showed the delayed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The main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sub-tests of DARBAS and SSP(Short Sensory Profile) Test.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hild from November 2005 to April 2006 and the total attempts were 72 times (40min. per time and 3 times per week). The followings are what w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1)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was investigated by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 and post- tests;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y was improved by 56 point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89 for pretest to 145 from post-test), showing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2) The self help ability of the child was improved by 22.7 months (from 7.3 months before the test to 30 months after the test) These suggest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is very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노인의 관절염 수술유무, 연령, 지역에 따른 균형 및 보행 차이 연구

        김미점 ( Kim Mi-geo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관절염 수술유무, 연령, 지역에 따른 균형 및 보행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노인의 관절염 수술유무, 연령, 지역에 따른 균형 및 보행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빈도 및 백분율과 다변량 분석을 통해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1. 수술유무, 연령, 지역에 따른 균형 차이는 연령(p<.01)과 수술유무*연령*지역간(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수술상태, 연령, 지역에 따른 보행 차이는 수술유무*연령*지역간(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인의 관절염 수술유무, 연령, 지역에 따른 균형 차이는 연령(p<.01)과 수술유무*연령*지역간(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보행 차이는 수술유무*연령*지역간(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관절염 관리를 위해 수술유무, 연령, 지역을 고려해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Difference of Balance and Gait of Elderly according to Arthritis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Age, Area. Methods : The was investigated on the Difference of Balance and Gait of Elderly according to Arthritis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Age,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Age, and Area according to Age (p <.01) and the between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 Age * area (p <.0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ait Difference according to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Age, and Area according to the between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 Age * Area (p <.05).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Balance according to the Arthritis Surgery Presence or Absence, Age and Area of elder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p <.01) and the between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 Age * Area (p <.05). And Gai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between Surgical Presence or Absence * Age * Area (p <.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anagement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Arthritis in the elderly considering the Surgery Presence or Absence, Age, and Area.

      •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특성 연구

        김미점 ( Mi Geom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5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진행되는 노인의 우울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과 서비스 지원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빈도 및 백분율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특성의 결과로는 “요즈음 들어 활동량이나 의욕이 많이 떨어지셨습니까?”와 “생활이 지루하게 느껴질때가 많습니까?” 두 영역에서 모두 남자가 평균±표준편차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성별에 따른 우울 특성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특성의 결과로는 “요즈음 들어 활동량이나 의욕이 많이 떨어지셨습니까?”와 “생활이 지루하게 느껴질때가 많습니까?” 두 영역에서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p<.05).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of Elderly according to gender,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of program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services support in future progress of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of elderly. Methods: The way of this study was analysis the investigation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of elderly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 analysis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As a result of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of elderly according to gender "Just lately, Did you fall off a lot of activity or motivated?" and "How many times when you feel life is boring?" in both areas men appear higher than women in mean ± standard deviation, and it got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that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of elderly according to gender(p <.05). Conclusion: As a result of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of elderly according to gender "Just lately, Did you fall off a lot of activity or motivated?" and "How many times when you feel life is boring?" in both areas men appear higher than women, and it got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p <.05).

      • KCI등재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김미점(Mi Jum Kim),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들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2015년까지 국내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중 선정과정을 거쳐 석사학위논문 46편, 박사학위논문 3편, 학술논문 53편 총 102편을 최종 분석하였다. 전체효과크기에서 희망과 정적적응의 효과크기는 , 537로 나타났고, 희망과 부적적응의 효과크기는 -, 387로 높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희망과 정적적응의 관계에서 학교급별, 연구대상 유형, 희망의 정의와 측 정도구, 희망요소, 개별적인 적응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를 살펴보면 희망은 초등학교, 중학교, 대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구대상 유형별로는 신체질환 환자와 정상인이 정신질환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의 정의와 측정 에서는 Snyder, Miller와 Powers, Nowotny가 Herth보다 높게 나타났고, 희망의 요소에서는 희망주도가 희망경로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별적인 적응유형에서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크기가 높았으며 스트레스 대처능력, 결혼생활적응의 효과크기가 낮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희망과 부적적응의 관계에서 연구대상, 연구대상 유형, 희망의 정의와 측정, 희망요소, 개별적인 부적적응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서는 노인이 학생과 성인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신체질환 환자가 정신질환 환자나 정상인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Herth와 Nowotny가 Snyder, Miller와 Powers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희망주도가 희망경로보다 부적으로 높았다. 개별적응 유형을 보면 절망감, 불안감, 자기도피가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제행동, 스트레스, 소진, 자살생각은 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본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Hope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o increase adjustment of human so the study wa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adjustment related variables by meta-analysis, To achieve research questions, researchers searched for various databases and analyzed 102 studies, which were composed of 46 master``s theses, 3 dissertations, and 53 journals from 1990-2015,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Rosenthal and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There was no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positive adjustment, however, there was a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negative adjustment, So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bias with trim and fill method suggested by Duval and Tweedie to consider imputed effect sizes not found in the study, The total effect size of hope and positive adjustment was , 537 and that of hope and negative adjustment was -, 387, The moderator variables (school types, research subjects, type of research subjects, definition of hope, elements of hope, adjustm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effect sizes between hope and positive adjustment, and between hope and negative adjustment, Based on the relevance of prior researches,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DQDB 망에서의 데이타 대기 시간 예측 방안 연구

        김미점(Mi Jeom Kim),김영호(Young H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DQDB 프로토콜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과 분석을 통한 성능 측정이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DQDB 통신망에서의 임의의 노드에서의 데이터 대기시간을 예측했다. 기본적인 생각은 노드의 위치와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버스 요구를 이용하여 임의의 노드에서의 세그먼트 대기시간을 예측한다. 기본적인 가정은 한 노드의 목적지 노드가 될 확률은 그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이 동일하며 각 노드에서 자신의 노드가 몇 번째 위치했는가를 아는 것이다. 이러한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전체망의 부하가 대역폭의 두 배정도까지는 어느 정도 적증하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예측이 어긋났다. 여러 부하하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전체 부하가 대역폭의 100%에서 200%사이일 때 예측이 유용함을 확인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교사정서, 수업참여 및 수업의 질의 구조적 관계

        김미점(Kim, Mi Jum),조한익(Cho, Han-I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교사정서, 수업참여 및 수업의 질의 구조적인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담임교사 821명으로 남교사는 152명이고 여교사는 669명이다.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교사정서 및 수업의 질의 탐색적 요인분석은 탐색집단 3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는 확인집단 4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사가 지각한 성취목표지향성, 교사정서, 수업참여 및 수업의 질 척도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교사정서, 수업참여 및 수업의 질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전에 정규성 가정과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 숙달목표지향성은 기쁨과 수업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분노와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분노와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수업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쁨은 수업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불안은 수업참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수업의 질의 관계에서 교사정서와 수업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은 기쁨과 불안을 매개로 수업참여와 수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기쁨과 불안을 매개로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쁨과 불안은 수업참여를 매개로 수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달목표지향성은 기쁨, 불안 및 수업참여를 매개로 수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기쁨과 수업참여를 매개로 수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er emotions,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room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s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ef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er emo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room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nxiety and anxiety, howeve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nd quality of teaching.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nger and anxiety,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in the class.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but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eacher emotions and class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lassroom quality,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influenced on class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teaching by the mediation of enjoyment and anxiety.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influenced on participation in class through enjoyment and anxiety. Enjoyment and anxiety influenced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rough class participation.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influenced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rough enjoyment and participation in class, and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influenced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rough anxiety and class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relevance to previous research,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research.

      • KCI등재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의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

        김미점(Kim Mi-Jeom),유재웅(Yu Jae-Woong),이성복(Lee Sung-Bok)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양군에 거주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의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충남 청양에 거주하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 중 60대 이상의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 특성은 빈도분석,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는 하지 기능과 롬베르그 검사간의 관련성은 P< .01, .05 수준, 하지 기능과 일어서서 걷기 검사간의 관련성은 P < .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이 유의한 것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들의 다양한 변인들에 따른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community care service subjects residing in Cheongyang-gun.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119 elderly people of over 60 years older among community care service recipients residing in Cheongyang, Chungcheongnam-do.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3.0 program, and a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characteristics, and a chi-square (x2) test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Results :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balance 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Romberg’s test was significant at the P <.01, .05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Timed up and go test was significant at the P <.01. Conclusion :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is significant, and in future studies, we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of community care service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a program to improve ability will be implemented and research on its effectiveness will be conducted.

      • 청양군 다문화 센터의 프로그램 현황 분석

        김미점 ( Mi Geom Kim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4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2013년의 청양군 다문화 센터의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다문화 센터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질적인 서비스 제고를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2013년도 12월까지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총 2개의 대분류 사업과 세부 12개의 프로그램을 파악하고 그 현황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 청양군 다문화 센터의 프로그램은 총 12개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그 현황으로는 첫째, 기본 사업의 세부 프로그램 10개로는 한국어교육 1단계 50회기 100.0%, 한국어교육 2단계 50회기 100.0%, 한국어교육(산동반) 50회기 100.0%, 한국어능력대비반 50회기 100.0%, 방문교육 80회기 100.0%, 가족통합교육 5회기 16.7%, 취업교육연계 45회기 173.1%, 다문화가족자조모임 11회기 96.7%, 가족상담 107회기 124.4%, 다문화인식개선사업 9회기 450.0%, 둘째, 특성화 사업의 세부 프로그램 2개로는, 통·번역 1,075회기 2,150.0%, 언어영재교실 16회기 160.0%로 나타났다. 결론 : 청양군 다문화 센터의 프로그램 현황으로는, 총 12개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4개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과 방문교육은 100% 목표 달성, 가족통합교육과 다문화가족자조모임은 목표달성 이하, 취업교육연계, 가족상담, 다문화인식개선사업, 통·번역, 언어영재교실은 목표달성 초과로 나타났다.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find out analysis on the Program Present Situation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2013, which is the next progression is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quality of service of the various programs of the Multicultural Center. Methods : The way of this study was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n total 12 details program in two large category business utilize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at status, the result analysis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 First, the 10 details programs of the basic business is to, Korean education 1 Step 50 sessions 100.0%, Korean education 2 Step 50 sessions 100.0%, Korean Language Education (Sandongban) 50 sessions 100.0%, Korean Proficiency Preparation 50 sessions 100.0%, Visiting Teaching 80 session 100.0%, family integrating education 5 sessions 16.7%, vocational linked education 45 sessions 173.1%, multicultural family self-help meeting 11 session 96.7%, family counseling 107 session 124.4%,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 9 session 450.0%, second, the 2 details programs of the specialization business is, interpreting.translation 1,075 session 2,150.0%, and was languages genius classroom 16 session 160.0%. Conclusion : Cheongyanggun Multicultural Center program has a total 12 programs, four Korean education programs and visiting teaching are 100.0% goals attainment, family integrating educa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self-help meeting goals less, vocational linked education, family counseling,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interpreting.translation, languages genius classroom goals exceed respectively.

      •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만족도 및 욕구 조사 연구

        김미점 ( Mi Geom Kim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4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진행한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만족도 및 욕구 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진행되는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진행한 다문화가족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 및 욕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빈도 및 백분율과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결과로는 만족도는 첫째, 센터 프로그램 만족도 매우 그렇다 40.0%, 둘째, 센터 지원서비스 만족도 매우 그렇다 33.3%, 욕구는, 교육 참여에 가장 불편한 점으로 교통불편 12명, 향후 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어학(한국어/영어) 7명, 통,번역지원 서비스 중가장 필요한 언어로 베트남어 13명,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기초 교과지도 10명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문항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만족도 조사는, 센터 프로그램 40.0%와 센터 지원서비스 33.3%로 매우 그렇다에 응답이 가장 높았고, 욕구 조사는 통,번역지원 서비스중 가장 필요한 언어로 베트남어가 13명으로 가장 욕구가 높았다. 이는 앞으로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필요성이 있으며, 언어적 지원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find out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Business conducted in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of future progress Business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Methods : The way of this study was analysis the investigation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d needs by carried out on a in the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usiness, the result analysis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visual graph. Results : The analysis result was the most presented in the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usiness, first, the center program satisfaction Strongly agree 40.0%, second, center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Strongly agree 33.3%, the needs is the most presented traffic inconvenience 12 people in the most inconvenient in education participation, most necessary language training for future employment (Korean / English) 7 people, in education, Vietnamese translation support 13 people in most nee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upport service, were most needed by the most questions answered in the curriculum based teaching on 10 people with education to their children. Conclusion : The Satisfaction investigation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business, was the highest in the response the center programs 40.0% and center support services 33.3%, the Needs is most needs to Vietnamese Language 13 people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upport service. This is the future and the need to actively develop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business, suggesting that higher verbal support.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점 ( Mi Jeom Kim ),염동삼 ( Dong Sam You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2006년 11월 30일부터 12월 14일까지 통영에 거주하는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 1인을 대상으로 교차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평균값, 시각적 그래프와 VCR을 통해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대상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강제유도치료보다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강제유도치료보다 손의 기민성 능력은 0.25개 향상시켰고 놓기 능력은 2.575초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강제유도치료보다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 모두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에서의 중요한 기능 증진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the dexterity and release ability of the affected hand in hemiplegia with TBI and to look for ways to improve the adult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The way of this study was a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The subject was 1 hemiplegia with TBI lived in Tong-young and studied on November 30th, 2006 to December 14th, 2006. The result analysis represented by average value, visual graph and VCR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of each dexterity and release ability of this subject had improved by the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ore than Constraint-induced therapy. The CIMT more than CIT improved dexterity ability as increased number of 0.25 pieces and release ability as reduced time of 2.575 second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IMT more than C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dexterity and release of affected upper extremity in hemiplegia with TBI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