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기업은 왜 결산월을 변경하는가?

        김문철 ( Moonchul Kim ),이정엽 ( Jungyoup Lee ),전영순 ( Youngsoon S. Cheo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4

        기업은 다양한 사유로 결산월을 변경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결산월을 변경하는 기업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결산월 변경기업의 재무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산월 변경사유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결산월변경사유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국·내외를 통해 거의 부재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신문 등 언론에서 기업의 결산월 변경을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만 다루어 왔으며 결산월 변경에 관한 체계적인 학술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언론의 주장에 기초하여 결산월 변경동기를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합리적인 변경동기와 기회주의적 변경동기로 구분하고 각 동기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또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결산월 변경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1999년부터 2011년까지 결산월을 변경한 110개 기업이다. 분석 결과, 표본기업의 84%가 지배기업의 결산월 또는 투자기업의 결산월과 일치시키기 위해 결산월을 변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결산월 변경이 지배기업의 연결재무제표 작성이나 투자기업의 지분법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합리적인 변경임을 의미한다. 반면, 결산월 변경 후 기업을 분석하는 애널리스트 수나 투자자의 관심을 대변하는 주식거래량은 증가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애널리스트나 투자자로부터 보다 높은 관심을 받기 위해 산업을 대표하는 결산월로 변경한다는 사유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기회주의적 변경동기와 관련해서는, 관리종목 기업이 결산월을 변경하는 경향이 있으며 변경당기에 높은 당기순이익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관리종목 기업이 관리종목으로부터 조기해제를 위해 결산월 변경을 이용한다는 주장과 일관성이 있다. 반면, 결산월 변경 후에도 감사시간이나 감사보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는데, 이는 엄격한 외부감사를 피하기 위해 결산월이 집중되는 12월로 결산월을 변경한다는 언론의 주장이 타당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기업은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합리적인 사유뿐만 아니라 기회주의적인 사유에 의해 결산월을 변경하고 있다. 또한 결산월 변경기업은 변경당기에 영업외손익 항목을 이용하여 당기순이익을 높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로 인해 변경당기의 재무제표 정보의 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산월 변경에 관한 우리나라의 공시규정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결산월 변경 기업들은 변경 사유에 대한 구체적인 공시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감독당국은 결산월 변경에 관한 공시규정을 정비하고 해당 공시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여 결산월 변경에 대한 충실하고 성실한 공시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결산월을 변경하는 유인에 관해 체계적으로 고찰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choice of the reporting period is an important decision for firms since the reporting period can affect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of the firm. In Korea, more than 90% of listed firms have fiscal year-ends of December 31. Thus, auditors may not be able to conduct as rigorous audit for clients with December-fiscal-year-ends as for clients with non-December-fiscal-year-ends, since they have to complete all their audit engagements within a limited time period. Also, firms`` business seasonality can affect the choice of the reporting period if firms want to coincide their fiscal years with the business cycle. These suggest that the choice of the reporting period is likely to be a strategic decision rather than a random decision. Prior research suggests firm size, regulations on firms`` fiscal year, industry characteristics, business seasonality, and fiscal year of industry peers as determinants of firms`` reporting periods. Firms may face a need to change reporting periods, once they chose fiscal year at the time of establishments. Prior research examines firms`` incentives to change reporting periods using the data from other countries. The literature documents business seasonality, mergers and acquisitions, uniformity in fiscal year within the same industry, earnings management using missing months, and alignment with a parent``s reporting period as reasons for reporting period change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hanging reporting periods is a strategic decision driven by business reasons. In Korea, firms often change reporting periods and the press tends to cover these events in a negative light. Based on anecdotes, the press makes allegations that firms change fiscal year-ends from non-December to December in order to avoid rigorous audit. Also, the press argues that firms designated as Administrative issues change reporting periods in order to be lifted from Administrative issues. However, as prior research suggests, firms may change reporting periods for business reasons. For example, a subsidiary could change the reporting period to align with the parent``s fiscal year. Similarly, an affiliate could change the reporting period to align with the investor``s reporting period. Also, firms may change fiscal years to coincide with the industry norm. If firms change fiscal years for business reasons, the allegations made by the press are unwarranted. Thus, this study examines why firms change reporting period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s firms`` incentives to change reporting periods into rational business decisions and opportunistic incentives. This study examines two types of fiscal year changes driven by rational business reasons: alignment with the parent or investor and alignment with industry peers in order to attract more attention from analysts or investors. We also examine two types of fiscal year changes activated by selfish motives: reporting period change with the intention of being lifted from Administrative issues and reporting period change to December in order to avoid rigorous audit. The sample of the study is 110 firms that changed fiscal years during 1999-2011. The results reveal that 84% of the sample firms change fiscal years to align their reporting periods with those of the parent or investor company. This type of a fiscal year change is firms`` rational behavior to facilitate more efficient financial reporting. On the other hand, neither trading volume nor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firms increases after reporting period changes. Thes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firms aligning

      • KCI우수등재

        부정적 사건 전 내부자거래 행태

        Moonchul Kim(김문철),Sungjoon Huh(허성준),Mun Ho Hwang(황문호) 한국경영학회 2020 經營學硏究 Vol.49 No.5

        We investigate the insider trading behavior before the disclosure of negative events.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insider sales increase before a negative event occurs, when they concentrate, and whether corporate governance plays an active role in monitoring insider trad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ck prices of firms with negative events decline about 10 months before the negative events. Insider trades by executives and largest shareholders show significant net selling behavior at least 24 months before the negative events. It is interpreted that insiders with private information about firm’s future negative events sell stock in advance to avoid losses. Second, foreign investors or institutional investors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monitoring opportunistic insider trading before negative events such as accounting fraud detection and administrative issues designation. Third, insider sales of ‘10% or more major shareholders’ occurred much later than those of ‘executives and largest shareholders’. It could be due to the different ability of the insider to access the inside information of the firm.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insider transactions that occur before negative events such as detection of fraud or administrative issues designation in Korea.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sider trading occurs two years before the negative event, which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the regulatory authorities in charge of preventing unfair insider trading in the capital market.

      • KCI우수등재

        기업의 성장가능성이 사내유보이익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문철(Moonchul Kim),전영순(Youngsoon S. Cheon)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3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levy on excessive retained earnings of companies, which in turn has provoked a storm of protest. Taxes levied on excessive retained earnings were introduced to level the playing field between shareholders of unlisted companies and those of listed companies in advanced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of excessive retained earnings taxes in Korea is for the purpose of the economic vitalization. This tax policy of the government reflects the perception that accumulating earnings within companies hinders the growth of companies and furthermore the growth of the economy as a whole. However, whether accumulating earnings within firms works for or against firm value depends upon growth opportunities that firms have. Firms with high growth opportunities can use internal reserves to finance profitable projects, which in turn will increase firm value. However, firms with little or no growth opportunity may use internal reserves for investment projects that yield no profit or even destroy firm value (i.e., overinvestment problems). Thus, the effect of retained earnings on firm value is likely to depend on firms growth opportunities. Nevertheless, we are unaware of any study that examines this issue and therefore our study fills the gap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ned earnings and firm value conditioned on firms growth opportun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xcessive retained earnings in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negatively affect firm value. Furthermore, we examine whether high dividend payouts, long-term debt financing, and monitoring of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mitigate agency costs arising from excessive retained earnings in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Using 16,724 firm-years from the period of 2000-2013, we find that firms retained earnings are positively related to firm value. However, th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tained earnings and firm value significantly declines for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assertion that excessive retained earnings in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have the potential to generate overinvestment problems. The results are robust for both KSE and Kosdaq market firm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high dividend payouts and foreign investors mitigate overinvestment problems for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However, debt financing does not reduce the agency costs related to excessive retained earnings in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Our results suggest that firms growth opportunitie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government introduces policies concerning retained earnings.

      • KCI우수등재

        IFRS 도입을 전후한 연결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변화

        김문철(Moonchul Kim),전영순(Youngsoon S. Cheon),안성희(Sunghee Ahn),하승현(Seung-hyun Ha)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3

        국내 상장기업은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여 연결재무제표 및 별도재무제표를 작성?공시하고 있다. 특히, 연결재무제표는 IFRS 도입으로 주 재무제표가 되었으며, 법정 공시기한도 약 30일 단축되었다. 또한, IFRS 도입으로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 종속기업의 범위도 변경되는 등 회계기준 변경도 존재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연결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은 IFRS 전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IFRS)도입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변화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FRS 도입 후 주가에 대한 연결순이익과 연결순자산의 결합설명력은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결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하지만 연결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업가치 결정에 있어 연결순자산의 상대적 중요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IFRS 도입 이후 공정가치 회계의 확대로 연결순자산이 공정가치를 보다 충실하게 반영하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둘째, 2010 회계연도의 K-GAAP에 의한 연결재무제표를 IFRS로 전환함에 따라 발생하는 연결순자산 조정액과 연결순이익 조정액 중 연결범위의 차이로 인한 연결순자산 조정액과 연결순이익 조정액은 가치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K-GAAP과 IFRS간 회계처리기준의 차이로 인한 연결순이익 조정액은 주가에 대해 추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K-GAAP에 따른 손익에는 적절히 반영되지 않고 IFRS를 적용함에 따라 손익에 반영되는 항목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IFRS 도입 후 연결재무제표의 공시기한 단축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의 정보효과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결과는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되는 코스닥 상장기업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난다. 이는 IFRS 도입으로 연결재무제표 공시기한이 단축됨에 따라 비외감종속기업이 연결대상에 포함되거나 연결재무제표 작성기간 및 촉박한 감사기간 등으로 오히려 연결재무제표의 신뢰성이 감소되었을 것이라는 시장의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IFRS 도입을 전후하여 연결순자산과 연결순이익의 결합설명력 및 각각의 증분설명력을 검증하고, 연결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변동을 가져올 수 있는 각 요인별로 정보효과의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데 공헌점이 있다.

      • KCI등재

        특별기고논문 : 감리사례 ; 우회상장기업의 회계부정에 대한 감사실패: K사 사례

        김문철(제1저자) ( Moonchul Kim ),안성희(교신저자) ( Sunghee Ah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3

        본 연구는 우회상장을 통해 주식시장에 진입한 K사가 우회상장 이전에 저지른 분식회계로 인해 상장폐지됨에 따라 수많은 소액투자자에게 막대한 손실을 끼친 회계부정사례에 대해 분석한다. K사는 반도체 웨이퍼 등을 개발하는 회사로서 우회상장 전 기간에 급속한 성장을 보임으로써 주식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나 우회상장을 거쳐 상장된 후 얼마 되지 않아 거액의 분식회계가 드러남에 따라 의견거절의 감사의견을 받고 결국 상장폐지 되었다. 본 사례에서는 K사가 행한 분식회계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분식회계를 적발하지 못한 외부감사의 실패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행하고자 한다. K사가 행한 분식회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K사는 페이퍼컴퍼니(paper company)를 설립하여 이들 회사와 허위 매입 및 매출거래를 발생시켰으며 그 결과 매출채권, 선급금, 재고자산 및 매입채무 등의 관련 자산과 부채도 과대계상하였다. 또한 회사가 가공서비스만 제공하는 원자재를 재고자산으로 기록하여 자산을 과대계상하였다. 둘째, 회사의 유형자산과 관련해서 유형자산의 허위취득, 존재하지 않는 자산의 허위계상, 유형자산 시운전비의 자본화에 관련된 부적절한 회계처리, 건설중인 자산의 자산대체시점을 고의로 지연하여 손익을 부풀린 사실도 밝혀졌다. 그러나 이와 같이 K사가 저지른 광범위한 분식회계를 회계감사인이 적시에 적발해내지 못함에 따라 K사는 우회상장에 성공하였으나 곧바로 후속 외부감사인의 감사에서 분식회계가 적발되어 상장폐지로 이어지게 되었다. K사의 감사인인 B회계법인은 감사계획 수립시 K사의 중요한 왜곡표시위험을 과소평가하 였으며, 이로 인해 감사위험을 낮추기 위한 충분한 실증절차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특히, B회계법인은 실증절차에서 전문가로서의 정당한 의구심을 가지고 감사에 임하지 못하였고 분식회계를 의심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한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에 증권 선물위원회는 B회계법인에 대해 감사실패의 책임을 물어 과징금 부과, 손해배상공동기금 추가적립, K사에 대한 3년간의 감사업무제한 조치를 내렸다. 본 사례는 분식회계를 적발하지 못한 감사실패의 원인을 중요한 왜곡표시위험평가단계에서 부터 실증절차의 적용에 이르기까지 감사과정에 따라 밝히고 아울러 분식회계의 적발을 위 해 수행되었어야 할 감사절차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사례는 일반적으 로 접하기 어려운 실제 기업분식사례와 그에 대한 감사절차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회계감사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accounting frauds of K Co.,Ltd, especially focusing on audit failure. Established in 2000, K Co.,Ltd is a semiconductor wafer company. It was successful in developing its own differentiated production technologies, building its reput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K Co.,Ltd was listed in KOSDAQ in 2009 through backdoor listing, and was subsequently delisted after the revelation of accounting frauds uncovered by audit opinion disclaimer by external auditor in the following year. Due to unexpected delisting of K Co.,Ltd, many investors suffered great losses, which damaged the confidence in KOSDAQ market. This paper addresses the accounting frauds by K Co.,Ltd and also a wide range of auditing issues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of audit risk factors such as inherent risk, control risk and detection risk and professional skepticism. K Co.,Ltd conducted several accounting frauds over the years before the back-door listing. First, K Co.,Ltd conducted fictitious sales and purchases through cross-trading among several paper companies and affiliated companies. This fictitious sales resulted in overstatement of accounts receivables, advances, inventories and accounts payables. In addition, the company overstatedinventories by recognizing raw materials just for processing services as its assets. Second, K Co.,Ltd committed accounting frauds in relation to tangible assets. Specifically, K Co.,Ltd booked fictitious non-existent assets, conducted inadequate accounting treatments for capitalizing the cost of conducting trial runs, and intentionally delayed reclassification timing of construction-in-process into equipment, thereby inflated earnings. However, the auditor did not detect a wide range of accounting frauds, allowing K Co.,Ltd to successfully implement back-door listing, only to be listed in August 2010, less than a year after listing. B accounting firm, the auditor of K Co.,Ltd underestimated inherent risk in audit planning and also did not conduct enough audit efforts to evaluate the weaknesses of internal control system, thereby underestimating control risk, too. Inaccurate evaluation of inherent and control risk led to insufficient substantive tests, leading to audit failure. In addition, B accounting firm did not perform audits with professional skepticism, paying scant attention to several suspicious situations indicating accounting frau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raud, including the fact that fraud may include sophisticated and carefully organized schemes designed to conceal it or may involve collusion, the auditor``s professional skepticism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risks of material misstatement due to fraud. The regulator,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took sever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B accounting firm. Disciplinary actions include penalty surcharge, additional reserve of joint compensation fund for loss, restrictions of audit work for K Co.,Ltd for three years. Most of cases on accounting frauds are based on hypothetical situations prepared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auditing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for applied learning in a realistic audit setting. This case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and reflect on the challenges of auditing. The case focuses on auditors`` responsibilities related to obtaining and evaluating audit evidence. It also explores internal control evaluation responsibilities. Case details provide opportunities for class discussions and foster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on auditing topics such as audit risk evaluations. The case requires auditing students to critically analyze real-world accounting fraud scandal and to consider the external auditor``s responsibility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financialstatement fraud.

      • KCI우수등재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의 분기이익조정에 대한 비교연구: 회계제도 변화를 중심으로

        김문철(Moonchul Kim),전영순(Youngsoon S. Cheon),이정엽(Jungyoup Lee) 한국경영학회 2021 經營學硏究 Vol.50 No.5

        Prior research finds that firms in the KOSDAQ market tend to manage annual earnings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KOSPI marke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between the two groups. Henc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between KOSPI and KOSDAQ firms. We also examine whether accounting reforms ado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inancial statements are effective in restraining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KOSDAQ firms manage quarterly earnings to the greater extent than the KOSPI firms. We also find that the IFRS adoption has positive effects o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in both KOSPI and KOSDAQ markets, whereas the auditor review of interim financial statements has no effect o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 KCI우수등재

        과거 이익변동의 지속성에 대한 내부자매수거래의 확인효과

        전영순(Youngsoon Cheon),김문철(Moonchul Kim),이정엽(Jungyoup Lee)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2

        Earnings inform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firm valuation. Investors typically use current and past earnings to predict future profitability and risk, and apply them to valuation models to estimate firm value. If investors face information uncertainty due to lack of earnings precision in firm valuation, they are likely to rely on additional information to resolve information uncertainty in earnings signal.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after the announcement of quarterly earnings resolve the uncertainty regarding the earnings signal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persistence of the previously reported earnings. If the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resolving the uncertainty of the past quarterly earnings, the market reactions to the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uncertainty about earnings and the changes in previous quarterly earnings. Our sample consists of 12,318 insider purchase trades disclosed by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over the 2002-2015 period. For the KOSPI listed firms, we find that the market reactions to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increase with information uncertainty about earnings signal measured by accruals. This indicates that information contents of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increase with information uncertainty in earnings signal. In addition, when the previous quarterly earnings changes before insider purchase trading are positive, there i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nings changes and the market reactions to insider purchase disclosures. This is consistent with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confirming earnings signal of the previous quarter.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insider purchase trades for the KOSPI listed firms mainly provide priv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ast quarterly earnings changes, whereas the literature on insider trading shows that insider purchase trades convey management private information about future earnings prospects of the firm. In contrast, insider purchase trades for the KOSDAQ listed firms provide neither information about the past quarterly earnings changes nor information about future earnings. Our study expands the literature by focusing the confirmation role of insider purchase trading. Our results provide useful insight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conveyed by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in Korean capital markets.

      • KCI우수등재

        해외종속기업이 연결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영순 ( Youngsoon S. Cheon ),안성희 ( Sunghee Ahn ),김문철 ( Moonchul Kim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6

        2011년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연결재무제표가 주 재무제표로 사용되면서 연결재무제표가 제공하는 정보의 질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연결재무제표는 지배기업의 재무제표와 모든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합산하고 연결분개를 통해 내부거래를 제거하여 작성된다. 따라서 연결재무제표의 질은 지배기업 재무제표뿐만 아니라 종속기업 재무제표의 질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속기업의 재무제표의 질이 연결재무제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선행연구는 거의 부재하다. 국내종속기업은 해외종속기업에 비해 적용되는 법제도나 경제적 환경 등이 지배기업과 보다 동질적인 반면, 해외종속기업이 작성하는 재무보고의 질적 수준은 그 소재국의 회계 및 경제적 환경에 따라 지배기업과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종속기업이 연결재무정보의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연결실체에서 해외종속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연결이익의 질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해외종속기업이 지배기업과 동일하게 IFRS를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해외종속기업이 불문법 국가에 소재하거나 감사 및 재무보고기준의 경쟁력이 매우 높은 상위10% 국가에 소재하는 경우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결감사인이 해외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직접 감사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결감사인의 감사품질이나 지배기업의 기업지배구조는 해외종속기업이 연결이익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지배기업과는 법제도와 경제적 환경이 다른 국가에 소재하는 해외종속기업이 연결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최초의 국내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The quality of consolidated financial reporting is affected not only by the quality of the parent`s financial reporting but also by that of subsidiaries` financial reporting. Especially, overseas subsidiaries are more likely to affect the quality of consolidated financial reporting in that their legal, economic,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differs from the parent`s. Despite such an importanc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ow overseas subsidiaries affect the consolidated earnings quality.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overseas subsidiaries affect the consolidated earnings quality and whether the effect of overseas subsidiaries on the consolidated earnings quality varies depending upon subsidiar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onsolidated earnings quality decreases as the ratio of total assets (number) of overseas subsidiaries to consolidated total assets (total subsidiaries) increases. However, the negative effect of overseas subsidiaries on the consolidated earnings quality is mitigated when overseas subsidiaries adopt IFRS, when subsidiaries are located in countries with the common law system and with stro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when the auditor of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directly audits subsidiaries instead of referring to other auditors` reports.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overseas subsidiaries on the consolidated earnings quality.

      • KCI우수등재

        내부자거래 공시에 대한 시장반응과 그 결정요인

        이정엽(Jungyoup Lee),황문호(Mun Ho Hwang),김문철(Moonchul Kim)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6

        상장기업의 내부자거래 정보는 매년 1만 여건을 상회할 정도로 빈번하게 공시되는 사항이다. 본 연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보고되는 내부자거래 공시의 정보효과를 검토하고, 투자자들의 시장반응을 결정하는 공시정보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공시된 30,120건의 내부자거래를 대상으로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자거래 공시일 전․후에 걸쳐 유의한 시장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내부자거래 공시를 해당 기업의 가치평가와 관련하여 유용한 정보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투자자들의 시장반응은 공시정보의 보고시차가 짧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시성이 높을수록 정보효과가 높아짐을 보여주는 결과이자, 2009년 2월의 자본시장법 시행에 따른 내부자거래 공시기한 단축이 증권시장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셋째, 내부자의 매수거래는 차별적인 주가반응을 유도하는 한편 내부자의 매도거래는 차별적인 거래량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내부자의 매수거래와 매도거래에 각각 달리 반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코스닥기업의 내부자거래 공시에 대한 거래량반응은 코스피기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비대칭이 높은 기업의 공시일수록 투자자들에게 전달하는 정보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내부자거래와 주가움직임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는 대부분 내부자거래의 초과이익 실현 여부를 검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자의 미공개정보 이용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내부자거래 공시의 정보효과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규제당국이나 시장참여자들이 내부자거래 공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