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Vetch류 품종 선발

        김원호(Won Ho Kim),서성(Sung Seo),김맹중(Maeng Jong Kim),신재순(Jae Soon Shine),전병수(Byoung Soo Jun),정민웅(Min Wong Jung),안병석(Byoung Seok Ah),윤봉기(Bong Ki Yoon)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3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벳치류를 나주지역과 천안지방에서 재배하여 수량 및 생육특성 조사를 통하여 월동성이 높은 품종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6까지 축산과학원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주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0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건물함량은 21.7%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Oregon com. 품종의 건물 수량이 5,406 ㎏/㏊로 가장 높았으며 Ostsaat 품종은 4,882 ㎏/㏊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두 번째 천안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16.9%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Welta과 Ostsaat 품종의 건물 수량이 각각 2,173 ㎏/㏊과 1,883 ㎏/㏊로 높았으며 VV4712 품종은 1,079 ㎏/㏊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나주지역과 천안지역에서 재배되었던 벳치류의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1.5%를 나타내었으며 Sander2 품종이 14.4%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0%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26.8%, 42.2% 그리고 67.8% 이었다. 따라서 벳치류 도입은 월동성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가 많아 우선적으로 월동성이 고려된 후에 벳치류의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induced vetch cultivars at paddy field of Cheona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nd Naju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from 2004 to 2006. The vetch cultivars used in this study were 6 varieties (‘VV4712’, ‘Welta’, ‘Penn-02’, ‘Ostsaat’, ‘Oregon com.’, ‘Sander 2’). At the Naju region, the most fast flowering date variety was Chinese milk vetch, Sander 2 was very late as 20th May. The average dry matter (DM) content was 21.7%. Vetch cultivars were severely different. ‘Oregon com.’ showed the highest DM yield by 5,406 ㎏/㏊ but the DM yield of ‘Ostsaat’ was low by 4,882 ㎏/㏊. At the Cheonan region, the most fast flowering date variety was Korean milk vetch, Sander 2 was very late as 25th May. The average dry matter (DM) content was 16.9%. Vetch cultivars were severely different. ‘Welta’ and ‘Ostsaat’ showed the highest DM yield by 2,173 ㎏/㏊ and 1,883 ㎏/㏊ respectively, but the DM yield of ‘VV4712’ was low by 1,079 ㎏/㏊. Crude protein (CP) content of vetch was 11.5%. ‘Sander 2’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by 14.4% and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highest content by 19.3%. Average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were 26.8%, 42.2% and 67.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productivity of vetch cultivar varied from winter hardness, therefore we will consider the winter hardness as main factor when induce vetch cultiv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Oregon com.’ at the Naju region and ‘Welta’ and ‘Ostsaat’ at the Cheonan region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vetch’ for dry matter production.

      • 논에서 우분액비 시용이 총체보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최기춘,나상필,정민웅,임영철,박형수,김종근,김원호,김맹중,최기준,김명화,이상락,김다혜,육완방,Choi, Ki-Choon,Na, Sang-Pil,Jung, Min-Woong,Lim, Young-Chul,Park, Hyung-Su,Kim, Jong-Geun,Kim, Won-Ho,Kim, Maeng-Jung,Choi, Gi-Jun,Kim, Myeong-Hwa,L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논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형태별 우분액비의 시용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총체 벼 재배 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총체보리 및 IRG의 생산성, 사료가치, 토양성분 및 용탈수중의 무기물 농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시험포장에서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총체보리의 2년간 평균수량은 7,520 kg/ha, 그리고 IRG는 평균 10,320 kg/ha으로 IRG가 총체보리 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량을 보였다 (p<0.0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1번초가 2번초 보다 약 2배 이상의 수량을 보였다. IRG의 조단백질 함량은 총체보리보다 높았고 NDF, ADF 및 TDN 함량은 작물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내 pH, $P_2O_5$, T-N, OM 농도는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0.05).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내 Ca, Na, Mg 및 K 농도는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0.05).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용탈수중 $NH_4$-N, $NO_3$-N, $PO_4$-P, Cl, Ca, K, Mg, Na의 농도는 경작형태에 따른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따라서 논에서 우분액비를 이용하여 동계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수량도 중요하지만 환경적인 부분도 고려하여 우분액비를 이용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on productivity of whole crop barley and Italian ryegra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Cropp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two designs, such as whole crop barley applied with cattle slurry (WCB) and Italian ryegrass applied with cattle slurry (IRG). Th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clay loam at Backsanmyun, Kimje, Chunlabukdo province in Korea for three years (May 2006 to Apr. 2009). This study was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yields of WCB and IRG were 7,520 kg/ha and 10,320 kg/ha, respectively. The yields of IRG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WCB (p<0.05). The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1st cutting time was about 2-fold higher than that of 2nd cutting tim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of IRG were higher than that of WCB. However, the contents of NDF, ADF and TDN were no difference between WCB and IRG treatments. The pH, and contents of T-N, $P_2O_5$ and organic matter (OM)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After the end of experiment, the concentrations of CEC (Ca, Na, Mg and K)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The concentrations of $NH_4$-N, $NO_3$-N, $PO_4$-P, Cl, Ca, K, Mg and Na in leaching water in paddy land cultivated with WCB and IRG were no difference between WCB and IRG treatments.

      • 우분퇴비와 화학비료 시용이 간척지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민웅,최기춘,표효열,최은민,김천만,김종근,박형수,송채은,김맹중,김원호,임영철,Jung, Min-Woong,Choi, Ki-Choon,Pyo, Hyo-Yeul,Choi, Eun-Min,Kim, Cheon-Man,Kim, Jong-Geun,Park, Hyeong-Su,Song, Chae-Eun,Kim, Maeng-Jung,Kim, Won-Ho,Lim, You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ilage corn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at Dangjin Province in Korea. The cultivars of silage corn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Kwangpyungok and Pioneer (P32B33). The fertilizer was applied according to recommended dose of application. The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was created for farming in 1985 and approximately 5 to 10 years ago rice was cultivated in full-scale. Recently,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has a limitation to cultivate the crops, due to increased salinity caused by drought and poor drainage system. The total area of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was 305 ha, and silage corn was sown on 149 ha of the reclaimed paddy field in nine regions, such as Songsan 28 A and B, Songsan 27 A and B, Songsan 42 A, B and C, and Songsan 43 A and B.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corn were evaluated collected from each of nine experimental regions. Dry matter (DM) yields of P32B33 in Songsan 28 A and B, and Songsan 27 A were 13 to 15 ton/ha and it was increased 3 to 5 ton/ha as compared to those of Songsan 27 B. DM yields of Kwangpyungok in Songsan 42 A, and Songsan 43 A and B were 23 to 27 ton/ha and it was increased 15 to 16 ton/ha as compared to Songsan 42 A and B. The nutritive value of co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wangpyungok and P32B33, but the yield of Kwangpyungok corn silage was higher compared to P32B33.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good drainage system is important to maintain normal growth and productivity of corn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본 시험은 충남 당진 석문간척지 논에 첨가적인 우분퇴비의 시용을 통하여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논을 이용한 옥수수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석문 송산 간척농지는 1985년에 조성되어 본격적인 벼농사가 이루어진지는 약 5~10년 정도 되었다. 현재도 가뭄에 의한 염해 현상이 나타나고 배수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사료작물 재배지로써는 한계가 많은 간척농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305 ha 중 일부인 149 ha에 옥수수를 파종한 송산 28단지 A와 B 지역, 송산 27단지 A와 B 지역, 송산 42단지 A, B 그리고 C 지역 및 지역송산 43단지 A와 B 지역에서 무작위로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송산 28단지 A와 B 및 송산 27단지 A에서 재배된 P32B33의 건물수량은 ha당 13~15톤으로 송산 27단지 B 보다 약 3~5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송산 42단지 A 및 송산 43단지 A와 B에서 재배된 광평옥의 건물수량은 23~27톤으로 송산 42단지 B와 C 보다 약 15~16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다. 석문 간척농지의 논에서는 도입 품종인 P32B33보다 국내보급 품종인 광평옥이 현저하게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지역간 옥수수의 사료가치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품종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척농지인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료원의 공급보다는 배수가 양호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