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역(國域) 조경 으로서의 비보풍수 연구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와 백운산내원사사적(白雲山內院寺事迹)의 내용을 중심으로-

        김두규 ( Du Gyu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0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8 No.4

        Fengshui is based on the presupposition of the human pursuit of a good site for buildings, including houses, villages, cities and graves. These sites, which are said to be good for the buildings, refer to geographical features well located by the surrounding Green Dragon(靑龍), White Tiger(白虎), Red Phoenix(朱雀) and Black Tortoise(玄武). It means that mountains should be properly stretched and suitably surrounded on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respectively. During the Koryo Dynasty(918-1392) and Chosun Dynasty(1392-1910), a major task of Korean traditional scholars, who studied geomancy, was to "read" geographical features and configuration. It aimed to seek for a site to decide on what is good and what is not. Residents, who have dwelt in a relatively restricted territory on the Korea Peninsula, seem to have a slight chance to choose a site to bring them a fortune. Thus, they have had no choice but to live in a district which brings a less fortune in a sense.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y have no other alternative concerning the dwelling area of their life, they have been forced to do their best to turn a worse residential area into a better one. They, thereby, have invented and promoted an idea concerning Complementary Setup Fengshui(裨補風水). The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had been forged in view of a national project during the Koryo Dynasty, in particular. Consequently, we have called it ``Na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n analytic look at the history and basic principles (of the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document of Temple Naewon in Mt. Baekun, with a view to finding the traces of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which have been still discovered and spread all over the country. This paper also purposes to classify the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into small groups, according to its basic principles. Only two traces of the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such as temples, pagodas are examined in this paper. Other relevant traces are remained to be further examined.

      • WWW기반에서 테스트 및 진단을 위한 WBI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두규(Du-Gyu Kim),이재무(Jae-Mu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8 No.12

        웹의 개방성과 융통성은 웹의 교육적 활용을 높였으며,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 웹기반 교수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WBI(Web Based Instruction)는 교육 효율성면에서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특히 현재까지 개발된 웹기반의 테스트 시스템들은 단지 학습자의 반응에 대하여 정오와 점수 제시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면대면의 수업에서처럼 자신의 부족한 능력에 대해 적절한 조언을 받기가 어렵다. WBI가 학습자에게 단순한 테스트 결과만을 제시하지 않고, 학습 영역별 이해상태를 세밀히 진단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학습자의 오류에 대하여 이의 원인을 진단하여 제공한다면 이는 학습자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시간과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인터넷의 브라우저를 통해 본 교수 시스템에 접속하여 학습하면, 학습자의 반응에 대해 단순한 점수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영역별 학습 성취도를 제시하고 부족한 점에 대해 조언하는 학습자 테스트 및 진단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고, 그 방법을 기술하였다. A web support open environment in which flexibility that allows it to be applied in the education field has gradually evolved, but the WBI(Web Based Instruction) which compose it have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as far as learning efficiency is concerned. In particular, existing web-based estimation systems just give information on whether learners' replies are 'correct' or 'incorrect' and offer the learners evaluations of results in terms of score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learners to get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ir shortcomings and errors. What is needed for the learners is that web based instruction systems diagnose learners' comprehension status, providing causes: Why did the learners make the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instruction system that learners can access with their browsers at any time and no matter where they are. Our system has a facility that analyses learners' weak points and diagnoses error cause, giving advice to learners and more detailed error information than existing systems. By accumulating user behaviors, relevant individualized information on the learners can be giv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과 풍수

        김두규 ( Du Gyu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8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을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태실을 풍수적 관점에서 논할 때, 그것이 이웃하는 중국과 일본과 어떤 차이가 있으며, 혹시 풍수의 종주국이라 일컬어지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것은 아닌지, 아니면 우리 고유의 문화인지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고찰결과 다음과 같은 풍수적 특징들이 우리나라 태실에서 드러남을 밝혔다. 태실은 늦어도 통일신라시대 이래 우리민족 고유 생명사상이 불교의 생명사상과 습합(習合)하여 이뤄진 장태(藏胎)문화이다. 태실풍수의 이론적 근거는『태장경『이었다.『태장경『은 입태(入胎)에서 출산 후 태의 처리까지를 논한 기존의 종교 경전·풍수서·산서(産書) 등을 바탕으로 태실조성을 위해 고려왕조가 편찬하여 고려의 “지리업(地理業)” 고시과목으로 채택한 것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태실풍수는 역시 중국과 일본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우리민족 고유의 풍수이다. 세종대왕자 태실은 고려풍수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았으며, 풍수에 조예가 깊은 세종의 깊은 관심 속에 선정된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길지에 자리하고 있다. 태실풍수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이 태실의 입지를 풍수 혈상의 네 가지 종류(四象) 가운데 돌혈(突穴)로 보는 오류를 범했다. 고려와 조선시대의 풍수학(지리학) 고시과목에 돌혈 개념은 등장하지 않으며 조선 후기 혹은 근세에 이르러 사상(四象)이라는 용어가 유포되었음을 감안하면, 최근 선행연구들이 태실풍수를 근세 중국에서 유입된 풍수를 바탕으로 재단하려는 오류를 범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민족 고유의 태실풍수를 중국풍수로 변질시킬 오류임을 밝혔다. 세종자태실의 경우 선석산에서 태실로 이어지는 내맥(來脈)과 태실 그리고 사방을 감싸는 산과 물을 문자 그대로 어머니의 자궁 속의 태와 같은 모습이어서 앞으로 태실과 주변 경관을 이와 같이 이미지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Fengshui aspect of the royal placenta chambers(Taesil) at Seongju for the sons of King Sejong. With a primary focus on Fengshui, our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how Korean placenta chambers(Taesil) differ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or whether they were influenced by China where Fengshui originated, or whether they were uniquely Korean. We conclude that the following Fengshui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from the Korean placenta chambers(Taesil). Korean placenta chambers(Taesil) resulted from two converging philosophies of life. The indigenous Korean philosophy of life, which originated from the United Shilla Dynasty, was later influenced and complemented by Buddhist beliefs. The theoretical base for Fengshui that inspired placenta chambers(Taesil) was the book 『Book on Pregnancy(Taejanggyeong)』. It has been tentatively concluded that the 『Book on Pregnancy(Taejanggyeong)』, which was later selected as a geography subject for the national exam, was published by the Goryeo Royal court as a set of guidelines for building its royal placenta chambers(Taesil). The book was based on existing Buddhist scriptures, Fengshui publications, and the Sanseo(Book on Pregnancy) medical publication, which explained child birth, from conception to the handling of placentas. Fengshui inspired placenta chambers(Taesil) do not exist in China and Japan, and therefore are unique to Korea. The royal placenta chambers(Taesil), where the placentas of the sons of King Sejong reside, inherited the Goryeo Fengshui tradition. It is the largest sacred site in Korea to have been selected by King Sejong, a ruler who was very knowledgeable about Fengshui. Some previous studies mistakenly identified the site of these royal placenta chambers(Taesil) as a ``Mountain top(Dolhyeol)``. The concept of a ``Mountain top(Dolhyeol)``, however, did not appear in the Fengshui studies of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Considering that the word indicating the ``4 Types(Sasang)`` only came into common use in the later phase of the Chosun Dynasty(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it is clear that the previous studies erroneously assumed the Korean placenta chambers(Taesil) to have been influenced by Chinese Fengshui. We conclude that it was an error to conflate the unique Korean Fengshui culture with a Chinese one. In the case of the King Sejong placenta chambers(Taesil), the arrangement of the mountain range connecting from Mt. Seokseoksan to the placentas(Taesil), and the surrounding mountains and waters, form the mirror image of a fetus in the mother’s womb.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advisable to visualize the layout of these placentas(Taesil) in relation to their surrounding landscape.

      • KCI등재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假山)에 대한 연구

        김묘정 ( Kim Myo-jung ),정기호 ( Jung Ki-ho ),김두규 ( Kim Du-gy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에 대하여 그 위치와 장소를 확인하고, 근대화 과정 속에서 사라졌거나 변화된 모습의 현황을 확인해 보기 위한 것이다. 청계천 준설과 관련된 고문헌자료 및 고지도를 통한 문헌조사와 가산의 실제위치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청계천 관련 고문헌과 고지도를 통해서 청계천 주변 가산 관련 내용 및 기록을 선별하였고, 주로 세종 대에 지류 및 세류의 준설작업과 영조 대의 대규모 준설에 의해 가산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지도에 나타난 청계천 주변의 가산 및 수림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그 위치가 오간수문을 중심으로 도성 안과 밖의 청계천 양안, 그 주변의 지류 주변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산의 위치는 수선전도의 축척지도화 방안을 토대로 고지도상의 가산을 현지도상에서 파악하고, 현지조사를 통해서 가산으로 표현된 장소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에 조성된 가산은 대부분 19세기말 이래로 진행된 도시개발로 인해 사라졌지만 아직도 그 흔적이 일부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ce and location of Gasan around Cheonggyecheon in the Joseon Dynasty, and also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ir changes or disappearanc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n top of literature research on old document and maps related to dredging of Cheonggyecheon, the field survey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and location of Gasan was conducted. The study contents are like below. First, through old document and maps related to Cheonggyecheon in the Joseon Dynasty, the contents and records related to Gasan around Cheonggyecheon were selected. Such Gasan were mainly built up by dredging work of branch/streamlet in the era of King Sejong, and also the large-scale dredging during the period of King Yeongjo. Second, the location of Gasan and forest around Cheonggyecheon shown in old maps was understood. With Ogansumun(Five-arched Floodgates) as the center, they were constructed on both hills of Cheonggyecheon inside/outside of the capital city, and its surrounding branches. Third, based on the measures to create a scale map based on Susunjeondo, the location of Gasan on old maps was found on the current map, and then the current status of places expressed as Gasan was survey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even though most of the Gasan built up around Cheonggyecheon in the Joseon Dynasty have disappeared by the urban development performe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still, there are some remains le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