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의 6·15공동선언에 대한 입장과 평가

        김동한(Kim, Dong-Han)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2010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Vol.13 No.-

        6·15 joint declaration is an official document both of South and North have agreed to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race. What is more, it is the first document both summits of South and North have agreed to. There is, however,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wo nation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each Korea gives the document. It shows openly the difference of ideology and system between two Koreas. In North, the importance of the document is unquestionable for the will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an absolute authoritarian ruler, is contained in the docu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democratic system of South, the importance of the document has diluted by the opposed political power for the will of Kim Dae-jung, the presid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contained in the document. North Korea takes the first clause of 6·15 joint declaration document as a priority and emphasizes racial cooperation and ‘just between ourselves’. It is an internationally justified agreement that reunification should be made on our own will and for ourselves. However, South’s passive reaction to that has rather provided North with an excuse of criticism. It was a period of 6.15 when the solution process in political problems was reaffirmed to be still rough and difficult. On the other hand, visible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aspect of economical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solution of matter, which can be said to make a historically remarkable proces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호흡률법에 의한 하수의 질산화성 질소화합물 추정

        김동한 ( Dong Han Kim ) 대한상하수도학회 2007 상하수도학회지 Vol.21 No.3

        Nitrogen compounds in municipal wastewater can be divided into biodegradable and nonbiodegradable fractions with biodegradability. Biodegradable nitrogen compounds can be removed through biological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es, and nonbiodegradable nitrogen compounds affect the effluent quality of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es. The amount of nitrifiable nitrogen compounds, which are the sum of ammonia and biodegradable organic nitrogen, has been estimated by respirometry. Respirometry shows good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nitrifiable nitrogen when a synthetic sample of ammonium chloride is dosed.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nitrifiable nitrogen compounds in municipal wastewater is close to ammonia concentration in municipal wastewater, but it is lower than that for the synthetic sample. If nitrogen assimilated into cell synthesis of nitrifiers and heterotrophs is considered, the total amounts of nitrifiable nitrogen compounds, which are nitrified and assimilated, could be more accurately estimated. The concentration of nitrifiable nitrogen compounds, which are biodegradable, is about 31 mg N/l, and this is 119% of ammonia and 94% of total nitrogen. Ammonia, nitrate, biodegradable organic nitrogen, and nonbiodegradable nitrogen are about 79%, 1%, 15%, and 5% of the total nitrogen in municipal wastewater,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김동한 ( Dong Han Kim ) 한국명상상담학회 2012 명상심리상담 Vol.7 No.-

        명상은 마음현상을 내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점으로 인해 명상은 심리 치료에 적용되어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명상은 마음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명상의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무척 어려운 일이다. 아직 감정, 생각, 갈망 상상, 기억 등의 메커니즘을 현대 과학은 완전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마음현상에 대한 뇌의 활동이 점점 밝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명상의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는 영역도 넓어졌다. 마음은 뇌의 작용이라는 환원적인 관점이 아니라 몸-뇌-마음의 상호작용의 관점을 전제로 한다면, 명상의 효과를 발전시키고 알리기 위해 명상을 신경과학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노력은 가치가 있다. 염지관(念止關, sati, samatha, vipassna) 명상은 몸에서 느껴지는 느낌을 먼저 관찰하고 그런 다음 느낌과 마음현상과의 관계를 통찰하는 명상수행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지관 명상에서 마음을 다루기 위해 ``몸느낌`` 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신경과학적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느낌은 접촉을 조건으로 발생된다. 접촉은 몸의 감각기관에서 일어난다. 외부에서 기원하는 사태를 지각하고, 표상하는 기제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다. 이를 외수용감각기관(exteroception)이라 한다. 외수용감각기관의 주된 목표는 몸, 주번 세계, 몸이 세계와 맺는 관계를 ``지도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지도가 있는 뇌의 영역은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와는 완전히 다른 몸감각으로, 몸의 내부의 감각을 다루는 내수용감각기관(interoception)이 있다. 내수용감각기관은 통증과 내부 장기상태를 인식한다. 내수용감각기관의 목표는 생체항상성(homeostatic function) 즉, 내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내수용감각은 생각, 기대, 감정 등의 마음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환상지(limb syndrome)나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등이 그러한 예이다. 외수용감각을 다루는 신체지도는 잘 밝혀져 있는 반면 아직 내수용감각에 대해 신경과학적으로 완전히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뇌의 섬엽(insula)이 내수용감각을 다루는 곳이라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섬엽은 외수용감각기관에서 오는 정보와 내수용감각기관에서 오는 정보를 통합해서 자기인식을 하고 인체의 내부 균형을 도모한다. 더 나아가 섬엽의 오른쪽 앞부분인 우반구 전두섬엽(anterior region of the insula)으로 통합된 신호들이 이동을 하면서 느낌을 발생시킨다고 한다. 이러한 이동과정 중 몸느낌이 즐거움과 불쾌감으로 그리고 더 복잡한 감정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몸느낌을 바탕으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신경과학적으로 밝힌 것이다. 그리고 감정과 생각, 의사결정, 기대 등의 마음현상을 다루는 편도체(amygdale)와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과 같은 뇌의 다른 중요한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염지관 명상에서 몸느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감정, 생각, 갈망과 같은 마음현상이 몸느낌을 조건으로 발생한다는 것과 일치한다. 심리적 고통은 신체의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통합한 몸느낌을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았을 때 증폭된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몸느낌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을 때 마음현상을 다루는 뇌의 영역과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심리적 고통을 유발한다. 여기서 염지관 명상에서 몸느낌을 알아차리고 머물고 지켜보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신경과학은 몸과 마음이 끊임없이 소통을 한다는 것을 알기 시작했다. 그 소통의 중심에는 몸느낌이 있다. Meditation is for the internal observation of mental phenomena. Meditation gives u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insight. Because of these merits, meditation is used in psychotherapy and produces excellent result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e meditation mechanism for the reason that it deals with mental phenomena. Modem science has not revealed the mechanisms of emotion, thought, imagination and memory yet. Nevertheless, the activities of the brain for mental phenomena are becoming clearer thanks to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us, the scientifically explainable part of the meditation mechanism is growing wider. Assuming the view that mind is interaction between body, brain and mind rather than the reductive view that it is the work of the brain, it is worthy to make efforts to explain meditation from the viewpoint of neuroscience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the effects of meditation. The yum-ji-guan (念止觀, sati, samatha, vipassna) meditation is a methodology for observing primary feelings of the body and then discovering the relation between feelings and mental phenomena. This paper attempted to discuss the reason for regarding body feelings as important in the yum-ji-guan meditation from the aspect of neuroscience. Feeling is generated conditionally by contacts. Contacts occur in the sense organs of the body. The senses that perceive and represent events originating from the outside are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These senses are called exteroception. The main purpose of exteroception is mapping the body, the surrounding 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world. The cerebral region where the body map is situated has been discovered. As a totally different sense, however, there is the interoception that deals with inner senses of the body. Interoception recognizes pains and organ states. The goal of interoception is homeostatic function, namely, the maintenance of inner balance. Interoception is closely related with mental phenomena of thought, expectation, emotion, and so on. For example, there are phantom limb syndrome, placebo effect, etc. While the body map related to exteroception has been defined clearly, interoception has not been explained fully from the neuroscience aspect yet. Some of recent studies have announced that it is the insula in the brain that deal with interoception. The insula integrates information from exteroception and interoception, and then attains self-cognition and promotes the inner balance of the body. In addition, it is said that feelings a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signals integrated into the right anterior region of the insula. Researchers assert that body feelings induced by the movement develop into pleasant, unpleasant and more complex emotions. What is important here is to reveal neurologically that a person feels emotion on the basis of body feelings and that these feelings are connected to other important parts of the brain like amygdale and orbitofrontal cortex dealing with mental phenomena such as emotion, thought, decision and expectation. The fact that body feelings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yum-ji-guan meditation agrees with the fact that mental phenomena such as emotion, thought and need are generated conditionally by body feelings. We can infer that psychological pain is amplified when body feeling integrating information arising inside and outside the body is not handled properly. When body feeling information is not provided sufficiently, psychological pain appears because there is no proper interaction with the brain parts that deal with mental phenomena. We can find here the meaning of the yum-ji-guan meditation that is aware of, stays in and watches body feeling. Neuroscience bas begun to learn that body and mi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stantly. At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is body feeling.

      • KCI등재

        ACF(Advocacy Coalition Framework)를 적용한 정책변동 연구

        김동만(Kim Dong-Ma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4 한국공공관리학보 Vol.18 No.1

        태안 신두리 사구 정책문제는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것으로, 개발정책과 환경보호정책 사이에서 상충을 일으키고 있는 대표적 사례로서, 개발을 주장하는 지방정부와 사업주 및 일부 지역주민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주장하는 일부 중앙정부와 지역과 중앙의 환경단체 그리고 일부 지역 주민들 사이의 갈등 속에서 정책결정이 이루어졌다. 북쪽 육지부분은 문화재청에서 2001년 11월 30일 천연기념물 제431호로 지정했으며, 해양부분은 해수부에서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했고, 환경부는 2002년 10월 31일 신두리 사구 내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웅습지와 인근 지역 6만 5천㎡를 최초로 생태 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정책결정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 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을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ACF는 정책변동을, 정책하위체제 내에서의 규범과 인과율을 공유하는 옹호연합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본다. 환경보호와 지역개발이라는 각각의 상위계층의 신념을 옹호하려는 환경연합과 개발연합이 공개토론회와 공청회, 과학적 연구결과의 발표 등의 전문포럼에서의 정책지향학습을 통하여 연합의 2차적ㆍ도구적 신념의 수정을 가져오면서 보호ㆍ보전지역으로 지정이 되었다. 이러한 정책변동의 고찰에서 일반적인 개발정책이 정부의 막연한 자의적 기준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부처 및 외부의 정책관련 집단들이 각각의 신념에 의해 연합을 형성하고, 그 연합들이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정책대안이 제시되고, 수정되는 과정의 산물임을 논의한다. This study analysed of local governance making the mixture of local environmental coalitions and local governance capacity.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hange dynamic, not to be static. To what extent does Shin-du-ri policy reflect a balance between the interests of environmentalists and industrialists? Based o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his study found that Shin-du-ri policy shifted in a strategic exchange among them. The basic idea of ACF is that policy actors within subsystems from alliances around policy beliefs, or values, about what government should do. These alliances are called advocacy coalitions and tend to remain stable over a period of a decade or more. The ACF considers policy change as the result of learning process within and between advocacy coal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시판 초기 이유식의 영양성분 및 저장 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동한 ( Dong Han Kim ),이성갑 ( Seong Kap Rhee ),손종연 ( Jong Youn Son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6 No.1

        시판 국산 및 외국계열사 이유식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들 이유식의 개봉 후 산패 진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판 이유식의 탄수화물 함량은 61 ~ 70%, 단백질은 14 ~ 16%, 조지방은 8 ~ 15% 조회분은 2.5 ~ 3.2% 정도로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전체 77 ~ 85%를 차지하였다.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 (1460.2 ~ 1954.3 mg)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valine (928.9 ~ 1201.7 mg/100g), isoleucine (758.1 ~ 1033.9 mg/100g), lysine 9798.7 ~ 1081.4 mg/100g), phenylalanine (722.8 ~ 937.8 mg/100g), 의 순이었다. 국산 H, M, S사 및 외국계열사 이유식의 linoleic acid 과 linolenic acid 비율은 각각 15.4 : 1, 13.1 : 1, 39.8 : 1 및 M, S 사 및 외국계열사 이유식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13.9 meq/kg oil, 1.1 meq/kg oil, 5.4 meq/kg oil 및 14.8 meq/kg oil이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balance of domestic and affiliated company of foreign group weaning fo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61% ~ 70% carbohydrate, 14% ~ 16% protein, 2.5% ~ 3.2% ash and 8% ~ 15% lipid. Leucine content was the highest among all essential amino acids in all test weaning foods. The P/S an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ratio of domestic weaning foods were higher than those of affiliated company of foreign group weaning food. The peroxide values of H, M, S and N product were 13.9 meq/kg oil, 1.1 meq/kg oil, 5.4 meq/kg oil and 14.8 meq/kg oil, respectively.

      • KCI등재

        業務上 創作한 컴퓨터프로그램의 著作者

        金東?(Kim Dong-Jin) 한국법학원 2001 저스티스 Vol.34 No.6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하면 법인 등 사용자가 자신의 기획하에 피용자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을 실제로 창작한 피용자를 저작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법인 등 사용자를 저작자로 본다. 위 규정의 입법취지는 오늘날 프로그램 개발의 실정을 보면 법인 등 단체의 내부에서 여러 사람이 상호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법인등 사용자에게 원시적으로 저작자의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거래현실에 부합한다는 데 있다. 그런데, 본래 저작자라 함은 저작물을 실제로 창작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위 규정은 하나의 커다란 예외를 인정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하여 위 규정을 적용할 때에는 무분별하게 확장해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한편 법인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방으로는 자신의 피용자를 통하여 업무상 창작하는 방법이 있다 하겠으나, 다른 일방으로는 용역업체 내지 개인에 대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탁하는 방법도 많이 행해지고 있는바, 위와 같은 위탁개발은 일종의 도급계약으로서 이로 인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저작자는 수탁자인 용역업체 내지 개인이 되는 것이고, 다만 법인은 특약을 체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에 관한 저작권을 자신에게 귀속시킬 수 있다. 법인이 특정 개인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경우에 그것이 업무상 창작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위탁개발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하여 간혹 분쟁이 발생하는데,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당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술적 숙련도, 작업시간과 작업장소의 종속성, 재료의 제공자, 계속적 거래관계, 댓가지급의 방법, 수당과 세금의 부담자 등의 여러 가지 판단기준(factor)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법인이 특정 개인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지휘ㆍ감독하는 사용관계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그와 같은 사용관계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업무상 창작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대법원 2000. 11. 10. 선고 98다60590 판결에 의하면, “업무상 창작한 프로그램의 저작자에 관한 구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7조의 규정은 프로그램 제작에 관한 도급계약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주문자가 전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기획을 하고, 자금을 투자하면서 개발업자의 인력만을 빌어 그에게 개발을 위탁하고 이를 위탁받은 개발업자는 당해 프로그램을 오로지 주문자만을 위해서 개발?납품하여 결국 주문자의 명의로 공표하는 것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에는 법인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업무상 창작한 프로그램에 준하는 것으로 보아 같은 법 제7조를 준용하여 주문자를 프로그램저작자로 볼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는바, 위 판례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획, 자금투자…’등의 판단요소들이 과연 사용관계의 존재여부를 가늠하는 데 대한 적절한 기준이 될 수 있는지 의문이고, 또한 위 규정이 실제 창작자의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이라는 점을 감안해 보면 이를 확장해석하는 것은 가급적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 사료된다. 오히려, 위와 같은 사안에서 단순히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5조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위탁개발에 해당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저작권의 귀속에 관하여 특약 내지 묵시적 합의 등의 사실인정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구체적인 타당성을 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군 구조개편정책의 결정요인 분석

        김동한(Donghan Kim)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본 논문에서는 한국군 구조개편정책의 정책결정요인을 규명하였다. 군구조 개편의 사례로는, 지휘구조 개편을 핵심으로 한 노태우 정부의 818계획과 병력구조 개편을 중핵으로 한 노무현 정부의 국방개혁2020이 대표적이다. 특히 두 사례는 행정부 차원의 정책입안과정과 의회 차원의 심의과정을 거친 대표적인 군구조 개편정책 사례로서, 주요 정책결정요인을 행정부와 의회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었다. 정책결정요인 규명 결과를 토대로 군구조 개편정책의 결정구조를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와 대통령의 인식 및 의지에 의해 기존 군구조 정책의 개편문제가 대두되면, 행정부차원에서는 대통령의 정책선호와 육ㆍ해ㆍ공 3군의 권력격차 요인이 국방부의 정책입안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의회심의과정에서는 보수성향 정책연합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을 경우,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그들의 정책선호를 실현하게 된다. 하지만 보수성향 정책연합이 수적 우위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도 이들의 정책선호를 실현할 수 있는 기제로서 지배적 행위자가 존재한다. 지배적 행위자는 군구조 문제에 관한 지배적 정책패러다임을 진보성향 정책연합의 구성원들에게 설명ㆍ이해ㆍ설득시킴으로써, 지배적 정책패러다임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종적인 군구조 개편정책이 산출되도록 관리한다. 따라서 군구조 정책의 경우, 지배적 정책패러다임을 공유하는 보수성향 정책연합의 정책선호가 최종 정책으로 산출되는 구조가 한국사회에 공고화되어 있으며, 그러한 정책결정구조가 장기적 안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alyzes the policy making determinants of the military reorganization policy. The 818 Plan under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which focusing on reorganizing the command structure and the Military Reform 2020 und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ich laying emphasis on reforming the military forces structure pursued great change in the military structure policy. In particular, these two cases underwent the policy establishing process by the adminstration and the policy deliberating process by the National Assembly. Thus they could be representative military reorganizing policy cases, so the main policy determinants could be illuminated at th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level.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policy making process and the determinants of the military reorganizing policy, the policy making structure is the following. As the issue restructuring the ex-military structure policy is on the rise by the change in US military strategy and the president’s recognition and volition, the president’s policy preference and the power gap among the three armed forces have influence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t the Executive level. In case the conservative policy coalition hold a maj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deliberation process, the policy preferences of the conservative coalition come to realize by the majority of seats. However, although they don’t hold a maj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their policy preferenc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role of the dominant actor. The dominant actor gives both coalitions the explanation of the dominant policy paradigm, and manages not to damage the paradigm. In this policy making structure, even though the military restructuring policy which established at the executive level is against the dominant paradigm, it could be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through the deliberating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refore in case of the military restructuring policy, the policy making structure that the policy preference of the conservative policy coalition sharing the dominant policy paradigm is reflected on the final policy has been consolidated in Korean society, and such policy making structure will be stable for a long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