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캘리콧(J. Baird Callicott)의 환경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동물해방: 삼극 구조」를 중심으로-

        김동창 ( Kim Dong-chang ),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7

        캘리콧은 환경윤리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창설한 개척자 중의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그만큼 캘리콧이 환경윤리학·환경철학 분야에서 빼어난 업적을 남겨왔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업적들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동물해방: 삼극 구조」라는 논문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이야말로 캘리콧의 명성을 크게 떨치게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고전으로 평가받을 만큼 그 중요성이 널리 인정받아왔다. 캘리콧의 초기 환경사상을 파악하는 데는 꼭 거쳐야 할 논문으로 판단되는 만큼 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캘리콧의 「동물해방: 삼극 구조」에 담겨있는 내용을 온전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그의 주장이 안고 있는 강·약점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지적하고 비판하려면 먼저 그 주장 자체에 대한 온전한 파악이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위 내용을 토대로 캘리콧의 주장 가운데 논의가 더욱 필요한 부분을 가려내어 이를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캘리콧의 초기 주장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J. Baird Callicott is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the discipline of environmental ethics. This means that Callicott has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philosophy. We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chievements is the paper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This paper has not only made Callicott's reputation greatly, but its importance has been widely recognized to the extent that it is regarded as a modern classic.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wofold. One is to fully reveal what is contained in Callicott's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In order to properly point out and criticize what the Callicott's argument is, it is necessary to have a thorough grasp of the claim itself. The other is to extract the parts of Callicott's argument that need to be discussed and look at them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e believe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its own way to identifying Callicott's earlier claims.

      • KCI등재

        도덕과 성취기준의 의미와 역할

        김동창 ( Dong Chang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1997년 제7차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도입된 성취기준은 20여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일선 학교현장에 안착하지 못하고 있다.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을 위해 도입된 성취기준은 미국기준운동의 영향을 받아 도입된 것이다. 미국의 ‘기준’이 ‘성취기준’으로 차용되는 과정에서 그것은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를 포괄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성취기준은 수행기준 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는 가르쳐야 할 지식, 기능에 관한 정보, 학생에게는 배우고 익혀야 할 지식, 기능, 태도에 대한 정보, 곧 내용기준을 명료하게 제공해야 한다. 상대평가로 인해 고통 받는 학생들의 삶을 고려할 때 성취기준 중심의 절대평가가 일선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성취기준을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부합하는 성취기준 진술문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첫째, 교사는 가르쳐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가 자신들에게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고 학습에 임하게 된다. 셋째, 성취기준을 평가의 준거로 삼아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교육목표-학습-평가의 일치를 확보할 수 있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introduced to Korean curriculum with the 7th curriculum revision in 1997 has not fully settled in the frontline in schools now, ten 20 years later. The educational world which needed to change to absolute evaluation from relative evaluation introduced achievement standard by referring to standard-based curriculum reform in the U.S. ‘Standard’ in the U.S covers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in the process used by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offer teachers information on the knowledge and function to teach, and students information on the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to learn and know, content standards. Moreover, achievement standards consistent with each should be provided by dividing it into content standard and performance standards. Through this achievement standards, teacher come to know what to teach more clearly and students know what schools expect them to do and can actively engage in learning. Furthermore, achievement standards can increase the alignment in goals-learning-evaluation as achievement standards plays a reference role in evaluation.

      • KCI등재

        학교 통일교육에서 ‘통합사회’의 역할

        김동창 ( Kim Dong-ch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학교 통일교육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갖게 되었다. 학교 통일교육이 도덕과와 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신설된 ‘통합사회’는 두 교과의 통합을 지향한다. 그러므로 ‘통합사회’ 과목에서 ‘통일’이 대주제로 선정되어 통합적으로 다루어진다면, 그 동안 분과적으로 이루어졌던 학교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일정 부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행 「통합사회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수시 개정을 통해 ‘통일’을 대주제(Big Idea)로 선정하고, 통일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성취기준을 보완함으로써 학교 통일교육은 질적인 도약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gained a foothold for taking off one-step higher.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mainly focuses on the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and the newly-established ‘Integrated Social Studies’ aims for the integration of those two subjects. Therefore, if the ‘Unification’ is selected as a Big Idea and synthetically handl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he existing problems with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that has been fragmentarily performed could be partially overcome. By complementing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integrated approach to the unification and also selecting the ‘Unification’ as the Big Idea through the partial/constant revision of the current 「2015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could establish an opportunity to achieve the qualitative take-off.

      • KCI등재

        한국자음지각검사의 오류특성 및 유용성 분석

        김동창(Kim Dong Chang),진숙(Kim Jin Sook),이경원(Lee Kyoung W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y the baseline data for auditory rehabilitation in the field through error type and rate of the phoneme which the hearing impaired feel difficulty to discriminate. Thirty participants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heard KCPT lists through recorded voice by male and female to get the data about error type and KCPT score accordance with talker's gender. In the initial consonant test list, /ㄷ/, /ㅂ/, /ㅃ/, /ㅉ/, /ㅌ/ showed more than 30% error rate while /ㄱ/and /ㄷ/ showed in final consonant test list. The most common error type was the initial consonant substitution or the final consonant substitution for the initial or final consonant test lists. Talker's gender effect was not signigicant show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when compared results from male voice and female voice. It means that KCPT can be used regardless of talker's gender in clinics. 본 연구는 난청인이 오류를 보이는 음소들의 유형과 오류율을 확인하여 청능재활 현장에서 한국자음지각검사(KCPT)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30명의 감각신경성난청인을 대상으로, KCPT를 실시하여 오류유형, 화자에 따른 KCPT 점수의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오류유형의 경우 30% 이상의 오류율을 보인 음소는 초성검사문항의 경우 /ㄷ/, /ㅂ/, /ㅃ/, /ㅉ/, /ㅌ/이었으며, /ㅊ/을 제외한 모든 음소에서 10% 이상의 오류율을 보였다. 종성검사문항에서 30% 이상의 오류율을 보인 음소는 /ㄱ/과 /ㄷ/ 이었다. 오류유형을 살펴보면 초성검사문항에서는 초성자음대치, 종성검사문항에서는 종성자음대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검사문항이 초성 및 종성에 대한 검사에 적절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KCPT를 발화하는 화자가 남성 또는 여성으로 바뀌어도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재활현장에서 화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KCPT를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인지과학의 두 마음 이론과 도덕교육

        김동창(Kim Dong-Ch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8

        195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되기 시작한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을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이 해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지과학의 이중처리이론은 마음을 의식적인 규제 하에서 숙고적인 추론을 수행할 수 있는 반성적인 마음(the reflective mind)과 인지적 무의식 상태에서 자동화 된 메커니즘을 통해 신속하게 유입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직관적인 마음(the intuitive mind)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이중처리이론의 입장은 최 근 도덕심리학 영역으로 수용되어 하이트, 그린 등의 도덕판단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의 틀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의 도덕교육은 오랫동안 도덕적 추론을 도덕적 인지의 핵심으로 간주해 온 반면, 도덕적 직관에 관해서는 그것의 신뢰 가능성에 대한 의문으로 외면해 왔다. 도덕교 육이 인간의 도덕적인 마음, 도덕성에 대한 사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도 덕심리학과 도덕교육은 직관적인 마음에 대한 최근의 인지과학,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를 평가 해 보고, 수용가능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경험적으로 책임있는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이 되기 위해 도덕적 인지에 관한 인지, 신경과학적 연구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Cognitive science, which became active in the mid-1950s, began to understand human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Particularly, the dual process theory proposed division of mind into the reflective mind, which can perform deliberative reasoning under conscious regulation and the intuitive mind which processes information that is quickly received through automated mechanism in the state of the cognitive unconscious. The dual process theory has been recently included in moral psychology and provided a framework for psychology research in moral judgment of J. Haidt and J. Greene. For a long time, moral education has considered moral reasoning as the core of moral cognition while neglecting moral intuition because of questions regarding its credibility. From the viewpoint that moral education must be based on moral mind and factual understanding of morality, moral psychology and education must evaluate latest cognitive science and neuroscience related to the intuitive mind, and review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it. Furthermore, to improve empirical responsibility of moral psychology and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cognitive and neuroscientific research related to moral cognition.

      • KCI등재

        전문성 개념, 유형과 도덕 전문성

        김동창 ( Kim Dong-ch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최근 도덕 심리학에서 논의가 시작된 도덕 전문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지과학과 의사결정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전문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전문성, 전문가 개념과 유형, 특성들을 규명하고,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랩슬리와 나바에츠가 제시하는 도덕 전문성을 반복적, 적응적 전문성의 관점에서 조망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도덕 전문성에 관한 논의가 도덕 심리학의 합리주의와 직관주의, 도덕 교육의 인지발달적 접근과 인격교육적 접근의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have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moral expertise, which has recently been discussed in moral psychology. To this purpose, we will first look at studies on expertise that have been produced in such areas as cognitive science and psychology of decision making. Through this, we will identify concepts, types, characteristics of experts and their expertise. And the researcher will look at the moral expertise presented by D. K. Lapsley and D. Narvaez from the perspective of routine and adaptive expertise. Finally, it will be revealed that their discussion of moral expertise is directed toward the integration of rationalism and intuitionism in moral psychology,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and character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도덕과 교육 - 과학기술사회의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

        김동창 ( Kim Dong Ch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3

        인류는 3차례의 산업혁명을 거치며 삶의 양적, 질적 변화를 이루어 왔고, 현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사회변화의 중심에 과학기술이 자리를 잡았고, 오늘날 우리는 과학기술이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우리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정책에 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시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과 정책에 시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은 제4차 산업혁명으로 도래하게 될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과학기술사회의 시민성 교육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과학기술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권리와 책임에 관한 교육이 구체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Humankind has achie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of their life through three industrial revolutions. At present, Humankind enter into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d been at the center of social changes. Today, people live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n science and technology greatly influences people’s lives. Therefore, as citizens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relevant policies. It is required to actively take part in science, technology and relevant policies that largely influence citizens’ lives in order to achieve ‘democrat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erms of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take heed of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actively get involved in social changes that will be made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tively. In this aspect,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atically plan and perform the education of citizen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soc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도덕적 직관의 인식적 의미와 도덕교육 방안 탐구

        김동창(Dong-Chang K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도덕 심리학에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도덕적 직관을 자연주의 인식론의 맥락에서 살펴본다. 도덕적 인지에 관한 인지과학, 신경과학, 진화심리학 등의 연구들이 축적되면서 도덕적 직관이 일상의 도덕 판단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인지과학의 이중처리이론은 인지를 두 유형(Type1, 2)으로 구분하고, 도덕적 직관에 관한 도덕 심리학적 논의를 폭발시키는데 이바지한 하이트와 그린은 이러한 이중처리이론을 기초로 도덕 판단에서 도덕적 직관의 역할과 기능, 작동 메커니즘 그리고 신경생리학적 토대를 폭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도덕적 인지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에 주의를 기울이며, 자연주의 인식론 차원에서 도덕적 직관의 인식적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고 심리학화된 도덕적 직관, 곧 자연화된 도덕적 직관이 신뢰할 수 있는 도덕적 인지로서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신빙론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 도덕교육의 차원에서 도덕적 직관 계발 5단계를 제안한다. 하지만 도덕적 직관 계발 5단계는 시론적 수준이라는 한계를 갖는 잠정적인 방안이다. This study explored moral intuition, which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21st century moral psychology, in the context of naturalistic epistemology. An increasing volume of studies on moral cognition in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and evolutionary psychology has shown that moral intui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oral judgment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the dual process theory in cognitive science divides cognition into two types (Type1, 2). J. Haidt and J. D. Greene who contributed to amplifying moral psychological argument on moral intuition, revealed the role, mechanism, and neurophysiological basis of moral intuition in moral judgment based on the dual process theory. This study referred to recent research on moral cognition and discussed the cognitive meaning of moral intuition in terms of naturalistic epistemology. Also, it explored the question of whether psychologized moral intuition, i.e., naturalized moral intuition, can gain a status as reliable moral cognition from the viewpoint of reliabilism in epistemology, and proposed 5 steps of developing moral intuition based on a novice th expert theory in moral education. Also, the method for developing moral intuition in moral education as proposed in this study can provide a tentative guide to developing moral intuition, albeit on a tentative level.

      • KCI등재

        도덕에 관한 신경과학의 연구와 도덕교육

        김동창 ( Kim Dong-chang ),이정렬 ( Lee Jeong-ryeol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최근 도덕 판단에 관한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면서 도덕적 인지에 대한 신경과학 연구의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고, 신경윤리학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와 도덕교육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윤리학의 등장 배경과 윤리적 담론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서 인간의 마음에 관한 신경과학의 연구가 제시하는 주장들을 제시하였다. 신경과학 연구들은 기존의 윤리학적 논의가 형이상학적 측면이나 사변적 측면에 국한된 점에 대해 지적하면서 도덕을 실천하는 인간의 자연주의적 특성에 관한 관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주장들은 윤리학에서 제시되어 온 몸과 마음의 문제, 자유의지와 의사결정의 문제에 대한 반성적 숙고와 새로운 접근들을 요구한다. 한편, 인지과학, 신경과학의 발전은 새로운 기술을 통해 확보된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인지, 정서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윤리적 문제 등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교육에서도 윤리적 문제의 범위를 확대하여 신경과학의 발달로 인해 제기되는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 인지-신경과학 등을 기반으로 한 인간 향상 시대의 도래가 예상되는 지금 도덕교육은 인간 향상에 대한 도덕적 탐구와 윤리적 성찰을 통해 신경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윤리적 공백사태를 막을 수 있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cent achievements in neuroscience research on moral judgment, review major research findings in neuroscience research on moral awareness,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and tasks of ethics education concerning neuroethics re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background of neuroethics and the flow of ethical discussions, and suggested the claims that have been presented by the studies of neuroscience research on human mind. Studies of neuroscience point out that the existing ethical discussions are limited to metaphysical or theoretical aspects and raise the necessity to pay attention to the natural features of humans to practice morality. These claims require reflective considerations and a new approach to the issue of mind and body, and free will and decision making. In the meantime, the development in cognitive science and neuroscience raises new questions such as the moral issues of using new scientific technology and improv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apability of humans. Therefore, ethics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At a time when human life is expected to improve based on cognitive-neuroscience, ethics education should serve the major role of preventing ethical absence due to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tific technology through moral exploration and ethical introspection about human improvement.

      • KCI등재

        물리계에서 마음의 존재론적 지위

        김동창 ( Dong Chang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본 논문은 도덕성의 존재론적 지위를 연구한다. 신경과학은 인간의 두뇌에 대한 연구성과를 상당히 축적하였다. 그리고 그것에 근거해서 인간의 정신과 행동을 두뇌의 물리적 과정으로 환원하여 설명하려는 시도들 또한 쏟아내고 있다. 이는 1950년대 심리철학에서 제기된 심신문제가 신경과학의 장에서 다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과학이 믿음의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심신문제에 대한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는 심신인과, 마음의 존재론적 지위를 논의하는데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도덕성은 인간의 마음, 정신의 핵심을 구성한다. 그리고 우리는 학습자의 도덕성을 기르기 위해 도덕교육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덕성의 존재론적 지위(The ontological status)를 규명하는 것은 윤리학과 도덕철학(moral philosophy)의 근본과제일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도 하나의 중요한 기준점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의 마음에 대한 물리주의의 입장과 신경과학적 접근에 대해 살펴보고,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이들의 입장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해석해 본다. This study is about the ontological status of mind. Neuroscience has accumulated remarkable research achievements on human brains. And based on that, a numerous tries to explain human minds and behaviors into a physical process of the brain are pouring out. The mind-body issue raised in 1950s` philosophy of mind comes to the fore again in Neuroscience field. In this era, scienc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norm to distinguish between truth and false. In that sens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neuroscience on the mind-body problems should be covered as the main points when it comes to discussing the mind-body causation and the ontological status of mind Morality forms the very core of the mind and spirit. Also, we carry out moral education to cultivate morality of the learners. To define the ontological status of morality is one important standard in setting up the goals and directions of moral education as well as the fundamental task of ethics and moral philosophy. Thus, this paper covers the physicalistic standpoint and neuroscientific approach on the mind issue and interprets their current sugges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