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의 6·15공동선언에 대한 입장과 평가

        김동한(Kim, Dong-Han)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2010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Vol.13 No.-

        6·15 joint declaration is an official document both of South and North have agreed to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race. What is more, it is the first document both summits of South and North have agreed to. There is, however,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wo nation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each Korea gives the document. It shows openly the difference of ideology and system between two Koreas. In North, the importance of the document is unquestionable for the will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an absolute authoritarian ruler, is contained in the docu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democratic system of South, the importance of the document has diluted by the opposed political power for the will of Kim Dae-jung, the presid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contained in the document. North Korea takes the first clause of 6·15 joint declaration document as a priority and emphasizes racial cooperation and ‘just between ourselves’. It is an internationally justified agreement that reunification should be made on our own will and for ourselves. However, South’s passive reaction to that has rather provided North with an excuse of criticism. It was a period of 6.15 when the solution process in political problems was reaffirmed to be still rough and difficult. On the other hand, visible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aspect of economical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solution of matter, which can be said to make a historically remarkable process.

      • KCI등재
      • 인지 의미론의 관점에서 프로그래밍 사고의 이해

        김동만(Dong-Man Ki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1

        이 연구는 인지 의미론(cognitive semantics)의 관점에서 인간의 사고 과정을 고찰하고,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개발자가 갖는 사고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모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 연구로 인지 의미론적 사고 과정을 고찰하고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류의 사상 과정(mapping process)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에서 참조 점구조(reference point constructions at programming)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로 얻은 결론은, 1)올바른 프로그래밍 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수업에서 비유와 환유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고 이때 발생하는 사상 과정과 결과를 확인해야 하고, 2)프로그래밍에서 발생하는 개인적인 사상 과정의 양상은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체계적인 인지 과정으로 인접성(contiguity)과 유사성(similarity)의 원리가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3)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자가 프로그래밍 요소에 대해 효과적으로 개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진입 점(entry point)과 참조 점(reference point)을 관찰하여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 CT 기반 전이가능한 스킬에 관한 연구 개관

        김동만(Dong-Man Ki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3 No.2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결과를 탐색하여 CT 기반 역량과 CT 기반 전이가능한 스킬을 규명하고, 정보교육에서의 적용방법을 제시하여 정보교과가 미래 사회 준비를 위한 주요 교과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로 CT 기반 전이가능한 스킬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필요한 스킬이면서 전이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학문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스킬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CT 기반의 전이가능한 스킬은 1)정보교과가 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교과임을 확인하는 주요 근거가 되고, 2)CT를 측정하는 보다 객관적인 평가요소가 되고, 3)정보교육의 패러다임이 인지적 영역에서 정의적 영역으로 나아가야함의 근거가 되고, 4)정보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육철학을 적용한 교육활동을 구상할 수 있는 하위 목표가 되고, 5)나선형 교육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론적 근거가 되고, 6)지능정보사회에 필요한 융합인재의 기본 능력이 된다. 후속 연구로 CT 역량의 구성체 확인을 위한 구체적인 CT 기반 전이가능한 하드 및 소프트 스킬을 탐색하고 검증하여, 보다 타당한 CT 기반 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학습자의 명사 인식 양상 분석

        김동인 ( Kim Dongin ),김혜연 ( Kim Hyeyou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3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명사 인식의 양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명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110명의 중학교 1학년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선행연구와 국어교육 전문가 평정 과정을 거쳐 확정된 27개 단어에 대해 명사와 비명사 여부, 명사의 추상성 여부를 묻는 명사 판별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의 명사 판별 수준은 비명사 판별 수준보다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판별된 단어의 추상명사 여부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개별 단어가 명사로 판별된 정도를 추산함으로써 어떤 단어들이 문법 오개념을 유발하였는지를 확인한 결과, 이러한 단어들 또한 추상명사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명사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비계를 제안하는 등, 학습자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문법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noun awareness of fir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as grammar education learner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ducation about nouns. Altogether, 110 participa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engaged in a noun discrimination task with 27 words that were confirm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n experts’ evaluation process.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noun discrimination level tend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noun discrimination level. Furthermore,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being related to abstract nouns. By checking the noun identification of words, we also confirmed that the trigger for grammar misconceptualization is related to abstract nouns. Based on this, various topics such as scaffolding for middle school lear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디지털 역량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김동만(Dong-Man Ki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2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여 6개 영역, 40개 문항의 1차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2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요소와 문항을 정제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통계적으로 만족시킨 6개 요인,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생 디지털 역량 검사 도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용 디지털 역량 검사 도구는 디지털 기기 운용, 소통 및 협업, 정보 검색·처리·관리, 문제 해결 및 학습, 보안, 디지털 윤리 등과 같은 6가지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검사 도구는 집중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가 높아 대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검사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역량검사 도구는 대학생의 현재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적 지원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o develop a diagnosis tool for measuring digital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 To this end, 223 students participated for the survey research. Based on the survey by 6 domain and 40 questions, 6 factors and 18 questions for digital competence measurement were drawn throughout the factor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fact that 6 factors and 18 questions that satisfied the model-fit indexes statistically were finally confirmed. And the developed tool demonstrated good result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which were suitable for measuring digital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of digital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consisted of 6 sub-components such digital device oper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formation searching, processing, and management,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security, digital ethics. The digital competence measur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competences for university student, and to enhance their own digital competences through educational supports.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상호작용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의도와 화용론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인(Kim, Dong-In),정은희(Jeong, Eun-Hee)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AI 스피커를 활용한 상호작용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의도와 화용론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교 고등학생 3명을 대상으로 AI 스피커 ‘카카오 미니’를 활용한 상호작용 장면에서 구어를 기준으로 사전검사 4회기, 자료수집기간 6회기 동안의 영상 자료를 수집하여 의사소통의도 산출 빈도와 AI 스피커의 정반응률, 그리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모두를 포함한 화용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AI 스피커를 활용했을 때 의사소통의도 산출 빈도는 활용 전보다 활용 후에 증가하였다. 둘째, 자료 수집 기간 초기에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의도를 산출하였고, 행동 요구, 반복하기, 자기 생각 진술, 명료화 요구 등의 의사소통의도 유형이 나타났다. 회기가 거듭될수록 AI 스피커의 정반응률이 높은 참여자는 의사소통의도 산출 빈도가 증가하였지만 그렇지 않은 참여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 대상의 AI 스피커를 활용한 상호작용 효과와 AI 스피커 활용에서 구어 중심 의사소통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AI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술적 보완과 필요성, 향후 연구 방향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action using AI speakers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ir communication intentions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 high school students at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em, the AI speaker Kakao Mini was used to collect video data for 4 pre-tests and 6 periods of data collection period based on the spoken language in the interactive scene using the AI speaker Kakao Mini to analyze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calculation, the response rate of the AI speaker,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oth linguistic and nonverververic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hen the AI speaker was used, the frequency of calculating communication intention increased after the use than before. Second, at the beginning of the data collection period, the communication intention was positively calculated, and the types of communication intention such as action demand, repetition, self-thought statement, and clarification demand appeared. However, as the sessions continued, participants with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s of AI speakers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tention calculations, but participants who did not do so did not chang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effects of interacting with AI speak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language-centric communication, discussed technical complements and the need for ai speakers to use education, and set out future research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