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상지의ㅏ 재골절

        박희완,김대야,현우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소아에서 발생하는 상지의 재골절과 관련된 임상적, 해부학적 요인 및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쇄골과 수부를 제외한 상지의 재골절로 내원하였던 만 15세 이하 소아 환자 중 전신적 골질환이 있었던 경우 및 처음 골절부위와 다른 부위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한 18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처음 골절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3개의 군 (상완골 과상부 골절, 상완골 외과 골절, 전완골 골절)으로 나누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들은 다시 재골절의 유형에 따라 미성숙한 가골에서 발생한 조기 재골절과 골의 재형성 후 발생한 후기 재골절로 분류하였으며 골절양상과 동반된 기존 변형 등이 조사되었다. 결과: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경우 9례 중 2례는 과상부에서, 7례는 외과에서 재골절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6례에서 내반변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상완골 외과 골절의 경우 3례 중 1례는 과상부에서, 2례는 외과에서 재골절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1례에서 내반변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완골 원위부 재골절의 경우 대부분 골유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 발생한 후기 재골절이었던 반면, 전완골 골절의 경우 총 6례의 재골절 중 4례가 골의 재형이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 발생한 조기 재골절이었다. 또한 이 중 5례는 골간부에서 발생하였으며 재골절 발생 전 모두 경도의 전방 각형성이 선행하였다. 결론: 상완골 원위부 재골절의 경우 내반변형이 가장 중요한 유발인자로서 특히 외과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전완골 재골절의 경우 전방 각형성이 잔존된 골간부에서 미성숙한 기골을 통한 조기 재골절이 가장 흔하엿다. 이러한 재골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완골 원위부의 경우 내반변형의 발생 예방을, 전완부의 경우 각형성이 남지 않도록 정확한 정복과 더불어 충분한 기간동안의 고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tiologic factors related to refractures of the upper extremity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18 refractures of the upper extremit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initial fractures: Supracondyle fractures of the humerus, lateral condyle fracture of the humerus, and the forearm bone fractures.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ype of refractures(early refracture occurring at the immature callus and late refracture occurring at the remodeled bone), fracture patterns, and the existence of underlying deformity. Results: Nine supracondyle fractures had refractures at the supracondyle (2 cases) and the lateral condyle (7 cases), in which underlying cubitus varus were present in 6 cases. Three lateral condyle fractures had refractures at the supracondyle(1 case) and the lateral condyle (2 cases), in which one case had underlying cubitus varus. All but one cases in the group of humerus fractures were late refractures and treated operatively except one. Of 6 refractures of forearm, 5 were early refractures and occurred within 9 weeks at the original site: 4 at the diaphysis of both bones of forearm and 1 at the diaphysis of ulna. All cases in the group of forearm fractures had volar angulation before the refracture, and treated conservatively except one. Conclusion: In the humerus, underlying cubitus varus was the most important predisposing factor to refractures and the lateral condyle fractures were common. In the forearm, volar angulation of the diaphysis were related to refractures, and complete and circular consolidation of the primary fracture of forearm was thought to be important to prevent refrac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 골절에서 활강 지연 나사의 전후방 경사와 안정성과의 관계

        양규현,유제현,이동주,원정훈,김대야,심동식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 골절에서 활강 지연 나사의 전-후방 경사에 따른 근위 골편의 활강 양상을 측정하여 지연 나사의 전후 또는 후전 삽입 경로가 골절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0개의 근위 대퇴 인조골(Synbone^(TM), Proximal femur)에 AO type A2.1 불안정 전자간 골절을 재현하여 5례씩 두 군으로 나눈뒤, 제 1군에서는 측면 사진상 전-후 방향으로, 제 2군에서는 후-전 방향으로 삽입각을 정한 상태에서 135도 활강 압박 고 나사로 고정하였다. lnstron 6022로 500N의 주기적 부하를 30회 가한 후 근위 골편의 활강거리 및 회전각을 측정하여 지연 나사 삽입각의 차이에 의한 활강 및 회전 정도를 분석하였고, Mann-Whitney U-test로 통계학적 검증을 하였다. 결과 : 제 1군은 평균 9.0 mm 활강하였고 제 2군은 평균 9.2 mm 활강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92). 제 1군의 회전각은 평균 13.4도로 제 2군의 평균 8.0도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으며 (p=0.012), 제 1군에서만 5례 중 3례에서 원위 골편의 전방 피질골에 골절이 발생하였다. 결론 :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 골절에 있어서 근위 골편의 활강은 지연 나사가 삽입된 전-후 경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근위 및 원위 골편의 조기 편심성 접촉은 근위 골편의 회전을 유발시키고, 제 1군에서는 3례에서 원위 골편의 전방 피질골 골절을 일으켰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iding pattern of the proximal fragment(head and neck)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hich were fixed with a dynamic hip screw(DHS) with anterior to posterior or posterior to anterior insertion angle in the axial view. Materials and Methods : AO type A2.1 intertrochanteric fracture was reproduced in 10 proximal femur model (Synbone, Malans, Switzerland). Five fractured models were reduced and fixed using DHS with anterior to posterior insertion angle (group 1) and five models were fixed with posterior to anterior angle (group 2). Load of 500 N (30 cycles) was applied to the fracture fragment-plate complex using lnstron 6022. Data on the distance of sliding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proximal fragm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statistically in the distance of sliding between the two groups (p=0.92). However, the mean angle of rotation was 13.4° and 8.0° in group 1 and 2,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2). Anterior cortical fracture of distal fragment was noted in 3 cases of group 1. There was no fracture of the anterior cortex in group 2. Conclusion :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he insertion angle of the lag screw in axial view does seem to play a role in the fate of bone-plate complex. Early eccentric contact of both fragments caused rotation of the proximal fragment in all cases and anterior cortical fracture of the distal fragment in 3 cases of group 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