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 발달장애인의 고용 현황 및 특성과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대규(Kim Daegyu),김현진(Kim Hyunjin),김소현(Kim Sohyeo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령 발달장애인의 고용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을 위해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의 원 자료(Raw data)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Chi-Squared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업 고령 발달장애인은 생계유지를 목적으로 취업하여 장기간 고용을 유지하고 있으나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자와 보호자는 근무 지속을 희망하였다. 둘째, 미취업 고령 발달장애인은 과거 취업경험이 없고, 취업한 경우 장애 및 건강상의 이유로 퇴사하여 장기간 미취업상태로 있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당사자와 보호자는 취업을 희망하지 않았다. 셋째, 고령 발달장애인은 7가지 영역별 특성(인구학적 특성, 장애 및 건강 특성, 인적자본 특성, 사회 환경 특성, 여가시간 특성, 가족지원 특성, 미래설계 특성)에 따라 취업상태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성별(남성), 고용서비스이용, 스마트폰활용능력, 일과 만족도, 여가시간 활용여부, 취업에 대한 가족지지, 보호자 취업여부, 사보험 가입, 주거계획이 도출되었고, 취업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기초생활보장수급여부(수급), 최종학력(무학), 장애정도(1급), 보호자 부담정도로 분석되었다. 결론 또는 시사점: 고령 발달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과 유지가 장애인 당사자의 불안한 미래에 대한 준비와 보호자의 경제적 어려움 및 돌봄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언하였으며,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of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Method: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raw data of the 2021 Survey of Work and Life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nd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find employment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ir livelihood and maintain employ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but the percentage of low-wage workers is high. Despite this, the patient and his family wished to continue working. Second, unemployed elderl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no past employment experience, and when they were employed, they left the company due to disability and health reasons, and a high proportion of them remained unemploy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person concerned and the family didn’t want to get a job. Third, Elderl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ffered in their employment status according toseven factors. Fourth,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chances of getting a job are gender (male), use of employment services, ability to use smartphones, satisfaction with work, availability of leisure time,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availability of family to find employment, Private insurance enrollment and housing plans were derived, and the factors that lowered employment possibilities were analyzed by whether or not they received basic living security (receipt), final academic ability (uneducated), degree of disability (first grade), and extent of parental burde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nd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재직자 직업훈련 효과성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 향상훈련과정 중심으로

        김대규(Kim Daegyu),김소현(Kim Sohyeon),김현진(Kim Hyunji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서 진행한 발달장애인 재직 근로자 능력향상훈련과정의 효과성을 확인하여 훈련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경남 소재 3개 사업체에 근무하는 37명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재직자 훈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 design)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손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직무 특성을 고려한 직무능력 향상 평가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훈련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근로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업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담 결과 발달장애인 근로자들의 직업의식과 의사소통 능력은 물론 직무능력이 향상되는 등 재직자 훈련과정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또는 시사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직자 훈련과정은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능력과 직장적응력 저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장기근속 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른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course for incumbent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need for training and improved directions. Method: Incumbent training was conducted for 37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king at three workplaces in Gyeongnam, and the results were investigated using a mixed method design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job ability improvement considering the job characteristics based on hand fun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as very high. Third,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workplac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ecessity and positive effects of the incumbent training course, such as improving the job skills as well as the occupational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umbent training course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ersons Training Center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s effective in resolving the problems of lowered work ability and job adaptability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ome extent and improving their competencies for long-term service. direc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전기자전거 회생제동 성능평가 및 동적 안정성해석

        김대규(Daegyu Kim),최성준(Sungjun Choi),김동욱(Donguk Kim),장승붕(Shengpeng Zhang),박성채(Seongchae Park),신외경,탁태오(Teaoh Tak)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2 No.6

        본 논문은 전기자전거의 회생제동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고 회생제동토크가 주행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양한 주행 조건과 제동 상황에서 전기자전거의 회생제동 에너지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회생제동 성능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회생제동이득”이라는 성능지표를 제안하였다. 성능지표의 타당성과 효용성을 교통 환경, 길이, 경사도 등 조건이 서로 다른 도로에서 주행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조향각과 롤각의 2 자유도를 가지는 자전거의 동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회생제동토크가 자전거의 주행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생제동토크가 커질수록 저속에서 자전거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동적안정성이 나빠진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안정성해석을 기반하여 회생제동성능과 주행안정성 모두를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회생제동토크 생성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n electric bicycl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generative braking on the dynamic stability of bicycles. By analyzing the electric energy regeneration of an experimental bicycle under different road and operating conditions, we propose a performance index called “regenerative braking gain” that can quantify regenerative braking performanc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ndex are verified through driving tests under different road and traffic conditions. The effects of regenerative braking torque on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bicycle are studied using a mathematical model with roll and steer degrees of freedom. Test results show that as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bicycle at low speed deteriorates because of excessive weave motion. Based on this finding, a new strategy that can enhance the regenerative braking performance of the bicycle while avoiding low speed-instability is proposed to improve the design of electric bicycle regenerative braking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인은 자신의 평생설계와 부모의 사후 삶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는가?

        김대규(Kim Daegyu),김소현(Kim Sohyeon),김현진(Kim Hyunji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4 장애와 고용 Vol.34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특성으로 인해 외면해 왔던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부모 사후 삶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고, 이들의 평생설계 수립 과정을 분석하여 당사자 관점에서 필요한 지원책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성인 발달장애인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따라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과적 조건으로 ‘발달장애인의 단기적 일자리 취업 패턴과 불안정한 수입’, ‘복잡한 서비스 및 지원 시스템 이용 어려움’, ‘부모 상실에 대한 인식과 정서적 대처 방안 부재’, 중심현상으로 ‘부모 사후를 대비한 미래계획 부재와 자립생활의 막막함’, ‘지속적인 수입을 보장할 수 있는 직업의 필요성 인식’, ‘자립에 대한 열망과 정부 지원 필요 사이의 양가 감정’, 맥락적 조건으로 ‘범죄 피해 노출 및 긴급지원 체계의 낮은 접근성’, ‘장애 차별 경험으로 인한 트라우마 발현’, 중재적 조건으로 ‘미래계획 수립을 위한 가족들의 지원’,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안정적인 일자리 취업을 위한 역량강화’,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 및 정부 지원 혜택 활용’, ‘동료 장애인들과 상호작용하며 삶의 경험 공유’, 결과로는 ‘부모 사후 독립생활 준비와 건강 관리 계획 수립’, ‘장애 정도에 따른 차별적 지원 정책 요구’로 나타났다. 결론 또는 시사점: 도출된 범주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분석틀에 따라 구조화하였으며, 구축된 패러다임 모형을 근거로 발달장애인의 평생설계를 위한 정책 및 현장에 주는 의의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garding their lives after the death of their parents, a topic often overlook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It also seeks to analyze the process of formulating permanency plans for these individuals and to explore the necessary support measures from their perspective.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e identified causal conditions include short-term employment patterns and unstable income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allenges in navigating complex service and support systems, and lack of awareness and emotional coping mechanisms for parental loss. The central phenomena were absence of future planning for life after parental death and uncertainty about independent living, recognition of the need for jobs that ensure stable income and ambivalence between the desire for independence and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exposure to crime and low accessibility to emergency support systems and trauma resulting from experience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Intervening conditions were support from families for future plann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capacity building for stable employment, utilizing institutional and government support benefits, and sharing life experiences through interactions with pee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outcomes were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and establishing health management plans after parental death and advocating for differentiated support policies bas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Conclusion: The derived categories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paradigm analysis framework of grounded theory. Based on the constructed paradigm model,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for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permanency planning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