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의 발상과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녕(Kim Ny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6 생명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언론 및 인터넷 매체에 실린 인성교육진흥법에 대한 기사 및 찬반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으며, 주로 이 법의 발상과 함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면서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성교육진흥법의 입법 취지와 찬성론은 주로 인성교육의 당위성만 부각시키고 있을 뿐, 여러 가지 우려를 잠재우진 못한다. 둘째, 비판적인 입장에서 볼 때, 이 법은 인성을 평가한다는 발상 자체의 문제, 인증권한의 독점과 관련된 유착 문제, 법률만능주의적 발상의 문제, 국가가 인성교육에 개입함으로써 빚어지는 국가주의적 인재상(人材像) 혹은 국민상(國民像)의 문제 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법이 만들어지고 시행되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점점 불거질 것으로 전망했다. 첫째, 인성교육이 취지는 좋더라도 혹시라도 인성점수가 대학입시에 반영된다면 사회봉사와 같은 식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 둘째, 인성교육 연수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모든 교사들과 모든 학생들의 경우, 자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는 점, 셋째, 신자유주의적 교육풍토와 교육을 상품으로 보는 교육관이 점점 인성교육의 사교육 영역을 잠식할 것이며, 특히 인성교육 인증에 있어서 독점적 권한을 지닌 인실련(인성교육범국민실천연합)과 교육부의 유착관계 등은 계속 문제가 될 것이라는 점, 따라서, 점점 비판의 소리가 커지게 될 것이라는 점 등이었다. 그리고, 제언으로서 사회변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인권교육-시민교육이 인성교육진흥법 식의 인성교육을 보완해야만 한다는 점과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라 구성되는 ‘인성교육진흥위원회’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여야한다는 점 등을 강조했다. This study critically considers the articles and opinions available in the internet and news media regarding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he pros and cons about it while focusing mostly on the idea and implication of the Law, and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First,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opinions supporting the Law only tend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thus, being not persuasive enough to calm down the concerns regarding the side-effects of law. Second, judging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Law has several serious problems, such as the idea of evaluating and grading characters of human beings, the monopoly of certification authority by a single institution enjoying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idea of solving all problems by legislation, and the problem of state's involvement in character education possibly aiming to foster people of amenable type. Furthermore, several problems are expected to be shown as the Law comes into effect: First, if the characters of students are evaluated and reflected in college entrance exams, the good purpose of character education will be discolored just as the case with social service. Second, as all teachers and all students are required to take character education, many of them can experience senses of shame. Teachers can feel that what they have taught students for so far fall short of the standard, and students can think that they are required to take character education seriously because they are regarded possibly as a part in the violence in school. Third, as students and their parents become suspicious that the characters of students are graded to be reflected in college entrance exams, private educational markets will be outrageously growing. And the monopoly of certification authority by a single institution having a close tie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continuously bring blame upon itself. All of these will be a signal that character education field is never free from the influence by neoliberalism trend prevailing in Korea. As closing remarks, it wa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led by the Law had better be combined with human rights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so that it can make itself contributable not only to having a better character but also to making this society a better one.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Committee’ organized according to the Law should play its role and authority well enough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 KCI등재

        신앙인의 ‘정치적 투신’과 ‘종교적 동기’

        김녕(Kim Ny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8

        이 글은 정치적 대의(大義)를 위해 스스로를 던져 버린 신앙인 안중근과 장면의 정치적 투신(投身)과 종교적 동기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신앙인의 정치적 투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행동에 대한 “구조적 구속”을 강조하는 구조적(構造的, structural) 설명과 “행위자의 상대적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원적(自願的, voluntaristic, 의지를 행위의 근본 원리로 봄) 설명만으로는 부족하고, ‘종교적 동기’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을 주장하였으며, ‘종교적 동기’로는 구조적 요인으로서의 ‘교회적 요인’과 자원적 요인으로서의 ‘신앙적 요인’에 주목하였다. 그 ‘교회적 요인’으로는 교회-국가 관계 및 안중근 혹은 장면이라는 신앙인의 교회와의 관계 내지 대(對) 교회 관계를 살펴보았고, ‘신앙적 요인’으로는 스스로의 신앙과 정치 투신을 합일시키는 신앙관 내지 소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교회와의 관계에 있어서 ‘순명’을 택한 장면의 경우와 ‘저항’을 택한 안중근의 경우를 대조해 보았으며, ‘순명의 신앙’과 ‘저항의 신앙’, 둘 다 신앙인으로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종교가 지닌 ‘상대적 자율성’에 비추어 볼 때, ‘종교적 동기’, 특히 ‘신앙적 요인’은 ‘상대적 자율성’을 지니기에 제도 교회와의 관계라는 구조적 요인 혹은 구조적 제약으로부터도 상대적으로 자율적일 수 있으며, 그렇기에 더욱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신앙인의 정치적 투신이 더욱이 신앙에 입각한 순국(殉國)까지도 추구하는 경우라면, 그 동기는 순교(殉敎)의 경우만큼, 그 어떤 요인들로부터도 자율적이고 가장 강력할 것이기에 ‘종교적 동기’에 대한 고찰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신앙인이라면 흔히 제도적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제도 교회와의 관계에도 얽매이지 않아야 할 것이며, 이데올로기도 초월하여, “천주께 대한 진정한 충성”을 오롯이 지향하는 그러한 신앙을 지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commitment and religious mo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Ahn Jung Geun, a respectable national patriot, and John Myeon, the prime minister of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It maintains that neither structural determinism nor voluntarism seems to be sufficient to explain the political commitment of these Catholic believers. It further points out that political commitment or political actions are not always motivated by political concerns per se, and that religious motives deserve careful attention, as are the cases with Ahn Jung Geun, a Catholic who assassinated Ito Hirobumi, and John Myeon, a statesman who seemed to have been born a Catholic priest or a Catholic educator, instead of being a politician. This article goes on to analyze religious motive into two parts, i.e., church factors, and faith factors, and shows that both the strong disobedience of Ahn Jung Geun to the Church’s policy of disengagement from politics and the sincere obedience of John Myeon to the Church’s call for working for the Church’s interests were largely motivated by their religious conviction. It further argues that faith factors sometimes outweigh church factors, thus motivating believers either to resist the Church’s policy or to respect it unconditionally at any cost. Faithful believers are those who can die a martyr in the cause of independence or democracy of their nations, if only they have conviction that it is the will of God. Thus, we can say that what matters most is the faith of believers, and that it deserves particular attention when analyzing political actors whose conviction seems to be rooted in religious faith, rather than political desire.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신자유주의와 빈곤, 그리고 인권 NGO들의 역할

        김녕(Ny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4 현상과 인식 Vol.28 No.3

        1997년 말의 IMF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시행된 신자유주의적 경제 희생 정책은 실업과 빈곤을 양산하였을 뿐 아니라, 노동의 권리와 사회보장의 권리 등 사회권 전반의 위기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에 의해 야기된 한국 사회의 실업 및 빈곤 문제를 인권 및 인권운동의 시각에서 국가의 의무 및 인권 NGO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make clear that unemployment and<br/> poverty brought about by the so-called IMF crisis and the neo-liberal reform have aggravate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Korea. Without an adequate social safety net, an increasing number of Korean people have been forced to give up not only their rights to work, but also their rights to life, family, safety, and their pursuits of happiness, i.e., their 'human rights'. In this vein, this study carefully examines the Korean NGOs' Counter Report, which was submitted to the UN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on the Second Report by the Korean government under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ICESCR). As most Korean NGOs rightly observed, the unemployed and the poot became the main victims of the economic crisis, due to the lack of social welfare systems.<br/> Moreover,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imposed by the IMF as conditions for loans have become serious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ICESCR, exacerbating the inequalities among the classes. To make the matter worse, the Korean government has hardly undertaken its obligation to implement what the Covenant requires it to do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br/>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obligations of the government with<br/>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ICESCR and explores what Korean human rights NGOs have done so far and what tole they are expected to play in the future. Through several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it has been shown that Korean human rights NGOs have been striving to pressure the government, to implement the ICESCR in various ways, to investigate human rights violations on the spot, to form a human rights movement network within and without the country fighting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rights in the era of neo-liberalism, and to spread human-rights education both to the needy and to the civil society in general. Maybe, the crucial role of human rights NGOs lies in empowering those in need and those who work for them by equipping them with a powerful and universal language of human rights, rather than in fighting on their behalf perse.

      • KCI등재

        기독교의 이데올로기 관련성과 정치이데올로기적 역할

        김녕(Ny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4

        ‘이데올로기’라고 매도되던‘해방신학’에서처럼, ‘이데올로기’는 교회 안팎에서 흔히‘나쁜 것’으로 간주되곤 했는데 그런 편견은 극복되어야 한다. ‘이데올로기’는‘더 나은 세상에 대한 신념과 그런 세상을 위한 정치적ㆍ사회적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원칙이나 사고의 체계’이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역사상의 기독교는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도 초연하지도 않았다. 기독교는 이데올로기성, 이데올로기 비판성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 초월성도 지닌다. 또한 기독교는‘하느님 나라’의 정치질서에 기반을 둔 미래에 대한 신념과 비전을 지니기에 정치 이데올로기적인 특성도 지닌다. 기독교는, 본연의‘예언자적 역할’에 입각하여, 일반 정치 이데올로기들에게 정치 이데올로기들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방향을 제시해주는‘빛’의 역할과, 그 이데올로기들이 잘못되어 갈 때엔 그들을 규탄하는‘소금’의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통해서 신학과 사회과학이, 그리고 신앙과 정치가, 만나므로 기독교의 이데올로기 관련성 연구는 중요하다. As seen in the case of liberation theology that has been harshly criticized as nothing but an ‘ideology’, there has been strong prejudice against the term ‘ideology’from within and without the church. This article argues, first of all, that the prejudice can be overcome by defining ‘ideology’properly and rationally as the body of doctrine or thought forming a belief in, and a political or social program for, a better world, not merely stigmatizing it as a bad thing preoccupied with partial interests or class interests. This article, then, explores how the Christian religion is related to ideology and what politico-ideological roles it can play to secular political ideologies. Major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ristian religion in history has neither been free from nor aloof from ideologies. Secondly, it has characteristics that equal to ideologies, on the one hand, and that transcend ideologies, on the other, for it pursues something eternal and universal, e.g., the justice of the Kingdom of God. These dual characteristics enable it to play some critical and enlightening roles to secular ideologies. Thirdly, it also has politico-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at it seeks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n this real world. It has body of doctrine or thought forming a belief in and a vision for the future based on a better political order. It is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n, both politico-ideological and transcendent, that the ‘prophetic role’of Christian religion can play the role of “the light and the salt”for political ideologies, showing them the eventual direction they will have to seek, and denouncing them when they degenerate into nothing but reigning ideologies that play the hypocrite. And, lastly, ideological approach is indispensable for us to understand how the Christian religion actually can work for making the world better and how religious faith can be connected to political action. It is through ideological approach that theology meets social sciences, and that religious faith meets politics.

      • KCI등재

        대학 인권교육의 의의에 관한 고찰

        김녕(Nyung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5

        이 시대 한국의 청년들, 특히 대학생들은 행복한가? 대학생들은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았는가? 대학에는 ‘큰 배움’과 ‘큰 물음’이 있는가? 어떤 대학생들은 대학 공부를 그만 두고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몹시 힘들어하고 있다면, 대학은 어떻게 해야 할까? 본 논문은 그러한 문제의 원인이 대학 내의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부실에 있다고 보았고, 그것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이 우선 중요함을 강조했다. 물론, 과거에 비해 현재의 대학 인권교육은 양적 확산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며, 더 나아가 질적 심화가 요청되고 있다. 필자는 대학 인권교육이 단지 기본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까지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치교육, 인성교육, 시민교육의 토대이자 이런 교육들을 보완하고 추동하는 교육이기에 ‘특별한’ 의의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이 어떻게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을 보완하고 추동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교육들이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고찰하여 보았다. 아울러, 인권교육이 지닌 이러한 특별한 의의가 대학 내에서 커다란 공감대를 형성해 간다면, 인권교육은 양적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인권교육이 삶과 세상에 대한 긍정과 희망을 가져다준다는 점, 보편적 가치이자 복음적 가치인 인권, 정의, 평화 등을 접하면서 대학생들은 신앙을 찾게 될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토대로서의 인권교육은 오늘의 대학생들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기본적으로 꼭 필요한 ‘사유세계의 확장’을 가능케 하고 현재의 대학교육에 꼭 필요한 ‘큰 배움’과 ‘큰 물음’을 가져다준다는 점을 필자의 오랜 강의 경험에 비추어 강조하였다. Are youth in Korea,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happy? Do they feel they have a ‘purpose of their life’ and a ‘reason for their subject of study’? Are big questions examined on campuses? What do universities do if their students drop out or become frustrated when they face these problems? A failure of Korean universities to address theses questions, to a certain extent, can be attributed to considerable deficiencies in regard to character, civic, and value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 in solving this problem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of and can encourage such educations. The number of human rights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Korean universities has recently grown, but the number is insufficient and most of the courses must be improved in terms of quality and depth. This paper argues that improv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oviding it to more students and professors will make a difference. It is propos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be used to either educate students about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character equipped with sense of justice and solidarity, and civic empowerment and engagement, or supplement such educat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such educations can assist students in finding meaning of life and reason for study. Students can become optimistic and hopeful as world history shows that human rights movements are very often victorious. As human rights and related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justice and peace, are not only universal values but religious values shown in the Bible as well, some of students who yearn for these values can be drawn sometimes to religion and God. Further, human rights education can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big questions, which Korean universities do not currently encourage students to do.

      • KCI등재

        한 백년 민족사와 국가권력, 그리고 가톨릭교회, 1910~2010

        김녕(Ny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3

        이 논문은 ‘안중근 의거’(1910)부터 ‘4대강 사업 반대’ (2010)에 이르는 한 백년의 민족사를 주로 한국 가톨릭교회와 국가 권력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되돌아보고 성찰함으로써 그 역사적 경험이 오늘의 우리에게 주는 교훈과 메시지를 찾으려 한다. 가툴릭교회가 한 백년 민족사 안에서 특히 중요한 공헌을 했던 경우는 주로 교회가 본연의 ‘예언자적 역할’ 에 입각해서 권위주의 정권을 비판하고 빈대함으로써 교회와 국가 간에 ‘갈등’ 내지 ‘긴장’ 을 초래하였고 그것이 결과적으로 한국의 민주화에 기여했을 때였다 하겠다. 그렇기에 로버트 벨라(Robert N. Bellah)가 제시한 종교와 정치, 흑은 종교적 이상과 정치적 현실 사이에 ‘창조적 긴장’이 있을 때가‘사회적 진보'(social progress)를 가져오기 쉽다는 이론이 적용 기능하다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그러한 ‘창조적 긴장’ 은 여전히, 4대강 개발이 정부에 의해 강제되고 있는 지금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flect on the one hundred years in Korean national history--from the patriotic deed of Martyr Ahn Jung Geun (1910) to the movement against the Four-river-development-project (2010)--mostly in terms of church-state relations, and seeks to explore what lessons and messages we can learn from the past. It will be shown that the Church’s major contributions to the social progress in Korean national history can be found mostly when church-state conflicts were brought about by the Church’s denunciation against or opposition to authoritarian measures of the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tension’ caused by the ‘prophetic role’of the Church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social progress, e.g., democratization. It thus can be said that, Bellah’s theory that progress is most likely to be advanced when there is ‘creative tension’between religious ideals and political reality is applicable to the case of Korean history. And, the ‘prophetic role’and the ‘creative tension’seem to be called into play again now, opposing the Four-riverdevelopment-project compelled by the government in a very authoritarian way.

      • KCI등재

        인권교육의 시각에서 인성교육, 깨달음과 바뀜, 그리고 희망 바라보기

        김녕(Nyung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8

        이 시대 한국 사회에서 ‘인권에 대한 무지’는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도처에서 발견되며 이것과 한국 사회가 각 영역별로 겪고 있는 ‘인권의 위기’는 결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한국 사회는 ‘도덕성 및 인성의 위기’도 앓고 있다. 이 두 가지 위기는 상통하기에 인권교육과 인성교육이 동시에 요구된다 하겠다. 하지만, 인성교육은 중요성은 늘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적인 효과는 별로 없다 싶다. 이 글에서 필자는 우리 사회의 인권의 위기는 주로 인권에 대한 무지에서 기인하기에 인권교육이 필요하며, 인권교육이 제대로 역할을 한다면 인권의 위기를 극복할 뿐 아니라 기존의 인성교육이 지닌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는 데도 도움을 줌으로써 인성교육에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특히 인권교육은 인간존엄 가치교육, 인권감수성과 자세교육을 주안점으로 삼기에 인성교육과 차별성이 있지만, 바로 이점 때문에 인성교육에 기여하며 ‘깨달음’과 ‘바뀜’이 가능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학교폭력’과 ‘세월호 사건’을 사례로 들어, 당연히 느껴야 할 미안함과 부끄러움(치욕감)에 대한 교육, 그리고 ‘가만히 있음’을 벗어나 ‘가만히 있지 않음’과 함께 당당함과 분노를 갖게 하는 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대학 및 대학원에서의 인권교육 역시도 너무 늦은 게 아니고 실제로 학생들의 ‘깨달음’과 ‘바뀜’ 안에서 우리는 희망을 찾을 수 있음을, 그리고 그렇게 인성교육의 문제도 풀어갈 수 있음을, 실제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human rights education is needed, owing to the widespread human rights ignorance in Korea, and if human rights education plays its proper role, it can not only help our society overcome human rights crises, but also contribute to character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s emphasis on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as well as its focus on sensitivity and attitudes regarding human rights, distinguish itself from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it can encourage realizations or an awareness never experienced before, as well as ensuing changes in character. This article delves further to explore school violence and the Sewolho Ferry Accident. In addition, it considers and analyzes the human rights violations, shame, and attitude components included in them. It maintains that people should feel sympathy and shame, as well as that they must be educated to become angry about and to protest the violence and tragedy surrounding them. In conclusion,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human rights education to make a difference not only to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but to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nd we can find hope and vision in our education and society, thanks to human rights education.

      • KCI우수등재

        천주교회의 정치적 개입과 교회-국가 갈등

        김녕(Kim Nyung) 한국정치학회 1995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2

        이 논문은 민주화 투쟁에 있어서 천주교회의 역할이 두드러졌던 남미 및 필리핀의 경우를 다룬 기존 연구들에서 이론적인 도움을 받으며, 1970년대의 한국의 정치사적 성격을, 한국천주교회가 정치적으로 개입되어 정치화되었고 교회와 국가 사이에 큰 갈등이 빚어졌으며 그 갈등관계 속에서 당시 사회ㆍ정치적 상황에 의해 요구된 교회 특유의 예언자적 역할(prophetic role)을 교회가 수행함으로써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던 기간으로서 재조명해 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교회의 정치적 개입의 동기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감정이입(empathy)이 필요하다는 논거를 제시했고, 교회의 정치적 개업(political involvement), 교회-국가 갈등(Church-state Conflict), 교회의 사목적 행동(pastoral action)과 예언자적 역할(prophetic role) 등 주요 개념들을 이론적으로 정리해 보았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종교적 변화의 정치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1970년대 한국의 교회-국가 갈등을 개관한 후, 보다 구체적으로 지학순 주교사건(1974), 명동 3ㆍ1 사건(1976), 오원춘 사건(안동사건)(1979)을 이론적 시각에 입각해서 분석해 보았다. 이 논문이 밝힌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제3세계 국가들에서처럼 한국의 경우에도, 교회의 정치적 개입은 (1) 대외적인 요인으로서 해방신학을 포함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새로운 사회적 가르침들의 영향 및 (2) 대내적인 요인으로서 억압적인 권위주의적 지배에 대한 교회의 내적 반응으로서 설명되며, 남미의 경우들에서처럼 한국의 경우에도, 교회의 주요 인사(한국의 경우는 지학순 주교)가 권위주의 정권에 의해 직접적ㆍ물리적으로 위해를 당한 후에 비로소 본격적으로 정치적 반대 운동에 개입하게 되는 “지체된 반응”(delayed reaction)의 양상을 보였음을 밝혔다. 둘째, 교회와 국가 사이의 정치적ㆍ이념적 갈등, 교회와 국가권력의 상호간의 대응 형태, 그리고 민주화운동에서의 교회 특유의 예언자적 역할과 사목적 행동이라는 이론적 관점들은 다른 제3세계의 경우 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례들의 분석에도 매우 유용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교회의 정치적 상관성 및 개입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교회가 인식하고 행하는 예언자적 사명이며 이것은 곧 권위주의 정권과 갈등을 야기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지학순 주교 사건, 명동 3ㆍ1 사건, 오원춘 사건). 넷째, 교회의 사회ㆍ정치적 영향력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교회가 지닌 도덕적 권위이며, 이것은 교회가 예언자적 사명에 입각해서 행하는 진실규명활동에서 특히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오원춘 사건). 대중이 정부보다 교회를 신뢰한다는 사실이 곧 교회의 사회ㆍ정치적 영향력을 이루는 핵심요소이다. 교회-국가 간의 갈등을 주로 논의한 이 논문은 교회의 정치적 개입으로 인해 야기된 교회 내의 갈등, 교회의 정치적 개입의 영향력과 한계, 국가-교회-시민사회의 역학관계에서의 교회의 민주화 역할 등은 제한적으로밖에 다루지 못하였으므로 후속 연구들에 의해 보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