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운동선수의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기본욕구 및 동기적 성향간의 구조모형 검증

        김기형 ( Ky Hyoung Kim ),박중길 ( Jung Gil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Amorose와 Anderson-Butcher(2007)의 가설적 모형에 근거하여 대학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자율성 지지와 기본 심리적 욕구 및 동기적 성향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수도권 대학 남자 운동선수 315명이 지각된 자율성 지지, 기본 심리적 욕구 및 동기적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SPSS 15.0과 AMOS 7.0에 의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자율성 지지는 운동선수들의 관계성, 자율성과 유능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각각의 기본욕구는 선수들의 동기적 성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구조 모형의 검증에서 지각된 자율성 지지가 세 가지 기본욕구 수준의 매개 효과를 통해 동기적 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적 모형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뒷받침하며, 코치들의 선수에 대한 자율성 지지 행동과 관련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tonomy-supportive coach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otivational orientations among collegiate athletes, which was based on hypothesized model by Amorose and Anderson-Butcher(2007). 315 male college athlete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competence, autonomy, relatedness, and motivational orientations. Using SPSS 15.0 and AMOS 7.0 statistical packag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perceived autonomy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college athletes` relatedness, autonomy, and competence, which each predicted their motivational orient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upported a model which a perceived autonomy support positively impacted hypothesized mediating variables of three basic needs to foster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ere discussed with implication regarding to autonomy-supportive coaching behaviors perceived by athletes.

      • KCI등재

        건강행동과정접근(HAPA) 모델을 이용한 성인들의 신체활동 변화 예측

        김기형 ( Ky Hyoung Kim ),박중길 ( Jung Gill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6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is study tested the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HAPA) as a motivational model for physical activity in a longitudinal sample of 483 adults (275 males, 208 females) over a 10 week period. Methods: Participants`` action self-efficacy, decision balance for exercise, perceived risk awareness and intention were measured at baseline (Time 1). Maintenance self-efficacy, action planning and action control were measured 5 weeks later (Time 2). Physical activity behavior was measured 10 weeks after baseline (Time 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HAPA model. Results: The first model showed that inten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The second model, which included the volitional components of the HAPA model, di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portion of behavior explained. The third model showed that intention, maintenance self-efficacy and action control were positive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HAPA provides a useful framework for identifying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behavior within a group of middle-aged adults.

      • KCI등재

        대학 운동부 선수의 학업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적용과 효과 탐색: 사례연구

        김기형 ( Ky Hyoung Kim ),박중길 ( Jung Gil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선수의 학업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적용과 그 효과를 탐색하고,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고려대학교 1학년 운동부 선수 60명(남자 55명, 여자 5명)이 참여하여 스포츠 학습환경과 운동선수 만족, 수업참여 의도 검사지와 개방형 질문지 응답하였다. 자료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대응표본 t-검증, 귀납적 내용분석이 이용되었다. 측정변인별 두 측정시점 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스포츠 학습환경에서는 자기관여와 실수, 코치-선수의 의사소통, 노력/규칙 및 관계 요인, 운동선수의 만족에서는 예산과 학업적 지원, 그리고 수업참여 의도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혜택은 지식과 사고, 대인관계 및 진로탐색 기회 제공, 수업참여 방행요인은 피로, 수업분위기, 연습과 경기출전, 효과적인 학사운영을 위한 개선사항은 수업환경, 교육과정 확대, 수업내용과 과제, 수업시간과 관리, 그리고 학업적 지원 시스템은 전담교수제 도입, 학업/진로 상담실 및 수업불참자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throughout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for collegiate athletes` academic performance and to suggest several devices for efficient academic administration. Sixty athletes(male 55, female 5), freshmen at Korea University responded to Sport Class Environment Scale, Athlete Satisfaction Questionnaire, Learning Intention, a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were utilized for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test by measurement variable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self involvement and mistake, coach-athlete communication, effort/order, and affiliation in sport class environment, budget and academic support in athlete satisfaction, and learning intention compared with pre-test. Recognized knowledge and thinking expansion, relationship, and opportunity for career groping as beneficial aspects of learning, athletes considered fatigue, class climates, practice and game participation as significant obstructors hindering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required to arrange or operate academic support systems such as exclusive teaching staff, counselling room for learning and career education, specific program for non-attendants in class.

      • KCI등재

        대학운동선수의 사고양식과 목표성향이 내,외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기형 ( Ky Hyoung Kim ),박중길 ( Jung Gil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Sternber(1994)가 제안한 사고양식과 목표성향이 대학운동선수의 내·외적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대학 운동부 소속 277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사고양식, 스포츠 목표성향, 스포츠 참여동기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기술통계, 적률상관 및 정준상관분석, 단계적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수들은 자유적, 입범적, 군주제, 외부적, 행정적 사고양식이, 자아성향보다 과제성향이, 외적동기보다는 내적동기 수준이 더 높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2) 사고양식은 운동기를 제외한 내외적동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목표성향은 내외적동기와 정적/부적으로 매우 높은 관계를 보였다. (3) 선수들의 내외적 동기에 대한 개인변인과 사고양식의 효과는 Tvoe I과 운동경력이, 개인변인과 목표성향의 효과는 과제성향만이 각각 전체 변량의 24%, 19%를 설명하였으며, 내외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예측변인군의 주효과는 과제성향과 Tvoe III가 전체빈량의 27%를 설명하였다. (4) 운동경력에 따른 사고 양식과 목표성향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과제 성향추구와 Tvoe III 선호경향성이 대학운동선수의 동기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nking styles and goal orientation on college sthlete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 total of 277 players who belong to university sthletic teams responded to a set of questionnaines measuring personal thinking styles, goal orientation and motivation. Analytic tools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n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ll personal variables partially in thinking styles, goal orientation and motivation. Second, think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except amotivation and goal orient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rinsic-extrinisic motivation positively on negatively. Third, in the main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 and thinking styles on athleters` motivation. Type I and goal orientations explained 24% of total variance in the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 and goal orientation only task orientation explained 19% of total variance and in the effect of all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to motivation significantly both task orientation and Type III contributed about 27% to all motivation. Uorceque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ask orientation and Type III-based thinking style are the best predictors of college athletes` sports motivation.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와 학습양식 예측변인으로서 사고양식 프로파일 분석

        박중길(Jung Gil Park),김기형(Ky Hyoung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1988)가 제안한 사고양식이 고등학생의 체육 내적동기와 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체육수업에서 사고양식의 실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적동기와 학습양식의 예측변인으로 가장 적합한 사고양식을 추출하고 이를 조합한 사고양식 프로파일에 따른 체육 내적동기와 학습양식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749명의 고등학생(남=330명, 여=419명)을 대상으로 체육 내적동기와 학습양식 및 사고양식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신뢰도 분석, 다변인 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이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남학생은 외부적, 행정적, 입법적, 전체적, 지엽적, 군주적, 계급적, 과두적 사고양식이 체육 내적동기를 예측한 반면 외부적, 내부적, 사법적, 계급적, 군주적, 지엽적, 보수적 사고양식은 학습양식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여학생은 외부적, 무정부적, 사법적, 군주적 사고양식이 내적동기를, 군주적, 과두적, 계급적, 사법적, 내부적, 외부적, 전체적, 자유적, 보수적 사고 양식은 학습양식의 주요 예측변인이었다. 아울러 고등학생의 체육 내적동기와 학습양식의 예측변인으로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네 가지 사고양식(사법적, 군주적, 지엽적, 외부적 양식)을 추출하였고, 이들을 조합한 프로파일적 접근을 시도하여 체육 내적동기와 학습양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oth the effects of Sternberg(1988)`s thinking style o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y a thinking style profile selected and compounded only styles that could be used practical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749 high school students (boys=330, girls=419) completed three questionnaires, Thinking Style Inventory,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and Grasha Reidman Student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M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ternal, legislative, global, local, monarchic, hierarchic, oligarchic style were useful for predicting intrinsic motivation, whereas external, internal, judicial, hierarchic, monarchic, local, conservative style were useful for predicting learning styles among boys. For girls, external, anarchic, judical, monarchic, style were useful for predicting intrinsic motivation, whereas monarchic, oligarchic, hierarchic, judicial, internal, external, liberal, conservative style were useful for predicting learning style. The combination of four thinking styles (judical, monarchic, local, and external) were found to have differentiated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yle

      • KCI등재

        운동선수의 기본 심리적 욕구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박중길 ( Jung Gil Park ),김기형 ( Ky Hyoung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을 토대로 대학 운동부 선수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 개발과 요인 구조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로부터 문항을 추출한 후 선수들과의 면담을 통해 24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척도로 265명의 선수에게 수집된 1차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이 실시되었다. 척도의 타당도 검증은 300명의 선수에게 수집된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3요인 11문항을 확증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동기유형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일원 다변량분석을 통해 고교 선수, 출전유형과 운동경력에 따른 기본 심리적 욕구의 집단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부 선수의 기본 욕구 측정도구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자기결정성이론에서 기본 욕구와 주요 변인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ventory for assessing collegiate athletes`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o test it`s structural validity. For this, a preliminary scales of 24 items was developed by first consisting the items as reviewing a series of major theories and related articles, and finally modifying them through interview with 30 athletes. Used this scale,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to 265 collegiate athletes, which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For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second data was collected from 300 athletes and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level, career, and institute was examined for testing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erspectives of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basic needs and significant variables within self-determination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