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MP test를 통한 음폐수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소화 특성 평가

        이수영ㆍ윤영삼ㆍ강준구ㆍ김기헌ㆍ신선경(Su young LeeㆍYoung Sam YoonㆍJun Gu KangㆍKi Heon KimㆍSun Kyoung Shin) 유기성자원학회 2016 유기물자원화 Vol.24 No.1

        혐기성 소화의 주요 조건 중 하나인 C/N비의 경우 하수슬러지는 5.40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음폐수(Food waste leachate)는 21.84로 높게 나타났다. C/N비가 낮을 경우 혐기성소화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음폐수의 높은 유기물 농도 및 C/N 비를 활용하여 메탄가스 발생량 증가시킬 수 있었다. Tchobanoglous이 제안한 이론적 메탄가스 발생량 예측수식을 적용하여 메탄 및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산정한 결과 하수슬러지 단일 혐기소화의 경우 305.6 mLㆍCH4/gㆍVS, 689.4 mLㆍCH4/gㆍVS의 메탄, 바이오가스가 발생하였고 음폐수 : 하수슬러지를 1:9로 혼합한 시료는 약 322 mLㆍCH4/gㆍVS, 3:7시료에서는 약 354 mLㆍCH4/gㆍVS, 5:5시료에서는 약 386 mLㆍCH4/gㆍVS의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MP 실험 결과 1:9, 3:7, 5:5 비율로 병합 처리한 경우 각각 약 233, 298, 344 mLㆍCH4/gㆍVS의 메탄가스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메탄가스 발생량은 증가하였고 하수슬러지와 음폐수의 혼합 비율에 따른 병합처리 시 하수슬러지 단독처리에 비해 다량의 메탄가스가 발생되었다. BMP 실험을 통해 생산된 메탄가스의 누적생산 곡선을 Modified Gompertz model과 first order kinetic model에 적용하여 추정한 결과, 메탄생성량은 Modified Gompertz model에서는 238.5, 302.3, 353.6 mL/gㆍVS 발생하였고 first order kinetic model에서는 242.8, 312.5, 365.5 mL/gㆍVS로 음폐수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메탄생성속도의 경우 3:7비율에서 48.2 mL/gVSㆍday로 최대 메탄생성 속도를 보였다. first order kinetic model의 1차 반응속도상수 k값은 1:9, 3:7, 5:5 비율에 따라 0.32, 0.22, 0.08day-1 나타났다. 1차 반응속도 상수의 경우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Modified Gompertz와 first order kinetic model 모두 실험결과를 잘 모사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모의결과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상관계수(R2)의 경우 0.92∼0.98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We mix food waste leachate and sewage sludge by the proportion of 1:9, 3:7 and 5:5. It turns out that they produced 233, 298 and 344 CH4ㆍmL/gㆍVS of methane gas. The result suggests that as the mixing rate of food waste leachate rises, the methane gas productions increases as well. And more methane gas is made when co-digesting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leachate based on the mixing ratio, rather than digesting only sewage sludge alone. Modified Gompertz and Exponential Model describe the BMP test results that show how methane gas are produced from organic waste. According to the test, higher the mixing rate of food waste leachate is, higher the methane gas productions is. The mixing ratio of food waste leachate that produces the largest volume of methane gas is 3:7. Modified Gompertz model and Exponential model describe the test results very well. The correlation values(R2) that show how the results of model prediction and experiment are close is 0.92 to 0.98.

      • CarSim 차량 모델과 조향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R-MDPS 알고리즘 개발

        김기헌(Kiheon Kim),김창준(Changjun Kim),김현수(Hyunsoo Kim),한창수(Changsoo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CarSim Vehicle model with 27 degree of freedom and MDPS System model using the Simulink Block were used to verify MDPS Control Algorithm. Vehicle behavior and efficiency of Vehicle movement were made an experiment using the MDPS control algorithm with Basic Assist Control, Returnability Control and Damping Control. This experimen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y of time and low costs. In days to come, the study using the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HILS) and real vehicle will be based on this study.

      • Steer-by-Wire 시스템을 위한 조향감 향상

        김창준(Changjun Kim),김현수(Hyunsoo Kim),김기헌(Kiheon Kim),한창수(Changso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is about steering system of Steer-by-Wire(SBW). As a SBW system is applied in order to improve steering feel and maneuverability, the controller should have two purposes. One is controlling steering wheel for the driver's steering feel and the other is controlling the front wheel system for vehicle st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steering wheel system. The column is reduced in the SBW steering wheel system. Therefore it need artificial steering feel. This is the study for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with steering angle, steering torque to quantify steering feel of SBW system. Based on this method, the affect two different torque map performance was simulated and compared each other.

      •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진동에 대한 고찰

        김기헌(Kim, Ki Hun),송명의(Song, Myung Eui),민준호(Min, Jun Ho)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Constant velocity joint(CVJ) creates the generated axial force (G.A.F) when the vehicle is driven. Because this phenomenon can give driver bad driving feeling, sensitive quality of vehicle is declined. Axial force at CVJ is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parts of CVJ. In this study, cause of G.A.F of tripod typed CVJ (plunging type) is found by mechanical and dynamic analysis. A numerical analysis of CVJ is conducted using the Multi-body dynamic simulation program DAFUL.

      • KCI등재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

        김기헌(Kim Kihun),방하남(Phang Hanam)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5

        본 논문은 유사한 교육제도와 교육 확대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교육 불평등의 경향을 교육정책과 계열화 구조에 주목하여 분석하고 있다. 두 국가의 고등교육은 상당한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정부정책의 흐름과 교육계열화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곧, 1980년을 전후로 한국은 고등교육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인 반면 일본은 사립대학의 설치 및 정원 확대를 인가하지 않는 조치를 취하는 등 고등교육을 억제하고자 했다. 교육계열화에 있어서 한국은 정규교육, 특별히 전문대의 확대를 통해 교육 수요를 수용해 온데 비해서 일본은 정규교육 밖의 전수학교라는 중등후교육기관의 확대를 통해 교육적 수요를 대체해 왔다. 동시에 일본은 성별로 분절된 고등교육 구조(대학은 남성, 단기대학은 여성)를 현재까지도 가지고 있으나 4년제 대학 진학에 있어 성별 격차가 급속히 감소한데 비해서 한국은 고등교육 전반에 있어 성별 격차 그 자체는 크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왔다. 한국노동패널자료(KLIPS)와 일본일반사회조사(JGSS)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의 추이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의 경우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서 가족배경 요인들의 영향은 지난 시기 동안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 반면 일본은 아버지의 교육에 한해서 최근 들어 그 영향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교육계열화와 관련하여 두 국가는 일관되게 가족배경 요인들이 하위계열(전문대)보다는 상위계열(일반대) 진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격차와 관련 일본은 양적 차별화(대학 진학/미진학)에 있어서 남녀간의 격차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서 한국은 질적 차별화(일반대 진학/전문대 진학)에 있어서 남녀간의 격차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두 국가 모두 성별 격차에 있어서 남녀간 경쟁은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 진학 여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계열(일반대/전문대)로 진입하는가를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educational policies and tracking system as it analyzes the effects that social class and gender differentials have on the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over time in Korea and Japan. Although both countries show similarities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Korea and Japan differ from each another in the following important ways. First, Japanese government policies constrained the continue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through control policies, wherea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ttempting to accelerate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1980. The demand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ve been solved by the rapid expansion of junior colleges, while the diverse needs of specialized technical education in Japan have been met through specialized training colleges, which play a unique role in Japanese post-secondary education. Although they are not considered a formal rung on the ladder system of the Japanese school system, these colleges have developed steadily as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from 1975. Yet 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reflected in the different proportions of female students enrolled at higher levels of education. Although Korea and Japan show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during the post-war period, the number of women in junior colleges differed markedly. Male students constitute almost 60 percent of the student body in Korean junior colleges, whereas Japanese junior colleges are highly gender-segregated. During the post-war period, over 80 percent of Japanese junior college students were female. By comparing the 2002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the 2002 Japanese General Social Survey(JGS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declined across age cohorts in Korea and Japan, with one result showing that social origins differentials have not changed over time with the exception of the father's education in Japan. This study observes that different educational pathways in the school system lead to different conditional probabilities for entering higher education in both Korea and Japan.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how educational continuation across age cohorts varies by gender in between the two countries. Japan shows a decreasing pattern in quantitative differentiation, while Korea displays the same pattern in qualitative differentiation. Finally, the gender differential in the two countries reveals something about the quality of placement in selective educational tracks in levels of hig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