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카막 장치에서 자석 구조물의 조립에 관한 검토 KSTAR TF

        김경민(K.M.Kim),최창호(C.H.Choi),홍권희(K.H.Hong),양형렬(H.L.Yang),유인근(I.K.Yu),허남일(N.I.Her),사정우(G.H.Kim),김학근(S.T.Kim),김근홍(H.T.Kim),김상태(J.S.Yang),김홍택(J.S.Bak),양진석(C.H.Kim),박주식(P.Z.Shick),김재호(J. Z. Kim)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TF magnet structures are the main structural components in the KSTAR magnet systems to protect<br/> the superconducting coils from mechanical, electrical, and thermal loads. TF coil structure supports CS<br/> and PF coil system. The inter-coil structure contains adjustable shear keys and conical bolts to provide<br/> pre-loading in toroidal direction and to resist against in-plane and out-of-plane forces that are the most<br/> critical loads on the TF magnet system. The conical bolts and shear keys are specially designed to<br/> assemble easily and to provide a convenient accommodation for a good alignment. The connection plate<br/> that is one of the prototype fabrications had been manufactured to study adjustability of conical bolts<br/> and shear keys for assembly of TF coil structure. We could measure the misalignments at the keyways<br/> and conical holes with the misalignment measuring instrument.

      •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비균일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지지 위치 최적화 연구

        김근홍(G.H. Kim),이영신(Y.S. Lee),김학근(H.K. Kim),허남일(N.I. Her),사정우(J.W. Sa),양형렬(H.L. Yang),김병철(B.C. Kim),박주식(J.S. Bak)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supporting locations for structural stability of a structure under non-uniform<br/> load in space interfered by other parts. In this case, There are many local optima with discontinuous design<br/> space. Therefore, The traditional optimization methods based on derivative are not suitable. Whereas, Genetic<br/> algorithm(GA) based on stochastic search technique is a very robust and general method. This paper has been<br/> presented to determine supporting locations of the vertical supports for reducing stress of the KSTAR(Korea<br/> super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IVCC(In-vessel control coil) under non-uniform<br/> electromagnetic load and space interfered by other parts using genetic algorithm. For this study, we develop a<br/> program combining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a genetic algorithm to perform structural analysis of IVCC. In<br/>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to perform optimization with FEM when design variables are trapped<br/> in an incongruent design space.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권옹호행동,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김근홍(Kim, Keunhong),송지원(Song, Jiwo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본 연구는 서비스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치매관련(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인권옹호행동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1). 이를 위해 경기도 내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방문요양센터 등에 근무하는 치매관련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후 210부를 회수하였고 부실응답 설문지 13개를 제외한 후 197명의 응답자료를 AMOS와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276)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도 역시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315)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옹호에서도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175)을 미치고 간접적인 영향(.102)을 미치므로 .277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적 지지가 인권옹호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 만족에 -.217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095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122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볼 때 치매관련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인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인권옹호행동을 증대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using nursing homes increases, the interest about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is increasing.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is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In addition, as perception of human rights is heightened, human rights behavior in nursing homes is also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uman rights behavio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dementia workers wh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care service. For this purpose, 21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0 dementia workers working in the elderly nursing home, day·night care center, and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 in Gyeonggi province. After excluding 13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AMOS and SPSS 2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ing.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significantly affects the social support directly (-.276). Also,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315). On the other hand, human rights advocacy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175) and an indirect effect(.102), showed a total effect of (.277). This shows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s human rights and job satisfaction.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217) and an indirect effect(-.095), indicating a total effect of (-.312), a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uld k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mentia work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r and reduce the job stress in an environment that recognizes the social support.

      • KCI등재

        노인의 가족건강성과 치매태도와의 관계 연구

        김근홍(Keunnhong Kim),손덕순(Deoksoon Son),김효정(Hyojung Kim),송지원(Jiwon So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건강성이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550명이었으며 설문지를 활용하여 대면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족건강성은 가족유대감, 가족 간 의사소통, 건강가치 공유, 가족문제 해결 능력 등 4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치매에 대한 태도는 정서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로 분류되었다. 둘째, 치매에 대한 행동적 태도에는 가족유대감(β = .250)과 학력(β = -.120)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매에 대한 정서적 태도에는 가족건강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고 학력(β = .164), 연령대(β = -.116), 치매 관심정도(β = .105), 삶의 만족도(β = .099)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치매환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치매태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지체계인 가족의 건강성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 factors of family strengths of the elderly on attitude toward dementia. For this study it is surveyed 550 elderly people aged over 60 years who visited Senior Community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ngths of the elderly consists of four factors; family ties,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health worth shar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 to dementia was classified as emotional attitudes and behavioral attitudes. Second, family ties(β = .250) and education(β = -.120) showed significant impacts to behavioral attitudes to dementia. Third, family strengths had not significant impact to the emotional attitudes to dementia. But education level(β = .164), age(β = -.116), interest about dementia(β = .105), life satisfaction (β = .099)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emotional attitudes to dementia.

      • KCI등재

        차량 헤드라이트 불량검사 방법

        김근홍(Kim Kun Hong),문창배(Moon Chang Bae),김병만(Kim Byeong Man),오득환(Oh Duk Hwa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1

        본 논문에서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생산된 헤드라이트 이미지를 위치 및 회전 보정 후 검사이미지의 ROI(Region of Interest)와 표준 이미지의 ROI와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사도 판별은 OpenCV에서 제공하는 템플릿매칭 유사도 판별방법을 응용하여 히스토그램 기반에서 유사도를 판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성능 분석을 목적으로 기존 OpenCV의 기본 방법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OpenCV의 기본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제안 방법의 경우 불량 판별율 100%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fect by using the similarity between ROIs (Region of Interest) of the standard image and ROIs of the image which is corrected in position and rotation after capturing the vehicle headlight. The degree of similarity is determined by the template matching based on the histogram of image, which is a some modification of the method provided by OpenCV where template matching is performed on the raw image not the histogram.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basic method of OpenCV for 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penCV method, showing the accuracy close to 100%.

      • KCI등재후보

        독일 노인수발사 제도의 한국적 시사

        김근홍(Keun Hong Kim)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2

        본 연구는 노인문제 해결을 위해 다른 나라보다 앞서가고 있는 독일의 노인수발 인력에 관한 제도적 노력들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애초 수발과 같은 말로 쓰이던 간호 분야가 사회적 인정을 받는 전문직으로 성장하게 된 것은, 급증하는 일반 의료서비스 수요에 필요한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국가 차원외 제도화가 제때 이루어진 까닭이다. 이는 직업관련 제도화가 해당 직업의 사회적 위상과 연결되어 적절한 인력충원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걸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물론 독일도 노인수발 인력의 수요에 대한 제도적 대비는 다른 노인문제에 비해 미흡한 점이 있다. 연방차원의 해결시도에 앞서 각 주정부 차원에서 수발인력 충원을 위한 법계화가 굳어졌고, 그 결과 연방 차원의 효율적인 노인 수발인력 충원에 걸림돌이 되고 만 것이다. 현재 시행은 되고 있지 않지만 2001년 입법 완료된 연방차원의 제도화 요지는 수발사의 위상을 간호사와 비교할 수 있는 국가 공인의 전문직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는 독일의 사례에서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간호사에 비견되는 수발사 직업의 제도화를 통한 수발인력 문제해결 시도의 현실적 타당성이다. 간호사나 그밖에 전문 직업군의 제도화가 이루어져 온 그간의 경험에 미루어 결코 무리는 아니다. 또 현재 민간 차원이지만 이미 그와 관련한 개별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볼 때 더욱 그렇다. 바로 이 같은 현실이 독일이 겪은 시행착오였다는 사실이 두 번째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연방 차원의 통일된 제도화가 늦어짐으로써 각 주별로 갈라져 발달된 수발사 교육제도가 독일 전체 수발사 육성에 장애가 된 것이다. 우리도 현재처럼 각 대학이나 협회차원에 그대로 맡겨둘 경우 머지 않아 그 다양성이 오히려 걸림돌이 될 공산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노인문제와 관련된 우리 나라의 사정은 독일에 비해 전반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그러나 한꺼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렇지만 용어와 개념문제로부터 시작하여 제도적 밀바탕을 마련하는 일은 가능한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aged has speedily been recognized as much as the rapid speed of industrializion in Korea. The hug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s a particular situation to be needed care service from other persons. However, it is realities that the definition on care work has been mostly applied to western ones. It means that the definition of care work has not been agreed in academic society in Korea. Also, It is assume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have not taking into account for care work issues as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The study aims to learn some lessions and suggest frameworks for approaching in relation to care work issues from German experience, especially introduction of Care Work Act and care worker system. It was 1950s that German government and the academic society had started to take a concern of care work issues. However, It has been trend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has not attempted to exercise a high degree of control over the implemation of care work system. Namely, local government has operated their own service and delivery system of care work at local level. However, after Care Work Act had been passed by both the House of Lords and the House of Commons in 2001, it has been expected to launch an effective system of care work at national level.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근홍(Kim, Keun-Hong),강순화(Kang, Soon-Wha)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가 지역사회 장기요양대상자에게 광범위하고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인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감성지능의 조절(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감성지능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나 조절(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아탄력성의 경우에도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함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이직의도와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의 차이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이직의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감성지능의 경우 업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자아탄력성은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높이는 요인인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 감성지능을 향상할 수 있는 지역사회에 맞는 사후관리프로그램 등의 도입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대인서비스 전문인력으로서 긍정적으로 업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 교육단계에서부터 대인관계 훈련은 물론 자아탄력성이나 감성지능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long-term care workers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of them and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ir relation.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b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stress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ego-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Also results to examine of job stress factors and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fact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ego-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 was founded that the effect of all on job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stress of work and str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ego-resilience of str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Post-management program should need emotional intelligence to improve emotion of long-term care workers to reduce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I need to cope with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approach as long-term care workers education.

      • KCI등재

        고령화 사회의 체계적 노인수발 방안

        김근홍(Kim, Keun-Hong) 한국노년학회 2000 한국노년학 Vol.20 No.3

        본 논문은 현재 논의의 초보적 단계에서 몇몇 학자들에 의해 소개된 독일 수발보험(Pflegeversicherung)의 정책적 실제 경험과 학문적 모델들의 기본적인 줄거리를 점검함으로써 독일의 이러한 경험을 아직 틀의 윤곽조차 보이지 않는 우리 나라 노인수발의 정책 혹은 학문적 체계수립에 하나의 기폭제로 삼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물론 독일의 수발보험이 지상 최대의 노인수발 문제 해결책이 아닐 수 있으며 문화적ㆍ사회적 기반이 다른 우리나라에게는 더욱 더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최소한 참고와 자극은 될 수 있을 것이다. 수발보험이 제대로 연구되고 제도화되기 위해서는 관심 있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인접 학문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학문적ㆍ이론적 틀이 마련되고 다시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정책적 실천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노인 수발의 경우 일반 사고로 인한 장애인의 수발과는 기본적으로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노인수발 특유의 의학적ㆍ이론적ㆍ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우리 나라의 실정에서 시급하게 요구되는 수발문제와 관련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실제로 국가 차원에서 사회보험으로서의 수발보험으로 실천되고 있는 독일의 노인수발 예를 점검하여 보다 구체적인 토론의 빌미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rman experience of long-term care from which we can learn some lessons to develop care insurance for the Korean elderly. In Germany the basic framework of social policy for elderly has emphasized the personal care to maintain autonomous life in an old age. Like other western countries, German elders prefer to stay in their own homes and, if necessary want to be cared by thei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instead of moving into the institutions. Thus the aging policy is to keep the elderly persons at home providing various community support and home care services to prevent them from institutionalization. Care insurance of Germany is inclusive to serve both the elderly and the non-aged as well, though the majority of customers are the elderly people, the older members of care insurance receive regularly either the money or a service based on their assessed needs measured by a term of professional experts in gerontology. Healthy elders are also covered by the care insurance to make use of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and keep an active and satisfying life in later years. Some of the additional benefits are the subsidy for rebuilding or redecorating house and a help-line service for the elderly. It has been six years since the inception of care insurance in Germany. However, some issues regarding care insurance are still remain to be resolved to assur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 family or relative care givers and share the financial burden by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number and care needs of elderly population in Korea are increasing rapidly, for which we need to develop long-term care policy and programs. German experience of care insurance can give us some ideas, methods and guidance in forming proper care system for the elderly in Korea.

      • KCI등재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지역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근홍(Kim, Keun-Hong),양재석(Yang, Jae-seok),이경진(Lee, Gyeong-jin),김정연(Kim, Jeong-yeo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돌봄 서비스를 수행하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는 사회안전망 서비스 구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이 독거노인들을 관리하면서 나타나는 역할갈등이나 그들의 욕구와 불만 들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해결하는 상황에서 받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나 압박감이 높다는 실천 현장의 목소리가 많다. 따라서 독거노인 돌봄 서비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라도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개입 필요성 연구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외상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장애현황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 지역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외상경험 여부, 외상경험 유형, 외상후 스트레스 진단, 외상경험에 대한 대처 실태 등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 중 186명 (37.57%)이 부분 혹은 완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대처 실태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의미 있는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갖고 있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발견하고 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외상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외상 경험을 하였거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군으로 진단을 받은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넷째,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 양성 및 배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의료기관과의 네트 워크를 구축하여 신속한 진단과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Life Manager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LMEPLAs) in Seoul regard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 and the status of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so how they are coping with it in order to find out ways to improve it. As a study method, we investigated LMEPLAs in Seoul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regarding whether they had faced any traumatic experience, type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 diagnosi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status of their coping with trauma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186 respondents (37.57%) have been found to indicate either partial or comple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but the status of their coping with it is very po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our discussion. First, it is needed to find out life managers suffering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uild up a system to manage them consistently. Secon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education about traumatic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management. Third, it is urgently needed to build up a system to support life managers who have faced any traumatic experience or been diagnosed to hav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urth, it is demanded to cultivate and arrange experts equipped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technique. Fifth, it is needed for them to build a network with medical institutes to receive a prompt diagnosis and specialize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