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이로센서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Aruco 마커기반 AR 안전 교육 시스템

        김규호(Gyuho Kim),김준기(Jungi Kim),김채원(Chaewon Kim),정혜선(Hyesun Jung),최태운(Taewoon Choi),유철중(Cheoljung Yoo),김순태(Suntae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4 No.5

        연구실에서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 교육이 시행된다. 하지만 현행 안전 교육은 이론 수준의 강의나 일률적인 매뉴얼 숙지에 의존한다. 이러한 점은 연구실 별로 특수화된 안전 교육을 불가하게 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LSA 시스템을 제안한다. LSA는 사용자가 직접 매뉴얼을 작성할 수 있는 AR기반의 안전 교육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실제 연구실 환경에서 사용자 맞춤형 교육을 수행할 수 있어 교육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Safety training is practiced in labs to prevent safety incidents. However, current safety training relies on theoretical lectures and one-size-fits-all manuals. This makes it impossible to provide specialized safety training for each lab. To improve this, we propose the LSA system. LSA is an AR-based safety training system that allows users to create their own manuals. This enables customized training in the actual laboratory environment,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training effectivenes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ATM망에서 VP관리를 통한 관리모델 설계

        김태형(Kim Taehyung),이병기(Lee Byungki),안병호(Ahn Byungho),김규호(Kim Gyuho),조국현(Cho Kukhyun)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이 논문에서, 우리는 가상 경로 기반의 ATM망을 위한 신속한 복구 메커니즘을 갖는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시스템 운영중에 물리적 노드/링크에 장애가 발생하면, 제안된 메커니즘은 단지 장애된 VP상의 셀들을 각각의 백업 VP로 재방향시켜 줌으로서 장애된 노드/링크를 순회하는 VP를 복구한다. 또한, 제안된 메커니즘은 분산된 기법으로 장애 노드/링크를 순회하는 장애된 백업 VP위하여 새로운 VP를 찾아 내고, 장애된 주 VP를 대치함으로써 새롭게 활성화된 백업 VP를 위한 또 다른 백업 VP를 생성한다. 우리는 제안된 메커니즘을 위해서 개발된 알고리즘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기능들을 각 망 노드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김은아 ( Kim Euna ),김규호 ( Kim Gyuho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1 백제문화 Vol.- No.65

        백제 중앙지역의 고대유리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중에 하나인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리제품은 완형 구슬 35점, 형태를 알 수 없는 반제품 44점 그리고 판상형 17점이다. 이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완형 유리구슬 35점에 대하여 비파괴분석법을 활용하여 외형적 특성과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색상은 일부 감청색과 함께 벽색과 녹색이 주류이다. 형태는 둥근형 2점, 코일형 1점, 도넛형 32점으로 외경과 직경 비율이 같은 둥근형은 금박구슬인 중층구슬이고 외경보다 직경이 긴 코일형은 1점으로 지표에서 수습된 벽색 구슬이다. 이에 비하여 주류인 도넛형은 대부분 외경이 5㎜ 미만의 소형으로 늘린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구슬 단면의 열처리는 색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는데, 감청색과 적갈색은 열처리 Ⅰ형이고 벽색, 녹청색, 녹색, 금박구슬 등 대부분은 Ⅲ형으로 나타난다. 화학 조성은 융제 구분에서 납유리군 1점, 포타쉬유리군 3점, 소다유리군 28점 그리고 미분류 3점으로 소다유리군이 우세한 편이다. 안정제 구분에서 납유리군으로 확인된 벽색 코일유리 1점은 고알루미나계, 포타쉬유리군으로 확인되는 감청색 도넛형 구슬 3점은 산화칼슘(CaO)과 산화알루미나(Al<sub>2</sub>O<sub>3</sub>)이 모두 5% 미만이다. 금박구슬 1점(sc-003)과 적갈색 1점(sc-009)을 제외한 소다유리군은 26점은 모두 고알루미나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다양한 색상의 유리구슬이 출토되는 백제에서 주로 확인되는 조성으로 청색계가 많이 확인되는 신라·가야와 화학 조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Glass artifact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Tomb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lics of Baekje's central area, are consisted in 35 complete glass beads, 44 semi-finished glass products, and 17 glass sheet pieces. Among them, This study have been analyzed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35 complete glass beads using non-destructive analysis. As the results, the colors are mostly cu-blue and green with some co-blue. The shape is round type 2 pieces, coil type 1 piece, and dount type 32 pieces. The round type with the same ratios of outer and length is a middle layer glass bead(gold foil glass bead) and the coil type with a longer length than the outer is a cu-blue colored excavated at surface layer. On the other hand, dount type is made the small size of less than 5 mm with drawing technique. The heat treatment of the bead cross-se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lor. Co-blue and red brown glass beads are Ⅰ type of the heat treatment and almost colored glass beads of cu-blue, green, and gold beads are Ⅲ type. The chemical composition is one piece of lead glass group, three pieces of potash glass group 28 pieces of soda glass group and three pieces of non-classification and so is dominated by the soda glass group. In the stabilizer classification, one cu-blue coil type identified as a lead glass group is high alumina and three co-blue donut type identified as a potash glass group are below 5% both lime(CaO) and alumina(Al<sub>2</sub>O<sub>3</sub>). Except for one of middle layer glass bead(sc-003) and one of red brown(sc-009), 26 piece of soda glass gorup are all high alumina in the stabilizer. Thes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s is identified mainly in Baekje but is differed in Silla and Gaya where the blue glass beads are excavated.

      • KCI등재

        18~19세기 대형 불화에 사용된 회청(Smalt) 안료에 관한 연구

        윤지현,김소진,김규호,YUN, Jihyeon,KIM, Sojin,KIM, Gyuho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malt pigments used in 10 large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to clarify the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by observ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y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rough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the smalt of all 10 large Buddhist paintings is judged to be potash glass using SiO<sub>2</sub> as a former and K<sub>2</sub>O as a flux.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related to cobalt ore used as a colorant, the paintings were found to contain high levels of As<sub>2</sub>O<sub>3</sub>, BaO, and PbO. The smalt particles did not have specific forms, and were blue in color, with various chromaticity. In some particles, conchoidal fracture, spherical bubbles, and impurities were observed. Through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it was found that the smalt from paintings produc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D had a high level of As, but the smalt from paintings produced from the mid-18th century AD onwards exhibited various contrast differences from particle to particle, and there was smalt with high levels of As, Ba, and Pb.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large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are divided into three smalt types. Type A is a type with high As<sub>2</sub>O<sub>3</sub>, type B is a type with high BaO, and type C is a type with high PbO. Looking at the three types of smalt pigments by the period of production, although some in-between periods were not detected, type A was confirmed to have been used from 1705 to 1808, while type B and type C were shown to have appeared in 1750 and used until 1808. This reveals that only one type of smalt was us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AD, and from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D, several types of smalt were mixed and used in one large Buddhist painting. Studies such as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t pigments used to produce large Buddhist paintings at the time.

      • KCI등재

        고고화학적 분석을 통한 공산성 출토 도가니의 특성 평가

        이수진 ( Sujin Lee ),이현숙 ( Hyensook Lee ),김규호 ( Gyuho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1 백제문화 Vol.- No.65

        도가니는 금속, 유리 등 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원료를 용융하는 용기이다. 금속과 유리 도가니는 두께, 주구와 뚜껑의 유무, 저부의 모양 등 형태적 차이가 확인된다. 도가니의 정확한 용도 확인을 위하여 형태뿐만 아니라 고고화학적 분석법을 활용한 도가니 내부의 용융물질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백제 웅진기 왕성인 공주 공산성에서 출토된 2점의 도가니의 용도를 고고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도가니(GS-01)는 비교적 소형으로 내부에서 용융물질로 추정되는 흑, 백색의 물질들과 적색의 띠가 관찰되고 이는 X-선투과촬영에서 용융물질로 확인된다. X-선형광분석과 주사전자현미분석을 통하여 내부 용융물질은 은(Ag)으로 추정되는 점으로 보아 도가니(GS-01)는 은을 용융한 도가니로 판단된다. 다른 도가니(GS-02)는 용융물질로 추정할 수 있는 성분은 확인되지 않으나 내부 흑색 물질과 백색층을 통하여 사용한 흔적이 나타난다. 공산성 출토 은 도가니의 존재와 더불어 추정 공방지에서 출토된 청동젓가락에 사용된 은제 사슬의 존재를 주목하면 공산성 왕궁관련유적 내 추정 공방지에서는 철제품과 더불어 은제품도 제작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A crucible is a vessel in which raw materials can be melted to make metal or glass or etc. The metal and glass crucibles have morphological differences such as thickness, the presence of the spout and lid and the shape of the bottom.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the us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melt inside the crucible using archaeological chemistry analysi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use of the crucible through the archaeological chemistry analysis of two crucibles from the Baekje period excavated from the ruins of Seongan Village, Gongsanseong. The crucible(GS-01) is relatively small. The black, white substances and the red layer that appear to be molten material are observed. X-ray imaging confirms these are molten materials. The internal melt is identified as silver(Ag) through X-ray Fluoresence Spectrometer(XRF)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tached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SEM-EDS). Therefore, this crucible is the silver crucible. The other crucible(GS-02) contains a very small amount of black substance inside the crucible and has a white layer, so it is judged to be a crucible that has been used more than once. Considering the silver chains used for the bronze chopsticks excavated together with the silver crucible in Gongsanseong, it can be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silver products have been manufactured with iron products in the presumed workshop ruins related to the royal palace in Gongsanseong.

      • 채색안료 분석에서 ED-XRF(ELIO)의 적용 연구

        장준영 ( Junyoung Jang ),허나연 ( Nayeon Heo ),김규호 ( Gyuho Kim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3 문화재과학기술 Vol.18 No.1

        본 연구는 채색문화유산을 대상으로 MA-XRF (Macro-XRF)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MA-XRF는 분석 면적을 μm 간격의 연속된 포인트로 스캔하여 성분 원소의 정성·정량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를 매핑 기능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활용 장비는 Portable MA-XRF인 ELIO (Bruker Nano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전압 40 kV, 전류 20 μA, 면적 50 mm × 45 mm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예비 분석은 파피루스 달력을 대상으로 ELIO 분석 및 매핑 결과, 포인트 간 거리 1000 μm, 포인트당 측정 시간 1초가 해상도와 측정 시간이 효율적이라 판단하였다. 이 조건으로 직접 제작한 단청 일부(50 mm × 45 mm)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단청 채색층의 매핑 결과, 두 가지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원소 매핑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분되고 원소의 검출 강도를 비교하여 동일 색상 내에서 채색층의 두께가 다름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서 ELIO MA-XRF는 농도 조절, 채색 기법과 보존처리 흔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채색층의 균질도, 혼합안료의 특성 그리고 덧칠과 수정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MA-XRF (Macro-XRF) targeting colored cultural heritage. MA-XRF can visually show it by utilizing the mapping function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f component elements obtained by scanning the analysis area at consecutive points at μm intervals. It was measured at the conditions with voltage of 40 kV, current 20 μA, and area of 50 mm × 45 mm using ELIO (Bruker Nano GmbH, Germany), a portable MA-XRF. In a preliminary survey, the analysis and mapping results of the papyrus calendar with ELIO get the efficient rssults of the resolution and measurement time the condition that the distance between points is 1000 μm and the measurement time per point is one second. And These conditions is evaluated by measuring a part of the produced Dancheong (50 mm × 45 mm). As a result of the mapping of the Dancheong color layer, when two pigments are mixed and used, it is visually classified through elemental mapping, and the thickness of the color layer is different within the same color by comparing the detection intensity of the elements. From these analysis results, information on concentration control, painting techniques, and preservation treatment traces can be obtained, and the homogeneity of the color lay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 pigment, and the overpainting and traces of modification can be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