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o - occurrence matrix 기반 비데오 영상 검색
김규헌(Kyuheon Kim),정세윤(Se-Yoon Jung),전병태(Byeong Tae Chun),이재연(Jaeyeon Lee),배영래(Younglae Ba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Multimedia data is now one of the widely used information in all the fields as the fast developments of computer techniques have been made. Traditional database systems based on textual information have limitations when applied to multimedia information. This is because simple textual descriptions are ambiguous and inadequate for searching multimedia information for multimedia databases and digital libraries. Thus, especially for image data,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multimedia information types, there have been recently considerable interests i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s, which can retrieve and browse image data on the basis of pictorial queri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method for describing texture information in image data.
DOM update를 이용한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장면 구성 정보 변경 방안
김규헌(Kim Kyuheon),박정욱(Park JungWook),김병철(Kim Byungchul)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3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8 No.1
Richmedia Service means that interactive media service can provide view with various multimedia elements(such as Video, Audio, Text) at same time. Various Multimedia elements can be serviced by Scene Description technology standards like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and LASeR(L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By providing Scene Component information, richmedia service is available to various multimedia services. so users is available to personalized services fitting temporal and spatial options. In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the scene is changed by user or service, mobile deletes the scen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makes new scen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this is a very inefficient way. In this paper, Propoesed that by using DOM(Document Object Model) method, to pass only the dynamic configuration part, changes scene method.
MPEG-4 LASeR PMSI를 활용한 Secondary Device 기반 파노라믹 영상 슬라이드 쇼 재생 기술
박용철,김규헌,Park, Yongchul,Kim, Kyuhe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7 No.6
최근 N 스크린 (n-screen) 과 secondary device이란 말이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린다. 또한 주위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기를 통해 앞에서 말한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도 있다.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술이면서 서비스 이름인 N 스크린이란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개의 기기에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즐길 수 있는 기술 또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secondary device란 주된 콘텐츠를 보여주는 main device와 연동하여 주된 콘텐츠에 관련된 추가 콘텐츠를 보여주는 보조 기기가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기술 및 서비스가 각 이동통신사 등에서 몇 년 전부터 거론되어 오고 있으며 현재 대중화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재조명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 서비스는 단순히 사용자가 정식 구매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신의 기기가 아닌 이동통신사의 미디어 서버에 올려놓고 필요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접근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장면의 동적인 업데이트를 위해 다양한 명령을 포함한 장면 서술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국제 표준 규격인 MPEG-4 LASeR (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PMSI (Presentation and Modific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좀 더 효과적이고 다양하게 N 스크린 혹은 secondary device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Recently, N-screen service and secondary device have gotten an attention from public. Also, we can experience N-screen service through various digital devices. N-screen means multimedia technology which can seamlessly consume multimedia content. Secondary device means auxiliary multimedia device which can consume content related to main content through adjunct connection to main device. Not only be electronic manufactures interested in N-screen technology and services but also digital devices applied for N-screen have been released. But it has limitation that user can only consume content to be purchased from content company server not device of user.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 that composes effective and various N-screen multimedia service through MPEG-4 LASeR (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PMSI (Presentation and Modific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as international standard technology which can provide scene description including many instruction for dynamic update of scene.
Mobile MMT with CMAF 기반 콘텐츠 삽입 기술 방안
김두환(Kim, Doohwan),박성환(Park, Seonghwan),김규헌(Kim, kyuhe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9 No.6
최근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에 있어 복잡성 및 대기시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통 미디어 포맷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통신망을 활용한 고품질 AV(Audio-Video) 콘텐츠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내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 전송 표준은 방송망과 통신망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규격을 제정하였다. 하이브리드 서비스는 통신망을 활용함에 따라, 방송망 관련 부가 데이터 및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상파 UHD 전송 표준인 MMT(MPEG Media Transport)와 모바일 망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Mobile MMT 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활용한 콘텐츠 삽입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이종망 환경에서 콘텐츠 삽입 기술 시스템 모델 및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제안한 시스템 모델 기반의 검증플랫폼을 통해 제안 기술의 타당성을 확인한다.
밀도 적응적 왜곡 결정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품질 평가 방안
김준식(Junsik Kim),이민석(Minseok Lee),김규헌(Kyuheon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6
2 차원 영상의 품질 평가는 RGB 혹은 YUV 등의 색상 값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포인트 클라우드와 같은 3 차원 영상의 경우 색상 값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에 대한 왜곡이 존재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위치 정보 품질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점과 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오차, 점이 이루는 면과 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오차, 점의 밀도에 대한 오차 등을 기반으로 왜곡을 계산하여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정보 품질을 평가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점의 밀도에 대한 오차를 기반으로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정보 품질을 평가하는 기술은 밀도의 오차를 Mean Square Error(MSE)를 통해 계산한다. 이때 포인트 클라우드는 데이터의 특성 혹은 부분 구역에 따라 점의 밀도가 다르므로, MSE 를 통해 계산되는 밀도 오차의 편차는 밀도의 절대값에 의존적으로 결정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저밀도와 고밀도에서 발생한 점 손실은 서로 다른 민감도로 평가된다. 특히, 저밀도와 고밀도 영역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경우, 고밀도 영역에서 발생하는 왜곡에 편향된 결과를 도출하는 기존 밀도 품질 평가 기술의 수치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밀도의 절대적 수치에 비의존적으로 밀도 왜곡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밀도 적응적인 품질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밀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적응적 왜곡 결정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품질 평가 방안을 제시한다.
다양한 단말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적응적 장면 기술 방법 연구
김병철(Byungchul Kim),김규헌(Kyuheon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현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사용자 환경에서 벗어나 오디오, 비디오뿐만 아닌 이미지, 그래픽, 텍스트 및 미디어 관련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과거 TV와 컴퓨터 등 한정된 기기에서만 제공되었지만, 최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등 미디어 기기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다양한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술에서는 동일한 콘텐츠를 각각의 단말의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였다. 그러나 IPTV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고, 유선과 무선 간에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받는 환경에서 단말마다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 시나리오의 복잡도를 높이고, 다양한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통합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단말기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인 적응적 장면 기술을 제시하고, 그 효율성에 관하여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