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 : 프로농구구단의 웹사이트 이용동기와 웹사이트이미지, 팀동일시, 팀감정 및 관람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경춘 ( Kyung Chun Kim ),김용만 ( Yong Man Kim ),허진 ( Jin Hur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농구구단의 웹사이트 이용동기와 웹사이트이미지, 팀동일시, 팀감정 및 관람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프로농구구단에게 웹사이트 운영에 있어 웹사이트 이용자의 행동분석, 웹사이트의 활용방안 및 마케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대상은 서울 삼성썬더스, 원주 동부프로미, 전주 KCC이지스 그리고 창원 LG세이커스 프로농구구단의 홈 관중 중 구단 웹사이트의 이용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이상의 관중 400명이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추출하였고,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였다. 총 400부를 표집한 후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12부를 제외한 388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사이트 이용동기는 웹사이트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사이트이미지는 팀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사이트이미지는 팀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동일시는 팀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동일시는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팀감정은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웹사이트 이용동기는 관람의도에 중요한 수단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이미지, 팀동일시 및 팀감정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려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otives of web-usage, website image, team identification, team emotion, and viewing intention for a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website. This study set up 400 spectators above senior high school age who have team web-usage experience among the home spectators for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as its subjects. As for samples, this study used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let them draw up a survey questionnaire using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collecting a total of 400 copies, this study used 388 copies as final effective samples except for 12 copies judged to be inappropriate. A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verified each hypotheses after identifying goodness of fit for a hypothesized model using SPSSWIN Ver. 15.0 and AMOS 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b-usage motives was found to partially have an effect on website image. Second, website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website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eam emotion. Fourth, team identific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a team emotion. Fifth, team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viewing intention. Team emotion was found to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viewing intention.

      •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경춘(Kim Kyung-Chun),김형균(Kim Hyung-Gyu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의 긍정적 정서와 자기효능감을 높여 행복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S시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210부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163부에서 초등학생 72명, 중학생 9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지능은 학습몰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정서지능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신의 학습몰입 상태 또한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지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 역할이 중요하겠으며, 이를 위해 청소년들에게 적절한 환경조성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immersion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adolescents achieve happy learning by increasing their positive emotions and self-efficacy. For this study,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youth living in the S City area, and 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the collected 163 departments. The collected data was used by the IBM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o conduct t validation, one-part spectrometr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curs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commit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adolescents is, the higher their learning immersion state is. Second,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commitment of adolescents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perceived by adolescents on learning immer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he significance test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self-efficacy i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ndescriming. In order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o develop, roles at home and at school will be important, and for this purpos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adolescents will need to be created.

      • KCI등재후보

        남성 수염스타일과 인상형성의 관계 분석

        김경춘 ( Kyung-chun Kim ),양은진 ( Eun-jin Yang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남성 수염스타일과 인상형성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남성 수염의 대표적 형태를 구분하고 수염을 대표하는 유명인물을 선정하여 수염스타일전과 후를 사진 자극물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염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수염은 수염 털의 분포, 길이, 방향, 형태, 숱(부피가), 질감 등의 요소에 분류되며, 크게 콧수염, 턱수염, 혼합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콧수염은 코밑수염, 팔자수염, 갈맥 수염의 형태로 구분되며, 턱수염은 중앙수염, 기본 수염, 친커튼수염으로 구분되었다. 혼합형 수염은 힙스터수염, 구티수염, 레닌수염으로 구분되며 수염형태의 대표적 유명인물의 수염스타일 전, 후의 인상형성은 변화가 있었다. 셋째는 수염스타일은 인상형성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수염스타일은 인상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염스타일과 인상형성의 관계를 밝힌 학문적 자료로 의미가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실무적인 자료로 활용 가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상형성에 효과적인 다양한 수염스타일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beard shape and impression. In other words, the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ern beard culture of men's beard, which is historical of the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who dominated the era of modern bear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tribution, length, direction, shape, thickness, texture, etc. of beard were found in facial shapes such as square face, egg-shaped face, round face, and beard characteristics and impressions according to the inverted triangle. The shape of the beard shows the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mustache, beard, and mixed beard according to their styl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ard shape and style is recognized based on the shape of the impression using academic consideration, and today it has the value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ard shape and style according to freedom and personality. It is hop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eard shape and impres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tilization industry through the impression relationship of customers based on beard type in the barber shop field.

      • KCI등재

        스포츠용품 브랜드개성이 브랜드만족, 브랜드동일시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만 ( Yong Man Kim ),김경춘 ( Kyung Chun Kim ),김운숙 ( Woon Sook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용품의 브랜드개성이 브랜드만족, 브랜드동일시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C시의 3개 대학(D대학, S대학, B대학)에 재학 중인 남, 여 300명이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였으며, 전체 표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되는 11부의 설문을 제외한 총 289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14.0으로 빈도분석과 탐색적요인분석, AMOS 7.0으로는 확인적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용품 브랜드개성 중확실성과 고급성은 브랜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믿음성, 흥미성 및 활동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만족은 브랜드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만족은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동일시는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and personality of sporting goods on brand satisfaction,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yalty. The research subject is 3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at 3 colleges[D College, S College and B College] located in Chungcheongnam-do. The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 total of 289 copies were selected as final valid samples excepting 11 questionnaires which were judged to respond unfaithfully. As for data processing, this research made a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using SPSSWIN Ver.14.0 and also mad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fter confirming the goodness of fit of a model, this research obtained the conclusions as follows by verifying individual hypothese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certainty and classic quality among the brand personality of sporting g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satisfaction, while reliability, interest, and activity didn``t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satisfaction. Second, br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no positive effect on brand identification. Third, br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Fourth, brand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 KCI등재

        프로야구 라이센싱 의류제품속성이 구매만족, 팀 브랜드동일시, 소비자-팀 브랜드 관계의 질 및 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만 ( Yong Man Kim ),김경춘 ( Kyung Chun Kim ),허진 ( Jin Hur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야구 라이센싱 의류제품속성이 구매만족, 팀 브랜드동일시, 소비자-팀 브랜드 관계의 질 및 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대상은 롯데, 두산, LG 그리고 SK 프로야구팀의 홈 관중 중 라이센싱 의류제품 구매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이상의 관중 400명이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추출되었으며, 총 385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는데, 먼저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 라이센싱 의류제품속성의 하위요인인 품질속성은 구매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속성은 구매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만족은팀 브랜드동일시, 소비자-팀 브랜드 관계의 질 및 팀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브랜드동일시는 소비자-팀 브랜드 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팀 브랜드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팀 브랜드 관계의 질은 팀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라이센싱 의류제품은 팀 브랜드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구매만족, 팀 브랜드동일시 및 소비자-팀 브랜드 관계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ttribute of professional baseball licensing clothing product on purchase satisfaction, team brand identification, consumer-team 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team brand loyalty. This research set up 400 spectators above senior high school age who have licensing clothing purchase experience among the home spectators for professional baseball teams including LOTTE, DOOSAN, LG and SK as its subjects. After collecting a total of 400 copies, this research used 385 copies as final effective samples except for 15 copies judged to be inappropriate. As for data processing, this research verified individual hypotheses after verifying goodness of fit for a model using SPSSWIN Ver. 15.0 and AMOS 7.0.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a positiv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quality attribut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aesthetic attribute was found not to have an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Second, purchas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 effect on team brand identification, consumer-team 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team brand loyalty. Third, team brand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 effect on consumer-team brand relationship quality however, was found not to have an effect on team brand loyalty. Fourth, consumer-team brand relationship quality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 effect on team brand loyalty.

      • KCI등재

        해양스포츠 박람회 참가자들의 참여동기, 박람회 서비스품질, 참여만족도, 서비스이미지 및 개최지이미지와의 구조적 관계

        김용만 ( Yong Man Kim ),김경춘 ( Kyung Chun Kim ),이계석 ( Kye Sok Lee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스포츠 박람회 참가자들의 참여동기, 박람회 서비스품질, 참여만족도, 서비스이미지와 개최지이미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대상은 ‘제 2회 2008 대한민국 국제요트대전’ 박람회에 참여한 고등학생 이상의 참가자들이다. 표본은 박람회가 열리는 창원 CECO에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300부를 표집하였고, 이 중 자료로써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10부를 제외한 290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4.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동기와 편의적동기는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동기는 서비스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적동기는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참여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품질은 서비스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만족도는 서비스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만족도는 개최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비스이미지는 개최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 of the image of a venue with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e of water sport Fair, service quality of fair,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nd service image. This research selected the participants ranging from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o adults who took part in the second fair for "The 2008 Korea International Yacht Competition" as a target for research. As for sampling, this research collected 300 survey copies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at CECO at Changwon where the fair was held, among which 290 copies of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final valid sample excepting 10 copies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as a data. As for data processing, this research verified individual hypotheses after verifying model suitability by using SPSSWIN Ver.14.0 and AMOS 7.0. The research results verified through a posi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motive and convenient motive were found to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social motiv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regional motive was reveal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quality. Second,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Third,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rvice image. Fourth,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rvice image. Fifth,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age of the site of the fair. Sixth, service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age of the site of the fai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