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방과후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근로환경 표준화 방안 연구

        길은배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qualification, labor cost, and education and training of workers involved in Primary Care of Elementary Schoo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Community Child Center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in Youth-After-School-Academy of the Ministry of General Equality and Family, and thereby to make possible work interchangeability of those involved in the three project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fication standards of workers involved in three projects were found different by project, and thus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qualification. If qualification is standardized and human resources are arranged with interchangeability. it is possible to expand job opportunity of workers and reduce the rate of their turnover that occurs frequentl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ystem in which the increasing career of workers in child-care projects are connected with their labor cost rise rate. Some workers involved in child-care projects were found to experience no rise in labor cost in spite of their increasing career in relevant areas and thereby to have their decreasing desire for work. Thirdly,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a pay table of workers in child-care projects. Given the point that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operating the three projects and working-level staff take similar roles, it is needed to prepare a standardized pay table. Fourth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workers in the three child-care projects can commonly join and establish the system to oblige the program. In the case of child-care project, intangible service of instructors guarantees the quality of child-care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better treatment to such workers, to make possible work interchangeability, to expand job opportunity, and to increase work s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의 돌봄교실, 보건복지부의 지역아동센터, 그리고 여성가족부가 추진하고 있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업에 종사하는 인력의 자격 기준, 인건비 기준, 교육·연수 기준을 표준화하여 3개 사업 종사자의 호환 근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개 돌봄 사업 종사자의 자격 기준이 사업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준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자격 기준을 표준화하여 인력 배치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종사자의 취업 기회가 확대되고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이직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돌봄 사업 종사자의 경력 증가와 인건비 상승률을 연동시키는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일부 돌봄 사업 종사자의 경우 수년간 관련 경력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인건비가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나 종사자의 근무 의욕을 저하시키시고 있다. 셋째, 돌봄 사업 종사자의 임금테이블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3개 돌봄 사업의 운영 책임자 및 실무자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임금테이블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3개 돌봄 사업 종사자가 공통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연수 과정의 마련과 교육·연수 의무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돌봄 사업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도자의 무형적 서비스가 돌봄 사업의 질적 수준을 담보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종사자의 처우를 개선하고 상호 호환 근무가 가능하도록 하여 취업 기회를 확대하고 근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연구보고 03-R 11]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길은배,문성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I. 서 론<br/> <br/> 1. 연구 목적<br/> <br/>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적응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독일, 미국, 캐나다 등 외국의 이주민 적응 사례를 고찰하였고, 현재 북한 이탈 청소년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부 및 민간단체의 각종의 정책 및 사업을 분석하였으며, 북한이탈 청소년 대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그 실태 및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각기의 연구 문제를 다룸에 있어 북한이탈 청소년 대상의 사회적응 지원 정책 마련에 적실성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원 정책을 제언하였다.<br/>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br/> <br/> 1) 연구 내용<br/> <br/> 우선 사회적응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북한이탈 청소년의 시대적 의미 및 그 현황을 살펴보고, 북한 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정부 및 민간단체의 지원 실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북한이탈 청소년 대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당면하는 제영역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적실성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br/> <br/> 2) 연구 방법<br/> <br/> 북한이탈 청소년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적응 지원 정책을 구안하기 위하여 2장에서 외국 사례 및 선행연구를 하였고, 3장에서는 정부 및 민간단체 차원의 지원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4장에서는 북한이탈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접근 방법으로 2-3장은 문헌연구를, 4장은 면접 조사를, 그리고 각 장의 분석 결과 도출된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책 대안을 구안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몇몇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br/> <br/> 3. 연구의 제한점<br/> <br/>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지원 방안을 구안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의 연구 제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북한이탈 청소년 대상의 지원 방안을 구안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연령 기준'을 어떻게 설정 할 것인가와 관련된 문제가 나타났다. 「청소년기본법」에 의 하면 청소년 연령은 9-24세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나, 3장의 논의에서 살펴보았듯이 많은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현재의 연령이 20대 중·후반이나 학업, 직업훈련 등의 이유로 남한 청소...<br/> <b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아동․청소년통합정책의 지역운영 방안 모색

        길은배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09 청소년행동연구 Vol.- No.14

        아동&#8228;청소년통합정책은 필연적으로 서비스 전달체계를 비롯한 전문인력의 양성&#8228;배치, 관련 예산의 확보 및 집행 등과 같은 제 영역에 변화를 미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아동과 청소년계는 통합정책이 각각의 분야에 어떠한 긍&#8228;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며 나름의 대안 찾기에 열중하고 있다. 물론 자본주의 사회가 갖는 근본적 속성이 경쟁을 통한 이익의 획득, 창출 등을 둘러싼 헤게모니의 싸움과정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아동&#8228;청소년계의 다양한 주장과 갈등, 그리고 사안에 따른 반목 현상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특히, 아동&#8228;청소년 사업은 최근 아동청소년 인구의 감소로 정책결정의 우선순위가 타 분야에 비해 점차 낮아지고 있고, 초기 투자비용에 비해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업의 투자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다른 인구집단과는 달리 투표권이 없다(정익중, 2008: 68)는 이유 등으로 정치&#8228;사회적 관심의 대상에서 유리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론이 통합정책의 등장에 따른 위기의식으로 연결되어 아동&#8228;청소년계가 더욱 긴장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 KCI등재

        청소년의 비속어, 은어 사용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언어 일탈, 통과 의례적 문화인가? -

        길은배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2

        Since most of adolescents use slang and jargon, adolescents' verbal deviance phenomenon is universalized and generalized. Hereupon,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matter whether such phenomenon is cultural deviance phenomenon which appears mainly in an adolescent period or no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the viewpoint of generation theory, viewpoint of culture theory and viewpoint of development theory.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viewpoint of generation theory, adolescents' verbal deviance phenomenon occurs while one generation grows to another generation and shares new values and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ith sociocultural environment. Due to this characteristics, the language culture of one generation naturally undergoes process of changing. Second, in viewpoint of culture theory, our adolescents' life is locked by the identity of student adolescent and subjectivation of cultural creation is not easy, so that some of slang and jargon are flowed in from the adult generation. Third, on the basis of development theory, the adolescent period actually has the tendency of verbal deviance due to the psychological․emotional confusion which they experience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s the transitional existence. However, such image tends to be intensified negatively and used as a means of control by the older generation. 청소년 대부분이 비속어, 은어를 사용함에 따라 청소년의 언어 일탈 현상이 보편화, 일상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러한 현상이 청소년기에 주로 나타나는 문화적 일탈 현상인지 아니면 청소년기 이후에는 새로운 언어문화를 경험할 것인지를 천착하기 위하여 세대론적 관점, 문화론적 관점, 발달론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론적 관점에서 불 때 청소년기의 언어 일탈 현상은 한 세대가 또 다른 세대로 성장하면서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관과 언어문화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한 세대가 갖는 언어문화는 자연스럽게 다른 세대로의 성장을 통하여 변동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둘째, 문화론적 관점에서 우리 청소년의 삶은 학생 청소년이라는 정체성에 갇혀 문화 생성의 주체화가 쉽지 않아 일부 비속어, 은어 등은 성인세대로부터 유입된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이 사용하는 비속어, 은어 등의 사용에 대한 책임이 반드시 청소년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셋째, 발달론에 근거할 때, 청소년기는 과도기적 존재로 발달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정서적 혼란 등으로 언어 일탈의 성향을 갖는 것이 사실이다. 기성세대는 그러한 현상을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확대하여 청소년을 미성숙한 존재로 규정하는 이데올로기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청소년기 언어 일탈 현상이 성장과정에서 경험하는 통과 의례적 문화임을 밝히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근로환경 실태와 개선방안

        길은배,문성호,이미리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에 명시된 전국 청소년활동시설에 근무하는 상근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직무수행을 위한 제반 환경, 근로조건, 직무만족, 직장분위기, 전문화 방안을 포함하는 근로환경 실태와 청소년지도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근로환경의 차이를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 분석대상은 전국 청소년활동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1,12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청소년지도사들의 직무수행을 위한 제반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시설 내 예산확보와 정부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이 다른 부분들에 비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보았다. 전반적인 근로조건 만족정도는 보통수준이었다. 하지만 청소년문화의집 종사자 그리고 여자 종사자의 근로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보통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업무와 관련한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활동시설의 직장 분위기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청소년활동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 위상 정도는 매우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지도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을 갖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예산지원, 임금체계 개선, 직무교육의 기회 확대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재정지원의 확대, 청소년문화의집 운영 및 관리의 재검토, 여자 종사자 근무여건 증진, 청소년지도사의 직무 표준화, 배치기준의 제도화, 처우문제 개선 등청소년지도사들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ork environments of the youth workers working in the youth activity agencies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ir points of view. This study was based on quantitative surveys. Data from 1,122 youth worker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youth workers have negative views, which reflect the nature of the challenges they faced.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sufficient budget and work standardization of the youth workers were suggested and direc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outlined.

      • KCI등재

        남북 청소년 스포츠 교류·협력 이행 실태 분석

        길은배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9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exchange and cooperation via sports. To this end, 43 cases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exchange and cooperation made from 2000 till 2017 were analyzed. There were several events of the sports exchange for people over 25 years, which led by sports leaders or players of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those events were excluded in the analysis due to the scope of this study. In addition, there were also unofficial South-North Korea sports exchanges conducted in third nations such as China and led by labor organizations, religious organizations, students’ associations and so on, but since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ports events obtained the official consent of the government, they were excluded as well. The analysis of the ‘Unification White 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Sports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Korea Sports Science Institute showe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the exchange via participation in all-around competitions or regulation exchange sports games in Korea or abroad. Soccer was the most frequent form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followed by all-around competition and then, Taekwondo, and as for a region, South Korea was the place in which the most no.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was held, followed by North Korea (Pyeongyang) and then, China. From 2000 to 2017, the total cost spent for supporting the social/cultural cooperation and visi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s very small, only 0.89% of the South-North Korea Cooperation Fund. There were 10 cases in which a word ‘youth’ was used in the name of the event and th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4 years old or under. This study suggests to separate the youth sports exchange from the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romote friendly match games in which participants can visit each other’s nation, change from the elite-oriented sports exchange to the sports-for-all oriented sports exchange, promote the youth sports exchanges by using thre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and include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South-North Korea Cooperation Fund even at its planning stage.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를 매개로 한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이행 실태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남북 간에 성사된 청소년 스포츠 교류·협력 사례 43건을 분석하였다. 이 외에도 남북 체육계 지도자 간의 교류, 25세 이상의 성인이 주축이 된 스포츠 교류가 있었으나 청소년 중심의 스포츠 교류로 보기 어려워 제외하였다. 또한, 노동계, 종교계, 대학생 학생회 등이 중국을 비롯한 제3국에서 비공식적으로 남북 스포츠 교류를 진행한 실적이 있었으나, 본 논문에서의 분석 대상은 정부의 공식적 허가를 득한 후 성사된 국내외 스포츠 사례로 한정하였다. 통일부가 발간한 ‘통일백서’와 한국스포츠과학원에서 발간한 ‘체육백서’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를 매개로 성사된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은 국내외 종합경기 참가 및 정기교환 경기를 통한 교류가 가장 많았다. 교류 종목으로는 축구, 종합경기, 태권도가 가장 많았고, 교류가 성사된 지역은 남한, 북한(평양), 중국 순이었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남북협력기금 전체 사업비 집행 액 중 인적 왕래와 사회문화 분야 협력 지원을 위해 집행한 사업비는 0.89%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스포츠 대회 명칭에 ‘청소년’또는 ‘유소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참가자의 연령 또한 24세 이하인 교류 사례는 10건으로 나타났다. 정책대안으로는 청소년 스포츠 교류를 정치·군사적 문제와 분리 추진, 남북 지역을 상호 방문하는 친선 경기나 정기교환 경기 확대, 엘리트 선수 중심에서 생활체육차원의 교류로 전환, 중국 동북3성을 활용한 교류 추진, 남북협력기금 사업계획 수립 단계부터 남북 청소년 스포츠 교류 사업 명시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도주의적 지원과 남북청소년 협력의 동학

        길은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 한국청소년연구 Vol.16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encourag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South's humanitarian aids for the youths. Since the late 1980s, the two Koreas made an effort to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However, inter-Korean exchanges mainly focused on economic areas and restricted mutual visit. As a result, inter-Korean relations was limited in terms of openness and interdependence. At the beginning of a new millenium, we need to change traditional patterns of institutionalized inter-Korean cooperation. For the two Koreas, it is time to consider multiple channels of contact between them. To deal with this need, the role of the youth in their societies is vital because the youth, in general, emphasize the value of social justic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matters. This characteristic of the youth will contribute to develop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Based on this, the promotion of humanitarian aids could be a crucial point that leads to the evolution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youth. Particularly, this new approach is examined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prepare for the social integration by inducing the openness of value system in the North and the complex interdependence of inter-Korean relations. 이 논문은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한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의 접근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21세기의 초입에 들어선 오늘의 사회는 보통 사람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 우리의 예측과 기대를 벗어난 사건들, 서로 모순되는 현상들이 여러 곳에서 날마다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패러독스적 시대의 중심에 서 있는 계층이 바로 청소년이며, 이들은 양자택일(either/or)의 논리를 거부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을 이야기할 때 청소년이 미래의 통일주역이므로 현재부터의 접촉이 필요하다는 당위적 접근과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을 청소년 또는 청소년분야가 주도적으로 이끌었느냐 하는 주체의 문제로부터 탈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 전략은 더 이상 청소년이 요구하는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의 지형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청소년층 내부에서도 계층, 성별 등에 따라 교류․협력관이 분할되고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의 접근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향에서 인도주의적 지원과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의 동학을 논의하였다. 특히, 북한청소년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의 변화를 이끌어 통일 이후의 사회통합 단계에 대비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시각에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