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서 경동맥을 보호하기 위한 치료 계획

        기용간(Yong Kan Ki),김원택(Won Taek Kim),남지호(Ji Ho Nam),김동현(Dong Hyun Kim),이주혜(Ju Hye Lee),박달(Dal Park),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2

        목적: 조기 성문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만기 합병증인 뇌졸증을 예방하기 위해 경동맥을 보호하는 치료계획을 세우고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원발성 조기 성문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를 받은 환자 31명의 모의치료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평행대항조사영역(parallel-opposing field, POF)과 조사영역의 빔방향상에서 동측의 경동맥을 제외하기 위해 빔각도를 조절한 조사영역(modified oblique field, MOF)으로 가상모의치료계획을 세우고 계획용표적체적, 경동맥과 척수의 선량분포, 평균선량과 V₃₅, V₄₀, V₅₀ 등을 기존 치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31명 중 23명(74.2%)에서 25도, 8명(25.8%)에서 30도 전방으로 조절되었다. 두 군 사이에 선량에 따른 planning target volume의 체적백분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01). 경동맥의 선량에 따른 누적 체적백분율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p<0.001), 26 ㏉ 이후에 MOF군에서 감소하기 시작했다. 경동맥의 평균선량은 POF군에서 38.5 ㏉, MOF군에서 26.3 ㏉였고(p=0.012), V₃₅, V₄₀, V₅₀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번 연구 결과로 조기 성문암 환자에서 빔각도를 전방으로 조절하여 경동맥의 조사선량을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경동맥 협착증을 예방하고 궁극적으로 뇌졸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Purpose: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treatment planning for minimizing carotid artery dose in the radiotherapy of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7 to 2010, computed tomography simulation images of 31 patients treated by radio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were analyzed. The virtual planning was used to compare the parallel-opposing fields (POF) with the modified oblique fields (MOF) placed at angles to exclude the ipsilateral carotid arteries. Planning target volume (PTV), irradiated volume, carotid artery, and spinal cord were analyzed at a mean dose, V₃₅, V₄₀, V₅₀ and with a percent dose-volume. Results: The beam angles were arranged 25 degrees anteriorly in 23 patients and 30 degrees anteriorly in 8 patients. The percent dose-volume of PTV show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versely, the cumulative percent dose-volume of carotid artery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he mean doses of carotid artery were 38.5 ㏉ for POF and 26.3 ㏉ for MOF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2). Similarly, V₃₅, V₄₀, and V₅₀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F and MOF. Conclusion: The modified oblique field was respected to prevent a carotid artery stenosis and reduce the incidence of a stroke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

        기용간(Yong Kan Ki),권병현(Byung Hyun Kwon),김원택(Won Taek Kim),남지호(Ji Ho Nam),윤만수(Man Su Yun),이형식(Hyung Sik Lee),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2

        목 적: 수술 후 보조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전체생존율, 무병생존율, 재발 부위 등을 분석하 여 이와 관련된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4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중 조직유형이 선암인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나이는 55세(35∼76세)였고, 병기 분포는 FIGO 병기 I군이 34명(63.0%), 병기 II군이 8명(14.8%), 병기 III군이 12명(22.2%)이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 및 외부 방사선조사(41.4∼54.0 Gy, 중앙값 50.4 Gy)를 받았고, 20명(전체 환자의 37.0%)의 환자에서 추가로 질내 근접치료(15.0∼24.0 Gy, 중앙값 15.0 Gy)를 받았다. 전체추적기간은 5∼115개월로 중앙추적기간은 35개월이었다. 분석 결과 유의인자로 나타난 조직분화도(histologic grade), 림프-혈관 침범 ymphovascular space invasion), 그리고 자궁근 침범 정도(myometrial invasion depth)를 점수화(GLM 점수)하여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생존분석은 Kaplan-Meier 법을, 단변량 및 다변량 통계분석은 각각 log-rank 검정과 Cox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7.7%였고, 5년 무병생존율은 87.1%였다. 단변량 통계분석에서는 조 직분화도, 림프-혈관 침범, 그리고 자궁근 침범 정도가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과 관련 있는 인자였고, 다변량 통계분석에서는 림프-혈관 침범이 무병생존율과 관련 있는 인자였다(p=0.0158). GLM 점수는 전체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과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냈고(각각 p=0.0090, p=0.0073), 원격재발에도 유의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p=0.0132). 전체 환자 중 6명(11%)의 환자에서 재발을 보였고, 재발 부위는 대동맥 림프절 2명, 폐 2명, 쇄골상부림프절 1명, 질 1명이었다. 결 론: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는 수술 후의 병리 소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 고 있다.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를 체계화한다면, 병의 진행양상을 예견하고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relapse pattern,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endometri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54 patients with endometrial adenocarcinoma treat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1992 and May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5 (range 35∼76). The distribution by surgical FIGO stages were 63.0% for 0Stage I, 14.8% for Stage II, 22.2% for Stage III. All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radiotherapy up to 41.4∼54 Gy (median: 50.4 Gy). Additional intravaginal brachytherapy was applied to 20 patients (37.0% of all). Median follow-up time was 35 months (5∼115 months). Significant factors of this study: histologic grad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myometrial invasion depth were scored (GLM score) and analyzed.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aplan-Meier method. The log-rank test was used for univariate analysis and the Cox regression model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5-year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87.7% and 87.1%, respectively.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were histologic grad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myometrial invasion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disease-free survival. GLM score was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p=0.0090, p=0.0073, respectively) and distant recurrence (p=0.0132), which was the sum of points of histologic grad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myometrial invasion. Total failure rate was 11% with 6 patients. Relapse sites were 2 para-aortic lymph nodes, 2 lungs, a supraclavicular lymph node and a vagina. Conclusion: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treat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closely related with surgical histopathology. If further explorations confirm the system of prognostic factors in endometrial carcinoma, it will help us to predict the progression pattern and to manage.

      • KCI등재후보

        하인두암 환자에서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김원택(Won Taek Kim),기용간(Yong Kan Ki),남지호(Ji Ho Nam),김동원(Dong Won Kim),이병주(Byung Ju Lee),왕수건(Su Gun Wang),권병현(and Byung Hyun Kyu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4

        목 적: 하인두암의 치료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결과 분석을 통하여 그 임상적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 고,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예후인자들을 확인하여 향후 새로운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기본 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 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부터 1999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원발성 하인두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6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근치적 목적의 종양절제술을 시행한 뒤에 통상적인 분할조사법을 이용하여 원발 부위와 경부 림프절 부위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결 과: 5년간의 전체 생존율과 질병 관련 생존율은 각각 42.2%와 51.6%였고, 병기별 5년간 질병 관련 생존율은 Stage I, II, III, IV에서 각각 100%, 80%, 62.5%, 41.5%였다. 예후인자에 대한 단변랑 분석에서 전체 병기, T 병기 및 N 병기, 2차성 원발암 발생 유무, 절제연 침범 여부, 림프절의 외막 침범 여부, 총 방사선량 등이 의미가 있었으 며, 다변량 분석에서는 T 병기 및 N 병기, 절제연 침범 여부, 림프절 외막 침범 여부 등이 유의한 예후인자로 판 명되었다. 결 론: 절제 가능한 하인두암 환자에서 수술 및 보조적 방사선치료는 후두나 인두의 기능장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나 국소 제어율 면에서 좋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상당히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에서는 국소 제어나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기존의 수술 및 방사선 병합치료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최근 연구되고 있는 화학-방사선 병합요법이나 세기조절 방사선치료 등과의 비교 연구가 예후인자 관련 연구와 동반해서 진행되 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clinical values and limitation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hypopharyngeal carcinoma, to evaluate various prognostic factors which may affect to the treatment results and to use these results as fundamental data for making a new treatment strategy. Methods and Material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64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seen between 1988 and 1999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ost of patients were treated by laryngoph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followed by conventional fractionat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on surgical bed and cervical nodal areas. Results: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 and cause-specific survival rate were 42.2 percent and 51.6 percent, respectively. Univariate analysis of various clinical and pathologic factors confirmed the overall stage, TN-stage, secondary primary cancers, surgical positive margin, nodal extracapsular extension, total radiation doses 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hypopharyngeal carcinomas. But in multivariate analysis, TN-stage, surgical positive margin and extracapsular extesion wer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resectable cases of hypopharyngeal carcinoma,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obtained good treatement results, even though sacrificing the function of larynx and pharynx. But in advanced and unresectable cases, with respect to survivals and quality of life issues, we were able to confirm some limitations of combined therapy. So we recommend that comparative studies of recent various chemo-radiotherapy methods and advanced radiotherapy techniques with these data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진행성 두경부 상피세포암 환자에서 소분할 방사선조사 후의 치료반응 평가

        김원택(Won Taek Kim),기용간(Yong Kan Ki),남지호(Ji Ho Nam),김동현(Dong Hyun Kim),조규섭(Kyu Sup Cho),이진춘(Jin Choon Lee),이병주(Byung Joo Lee),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2

        목 적: 근치적 치료가 힘든 두경부 진행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소분할 방사선조사의 치료반응 정도를 객관적 으로 평가해 보고, 이런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에서 발생한 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 병변 또는 림프절 병변에 대해 3 Gy 분할선량으로 고식적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방사선치료 전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자료를 통해 종양의 용적을 측정하였고, 이를 방사선치료 종료 후 2∼3개월째의 컴퓨터단층촬영 자료와 비교하여 치료반응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소분할 방사선치료로 인한 치료독성의 빈도와 정도를 확인하였고, 전체 생존율 및 무진행 생존율, 그리고 생존율이나 치료반응과 관련된 예후인자들 알아보고자 통계 분석 작업을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0세였으며, 85%의 경우가 stage 4였다. 종양의 용적은 평균 128.4 cc였고, ECOG 활동점수 상 1점과 2점이 67.7%였다. 총방사선량은 24∼45 Gy (중간값 36 Gy)로 2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가 30 Gy 이상 조사받았으며, 치료기간은 10∼25일이었다. 완전반응을 보인 경우가 4명(12.9%)이었고, 19명(61.3%)의 환자에서 부분반응을 보였다. 중간 생존기간은 8.9개월이었으며, 1년 무진행생존율은 12.9%였다. 치료반응 정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원발 부위, 병기, 종양의 용적, 방사선치료 범위, 총방사선량 등이 생존율이나 치료반응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치료 기간 및 치료 종결 후 grade 4 이상의 치료독성은 없었다. 결 론: 소분할 방사선치료 결과 약 74%의 환자들에서 종양이 줄어드는 것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적절한 분할선량 및 추가 방사선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선별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rate of tumor response to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patients with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who were treated by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3 Gy per fraction for palliative purpose between 1998 and 200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Every tumor-volume was measured and evaluated from CT (computed tomography) images obtained before and 2∼3 months after radiotherapy. The radiation toxicity was assessed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overall survival,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the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nd respons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tudy patients was 70 years. In addition, 85% of the patients were in stage 4 cancer and 66.7% had an ECOG performance status of 1∼2. The mean tumor-volume was 128.4 cc. Radio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a total dose of 24∼45 Gy (median: 36 Gy) over 10∼25 days. Twenty-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30 Gy or more. The observed complete response rate was 12.9% and the partial response rate was 61.3%. Median survival time was 8.9 months and the 1-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12.9%. The treatment response rate was confirmed as a prognostic factor in the rate of survival. The primary site, stage, tumor-volume, radiotherapy field and overall radiation-dos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rvival and treatment response. No grade 4 toxicity was observed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There was an objective tumor-regression in about 74% of patients treated by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urther evaluation is needed to select the appropriate fraction-size and patient who may require the additional radiotherapy.

      • KCI등재

        선형가속기 방사선 중심점의 크기 측정 방법 개발과 Clinac 21EX 선형가속기의 방사선 중심점 크기 분석

        전호상,남지호,박달,김용호,김원택,김동원,기용간,김동현,Jeon, Ho-Sang,Nam, Ji-Ho,Park, Dahl,Kim, Yong-Ho,Kim, Won-Taek,Kim, Dong-Won,Ki, Yong-Kan,Kim, Dong-Hyun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3

        Star-shot 영상을 이용한 선형가속기의 방사선중심점(radiation isocenter)에 대한 정도관리를 정량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다. 구현한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008년 6월부터 2010년 12월 사이에 수행한 선형가속기 Clinac 21EX (Varian, USA)의 방사선중심점의 정도관리 정보로부터 방사선중심점의 크기를 측정하여 어떤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개발한 방법은 먼저 star-shot 영상의 빔(ray)들 각각의 중심선 위에 있는 두 개의 점들을 찾아서 모든 중심선들의 방정식을 구하고 구한 방정식을 이용하여 중심선들을 모두 가로지르는 원의 최소의 직경을 찾아 방사선중심점의 크기를 구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중심선의 x-절편과 y-절편을 0.084 mm 이하의 정확도로 찾아냈고 방사선중심점의 크기는 0.053 mm의 정확도로 구하여 검증에 사용한 영상의 해상도 0.085 mm보다 작았다. Clinac 21EX의 radiation isocenter의 크기는 콜리메이터, 갠트리, 테이블 각각 $0.33{\pm}0.27mm$, $0.71{\pm}0.36mm$, $0.50{\pm}0.16mm$였고 측정 기간 동안 2.0 mm보다 작게 나와 모두 허용한도를 만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충분한 정확도로 방사선중심점의 크기를 계산해주어 정기적인 정도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 method to get a size of the radiation isocenter of linear accelerators using star-shot images was presented and a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to automate the method. Accuracy of the method was verified. The developed program was used to measure sizes of the radiation isocenters for a Clinac 21EX (Varian, USA) using data of quality assurance (QA) performed from June 2008 to December 2010. To calculated the size of radiation isocenter, positions of two points on each central ray of the star-shot image were found and the equation of the central ray was determined using the positions of two points. Using the equations of central rays the radius of the minimum circle intersecting all the central rays, which is one half of the size of radiation isocenter, was calculated. The program measured x-intercepts and y-intercepts of the central rays within errors of 0.084 mm and sizes of radiation isocenters within 0.053 mm. All the errors were less than the spatial resolution of star-shot images 0.085 mm. The radiation isocenter sizes of Clinac 21EX were $0.33{\pm}0.27mm$, $0.71{\pm}0.36mm$, $0.50{\pm}0.16mm$ for collimator, gantry and couch respectively.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all the measured sizes were less than 2.0 mm and within tolerance. The developed program could calculate the size of radiation isocenters and it would be helpful to routine QA.

      • KCI등재후보

        지하에 위치한 방사선종양학과에서의 실내공기 질 평가

        김원택(Won Taek Kim),권병현(Byung Hyun Kwon),신용철(Yong Chul Shin),강동묵(Dong Mug Kang),기용간(Yong Kan Ki,),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4

        목 적: 지하에 위치한 방사선치료 관련시설 내의 실내공기 질은 근무자뿐만 아니라 장기간 치료받는 환자들의 건 강에도 중요하다. 저자들은 근무자들의 빌딩증후군 증상유무의 확인과 함께 실내공기 질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을 측정, 분석하여 그 원인을 찾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자각증상 및 근무환경 인식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하였고,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실내공기 질과 관련된 항목들(온·습도,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에 대해 근무자들이 주로 머무르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일정기간 측정하였다. 아울러 환기(공조) 시스템의 효율 및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실외공기와의 비교평가를 위해 1층(실외)에서도 같은 항목들을 측정하였고, 측정 자료들은 국내외 환경관련 기관들의 권고 수치를 기준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결 과: 설문조사에서 근무자들은 악취, 습도, 먼지 등에 대해 불만족을 보였으며, 근골격계 증상, 신경계 증상, 점막 자극 증상 등을 주로 호소하였다. 대부분의 실내공기 질 관련 항목들은 기준치를 넘지 않았으나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수치가 기존 미국 사무실 측정 수치에 비해 3∼4배 높게 나왔다. 환기 횟수나 환기량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실외공기 유입구와 실내공기 배출구의 위치 문제로 인해 오염된 공기의 유입 가능성이 있었다. 총휘발성유기화합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현상액과 같은 화학물질의 관리에 주의가 필요했으며, 오염된 공기의 재유입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환기 시스템의 위치조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결 론: 저자들은 실내공기 질에 대한 평가에서 일부 화학물질 및 부적절한 환기 시스템으로 인해 근무자들이 주관적인 증상을 호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하 공간에서 장시간 거주하는 근무자들의 근무여건 개선과 함께 면역저하를 동반한 환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실내공기 질에 대한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며, 그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방사선종양학과의 설계나 기존 시설의 환경개선 등에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하겠다. Purpose: Indoor air quality (IAQ) in the radiation treatment center which is generally located underground is important to the health of hospital workers and patients tre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IAQ and subjective symptoms of sick building syndrome, and to establish the causes influencing IAQ and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Methods and Materials: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check the workers’ symptoms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environment. Based 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factors related to IAQ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fine particulate.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formaldehyd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and radon gas were selected and meas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specific sites where hospital workers stay long in a day. And we also evaluat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ng system simultaneously, and measured the same factors at the first floor (outdoor) to compare with outdoor air quality. All collected data were assessed by the recommended standard for IAQ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Results: Hospital workers were discontented with foul odors, humidity and particulate. They complained symptom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stem, neurologic system, and mucosal-irritatation. Most of the factors were not greater than the recommended standard, but the level of TVOC was third or fourth times as much as the measuring level of some offices in the United States. The frequency and the amount of the ventilating system were adequate, however, the problem arising in the position of outdoor-air inlets and indoor-air outlets involved a risk of the indraft of contaminated air. A careful attention was a requirement in handling and keeping chemical substances including a developing solution which has a risk of TVOC emissions, and repositioning the ventilating system was needed to solve the contaminated-air circulation immediately. Conclusion: We verified that some IAQ-related factors and inadequate ventilating system could cause subjective symptoms in hospital workers. The evaluation of IAQ was surely needed to improve the underground working environments for hospital workers and patients. On the basis of these data, from now on, we should actively engage in designs of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r improvement in environments of the existing facilities.

      • KCI등재

        조기유방암 환자에서 방사선 모의치료 방법의 차이에 따른 심근관류결손의 비교 평가

        남지호(Ji Ho Nam),김원택(Won Taek Kim),기용간(Yong Kan Ki),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1

        목 적: 좌측 조기유방암으로 보존수술 후 2차원 또는 3차원 모의치료를 통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SPECT (single photon emitted computeriz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하여 심근관류결손의 부위와 빈도를 비교 평 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AJCC 병기 T1-T2N0M0인 좌측 조기유방암으로 진단되어 외과에서 보존수술 및 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3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X선 투시기를 이용한 2차원 모의치료를 통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과 컴퓨터단층촬영 기반의 3차원 모의치료 방법을 이용했던 환자들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최소 3년 이상의 추적관찰 기간 후에 technetium-99m-sestamibi gated perfusion SPECT를 시행하여 각 군에서의 심근관류결손의 부위와 빈도를 비교 평가하였고, 각 환자들에서의 심벽의 운동상태와 좌심실의 박출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모의치료 과정에서 방사선에 피폭되는 심장영 역을 각 군에서 측정하여 심근관류결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SPECT 영상 결과, 심근관류결손이 확인된 경우는 전체 32명의 환자 중 11명(34.4%)이었다. 2차원 모의치료를 받은 15명의 환자 중 7명(46.7%)에서, 3차원 모의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 중 4명(23.5%)에서 관류결손이 발견되었는데, 3차원 모의치료를 이용한 환자들에서 심근관류결손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312). 심근관류결손이 확인된 11명 중, 심첨부 결손을 보인 경우가 1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심벽의 운동상태와 심실박출량은 모두 정상이었으며, 방사선 조사야에 포함된 심장영역은 3차원 모의치료 군에서 보다 작았으나 양군에서의 심근관류결손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저자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좌측 조기유방암 환자에서 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전산화단층촬영 모의치료기를 이용한 3차원 모의치료 방법을 이용하면 심근에 대한 조사용적을 줄일 수 있어 심근관류결손의 빈도를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심근관류스캔상의 결손과 향후 임상적인 허혈성 심장질환으로의 발전 또는 이로 인한 사망률의 증가와의 연관성은 장기간의 추적관찰과 전향적 임상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P 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incidence and aspects of myocardial perfusion defects in patients who were subjected to either two- dimensional or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techniques for early left- sided breast cancer. The myocardial perfusion defects were determined from using single photon emitted computerized tomography (SPECT) myocardial perfusion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2 and August 2003, 32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early (AJCC stage T1- T2N0M0) left- sided breast cancer and were treated with tangential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systemic chemotherap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simulation received: two- dimensional simulation using an X- ray fluoroscope simulator or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with a CT simulator. All patients underwent technetium- 99m- sestamibi gated perfusion SPECT at least 3 years after radiotherapy. The incidence and area of myocardial perfusion defects were evaluated and were compared in the two groups, and at the same tim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cardiac wall motion were also analyzed. The cardiac volum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s was calculated and evaluated to check for a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irradiated cardiac volume and aspects of myocardial perfusion defects. R esults: A myocardial perfusion defect was detected in 11 of 32 patients (34.4%). There were 7 (46.7%) perfusion defect cases in 15 patients who underwent the two- dimensional simulation technique and 4 (23.5%) patients with perfusion defects in the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group (p=0.0312). In 10 of 11 patients who had myocardial perfusion changes, the perfusion defects were observed in the cardiac apex.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as within the normal range and cardiac wall motion was normal in all patients. The irradiated cardiac volume of patients in the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group was less than that of patients who received the two- dimensional simulation techniqu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 compared to the incidence of perfusion defects. Conclusion: Radiotherapy with a CT simulator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technique) for early left- sided breast cancer may reduce the size of the irradiated cardiac volume and the incidence of myocardial perfusion defects. Further investigation and a longer follow- up duration are nee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yocardial perfusion defects and clinical ischemic heart disease.

      • KCI등재

        근치적 방사선치료에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양상 및 그 의의

        남지호(Ji Ho Nam),김원택(Won Taek Kim),기용간(Yong Kan Ki),김동현(Dong Hyun Kim),최영진(Young Jin Choi),조규섭(Kyu Sup Cho),이진춘(Jin Choon Lee),이병주(Byung Joo Lee),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1

        목 적: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들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고, 이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성 두경부 상피세포암종 및 경부 림프절 종대 병변에 대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 중 경부 림프절 병변에 충분한 방사선조사를 받은 후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주기적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재발률과 관련된 예후인자들도 분석하였다.결 과: 방사선치료 후 경부 림프절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은 73명이었다. 이들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의재발률은 19.2%였다. 원발 병변에서도 완전반응을 보인 55명에서의 경부 재발률은 5.5%였다. 경부 재발의 80%이상이 3년 이내에 확인되었으며, 47%에서 원발 병변의 재발이나 진행과 관련이 있었다. 치료 후 원발 병변의 반응 정도와 방사선 모의치료 방법이 경부 림프절 재발률과 관련 있었다.결 론: 방사선치료 후 원발 병변 및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에서의 경부 림프절 재발률은 약 5%로, 이들에서는 계획된 림프절 절제술 없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neck failure patterns after a complete response (CR) to definitive radiotherapy for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s well as evaluate the clinical 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7 and 2008, the clinical data of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for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enlarged cervical lymph nodes was analyzed retrospectively. Ultimately, the cases that showed CR of the cervical lymph node lesions to full-dose radio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current rate and sites in the cervical lymphatic area were evaluated periodically by radiologic imaging studies, along with some factors which might have affected the rate of recurrence. Results: A total of 73 patients who achieved CR in neck area after radio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ate of subsequent neck failure among those patients was 19.2%. There was only a 5.5% failure rate in the 55 patients who underwent radiotherapy in their primary site. Eighty percent of the recurrent cases were found within 3 years (median follow-up, 68 months). The majority of neck recurrent cases (47%) were accompanied with the failure of the primary lesions. The initial response of the primary site and the method of radiotherapy simulation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odal recurrence rate. Conclusion: The recurrence rate of cervical nodes in patients with CR to radiotherapy in the primary site and neck area was about 5%. These patients could be followed up with close observation without a planned neck dis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