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그너처 해싱에 기반한 고성능 침입방지 시스템

        왕정석(Jeongseok Wang),권희웅(Huiung Kwon),정윤재(Yunjae Jung),곽후근(Hukeun Kwak),정규식(Kyusi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D

        침입방지 시스템(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은 인라인모드(in-line mode)로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네트워크를 지나는 패킷 또는 세션을 검사하여 만일 그 패킷에서 공격이 감지되면 해당 패킷을 폐기하거나 세션을 종료시킴으로서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침입방지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종류의 동작을 수행한다. 하나는 이미 알려진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시그너처 기반 필터링(signature based filtering)이고 다른 하나는 알려지지 않은 공격이나 비정상 세션으로부터 방어하는 자기 학습 기반의 변칙 탐지 및 방지(anomaly detection and prevention based on selflearning)이다. 시그너처 기반 필터링에서는 침입방지시스템을 통과하는 패킷의 페이로드와 시그너처라고 불리는 공격패턴들과 비교하여 같으면 그 패킷을 폐기한다. 시그너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하나의 들어온 패킷에 대하여 요구되는 패턴 매칭 시간은 증가하게 되어 패킷지연 없이 동작하는 고성능 침입탐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공개 침입방지 소프트웨어인 SNORT를 위한 여러 개의 효율적인 패턴 매칭 방식들이 제안되었는데 시그너처들의 공통된 부분에 대해 한번만 매칭을 수행하거나 한 바이트 단위 비교대신 여러 바이트 비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매칭동작을 줄이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 매칭 시간을 시그너처의 개수와 무관하게 하기 위하여 시그너처 해싱 기반에 기반한 고성능 침입방지시스템을 제안한다.

      • 내용기반의 인쇄체 영문 문서 영상 검색을 위한 특징기반 단어 검색

        정규식(Kyusik Chung),권희웅(Huiung Kwon)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10

        문서영상 검색을 위한 디지털도서관의 대부분은 논문제목과/또는 논문요약으로부터 만들어진 색인데 근거한 제한적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문 문서영상전체에 대한 검색을 위한 단어 영상 형태 특징기반의 단어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1) 기존의 단어검색시스템에서 사용된 특징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며, 2) 특징의 개수 및 위치뿐만 아니라 특징들의 순서를 포함하여 매칭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3) 특징비교에 의해 검색결과를 얻은 후에 여과목적으로 문자인식을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2단계의 검색방법을 사용하낟. 제안된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문서 영상이 주어지면, 문서 영상 구조가 분석되고 단어 영역들의 조합으로 분할된다. 단어 영상의 특징들이 추출되어 저장된다. 사용자의 텍스트 질의가 주어지면 이에 대응되는 단어 영상이 만들어지며 이로부터 영상특징이 추출된다. 이 참조 특징과 저장된 특징들과 비교하여 유사한 단어를 검색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IBM-PC를 이용한 웹 환경에서 구축되었으며, 영문 문서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이 수해되었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들의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다. Most existing digital libraries for document image retrieval provide a limited retrieval service due to their indexing from document titles and/or the content of document abstracts. This paper proposes a word spotting system for full English document image retrieval based on word image shape features. In order to improve not only the efficiency but also the precision of a retrieval system, we develop the system by 1) using a combination of the holistic feature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existing word spotting systems, 2) performing image matching by comparing the order of features in a word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eatures and their positions, and 3) adopting 2 stage retrieval strategies by obtaining retrieval results by image feature matching and applying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partly to the results for filtering purpose. The proposed system operates as follows: given a document image, its structure is analyzed and is segmented into a set of word regions. Then, word shape features are extracted and stored. Given a user's query with text, features are extracted after its corresponding word image is generated. This reference model is compared with the stored features to find out similar words.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with IBM-PC in a web environment and its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English document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 급변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DNSBL을 이용한 IPS

        왕정석(Jeongseok Wang),권희웅(Huiung Kwon),곽후근(Hukeun Kwak),정규식(Kyusi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D

        최근 개인 정보 취득에 대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특정 사이트의 모조를 통해 사용자를 혼란 시켜 개인 아이디, 계좌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하여 개인 정보를 취득하거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신뢰된 인터넷 상의 공간(Portal BBS, 카페, 블로그 등)에 특정한 스파이웨어 등을 숨겨놓아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유도 한 후 개인 정보를 취득하는 등의 지능적이고 기존의 방법으로는 차단하기 어려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더욱 그 기세를 넓히고 있는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위협들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안 장비와 계층적 RBL DNS를 이용한 근본적인 위협원 접근 차단 방법을 통해 급변하는 위협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와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서버 클러스터 환경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전력 정보 기반의 동적 서버 부하분산

        김동준 ( Dongjun Kim ),강남용 ( Namyong Kang ),권희웅 ( Huiung Kwon ),곽후근 ( Hukeun Kwak ),김영종 ( Youngjong Kim ),정규식 ( Kyusik Ch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서버 클러스터에서 부하 분산기는 사용자의 요청을 각 서버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눅스 가상 서버(LVS: Linux Virtual Server)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되는 부하 분산기로서 여러 가지 스케줄링 방식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부하 분산 시에 서버의 유동적인 부하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개선된 방식으로 서버의 동시 연결 개수에 따라 상한계(Upper Bound)와 하한계(Lower Bound)를 설정하고, 요청을 분산하는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이 존재한다. 그러나 서버의 상태에 따라 상한계와 하한계가 바뀔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값들이 고정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부하 분산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는 서버 전력 정보에 기반한 스케줄링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서버의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에너지를 추정하고 전력 수치를 기반으로 LVS의 가중치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부하 분산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은 트래픽을 각 서버의 에너지 소모 상태에 따라 적용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부하를 분산한다. 또한 서버의 상태에 따라 상한계와 하한계가 바뀔 수 있음을 고려하여 상한계와 하한계를 설정하지 않고 서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요청이 분배되도록 하였다. 15대의 PC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기존 부하 분산 알고리즘 중 성능이 가장 좋은 알고리즘에 비해 서버의 성능이 동일한 경우 성능 및 소비전력 면에서 거의 동등하였고, 서버의 성능이 상이한 경우 50.2% 성능 향상 및 27.3% 소비 전력 절감을 확인하였다.

      • 컨텐츠 스위칭 기법을 이용한 웹 중계기를 통한 메시지 전달 방안

        왕정석(Jeongseok Wang),곽후근(Hukeun Kwak),권희웅(Huiung Kwon),정규식(Kyusi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웹은 이미 인터넷 사용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이나 광고 등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고, 해당 포털에 접속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미 긴급 재난 공지 등은 각 포털의 공지사항 등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만 이는 결국 해당 포털에 접속해야만 메시지를 볼 수 있으며, 각 포털에 메시지를 전파하고 협조를 얻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지역적,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사안이나 긴급을 요하는 메시지의 경우 이러한 방식이 맞지 않고, TV, 방송등의 직접적인 수단을 통해서만 메시지를 전달할 수밖에 없으며, 대부분의 많은 메시지가 이런 식으로만 전달하기엔 적합하지 않은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그다지 효율적이라 볼 수 없다. 이에 7계층의 컨텐츠 스위칭 기법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직접 사용자별 혹은 목적지 별 메시지를 사용자가 접속하려는 사이트나 해당 컨텐츠의 저작권과 관계없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서버 클러스터 환경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학습기반의 서버 전원 모드 제어

        함치환 ( Chihwan Ham ),김호연 ( Hoyeon Kim ),곽후근 ( Hukeun Kwak ),권희웅 ( Huiung Kwon ),김영종 ( Youngjong Kim ),정규식 ( Kyusik Ch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서버 클러스터는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요청 수에 상관없이 미리 측정된 최대 부하 시점에서 처리 가능한 서버 수를 항상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서비스의 품질은 보장할 수 있으나, 소비 전력 효율이 낮아 상당한 전력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요청 수에 기반하여 동작시킬 서버의 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에 학습된 정보(과거 정보)와 현재의 정보에 근거하여 Off/Sleep 상태의 서버를 On 시키거나, On 상태의 서버를 Off/Sleep시켜, 현 시점에서 필요한 최적의 서버대수를 유지하도록 했다. 15대의 서버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SPECweb을 통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서버 모드를 제어할 경우에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약 35%의 전력이 절감되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학습 방법을 추가로 적용할 경우 약 5%의 전력이 추가로 절감되었다.

      • 서버 클러스터 환경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서버 전원 모드 제어에서 동적 종료

        함치환 ( Chihwan Ham ),김호연 ( Hoyeon Kim ),김동준 ( Dongjun Kim ),곽후근 ( Hukeun Kwak ),권희웅 ( Huiung Kwon ),김영종 ( Youngjong Kim ),정규식 ( Kyusik Ch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기존의 서버 전원 모드 제어에는 서버를 Off할 때 정적 종료 방식을 사용하는 관계로 서버가 사용자 요청을 모두 처리하는 최적의 종료 시간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을 가진다. 이 시간이 짧게 되면 사용자 QoS를 보장할 수 없고, 반대로 이 시간이 길게 되면 전력 절감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 종료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는 동적 종료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최적의 종료 시간을 찾을 필요 없이 각 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을 모두 처리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서버를 Off한다. 제안된 방법은 최적의 시간을 자동적으로 찾아내기 때문에 사용자 QoS를 보장하고, 전력을 절감한다. 실험은 30대의 PC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수행되었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동적 종료 방법이 기존의 정적 종료 방법에 비해 운영자의 수고 없이 자동적으로 전력 절감 및 사용자 QoS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 클러스터링 기반의 무선 공유기에서 SSID Hiding을 이용한 대역폭 이용률 극대화

        윤영효(Younghyo Yoon),김명원(Myungwon Kim),곽후근(Hukeun Kwak),권희웅(Huiung Kwon),고중식(Joongsik Ko),김유민(Ko Yumin),정규식(Kyusi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D

        무선 공유기란 사설 IP 여러 개를 생성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사용하여 회선하나를 여러 사용자가 무선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가 무선 공유기를 사용할 때 2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는 사용자가 무선 공유기를 사용하려는 시점에 여러 개의 무선 공유기가 존재한다면, 어떤 공유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가에 문제이다. 두 번째는 첫 번째 과정을 통해 선택된 무선 공유기가 무선 공유기 중에서 최대의 대역폭을 보장해주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SID Hiding을 이용한 무선 공유기의 성능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여러 개의 무선 공유기가 존재하면 이중에 가장 좋은 성능을 가지는 공유기만을 사용자에게 보이게 함으로써 기존 무선 공유기가 가지는 2개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