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 해외 주요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지연(Ji-Yeon Lee),권효원(Hyo-won Kw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진로교육의 4대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노르웨이·스웨덴·영국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지향가치(철학), 정책 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4대 핵심영역이란 ①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진로교육·진로지도 콘텐츠, ② 진로담당인력의 전문성·역량 함양, ③ 진로교육 전달방식, ④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지원하는 진로교육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역별 해외사례의 정책과 실제를 분석하여 각 영역을 아우르며 관통하는 지향가치(철학) 12개를 추출하고 우리나라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가치(철학) 7개를 선별하고 4대 영역별 정책 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하여 지향가치(철학)에 대한 중요도와 시급성은 전문가 FGI 및 온라인 설문조사, 콜로키움 및 국내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4대 핵심 영역별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들은 전통적인 초·중등단계 학생 대상의 진로교육으로부터 혁신적인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패 가능성을 조기에 예방하는 전제조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진로교육의 혁신이 단순한 내부적 변화뿐 아니라 다양한 부처와의 협업과 진로개발 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 등과 같이 진로교육의 외부 환경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모든 국민의 생애 진로개발을 지원하는 확장된 진로교육의 순기능을 활성화한다는 관점과 모든 교육(훈련)·고용·평생학습의 중심에 진로교육의 철학이 반영되어야 하는 진로교육 본위론(本位論的) 철학의 공감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uch innovative models by finding best practices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hrough reviewing overseas cases that can be adapted for career-educational contexts in Korea. Not only will this help prevent failures of future career development policies but also present in-depth recommendations for inno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four particular areas: 1) School curricula and contents, 2)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3) Delivery methods, 4) Career education for disadvantaged groups. Furthermore, we consider values (i.e. philosophies) extrapol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that were discussed via meetings, in-depth interviews, FGIs, colloquiums, and a seminar with career education experts. Finally, the results were further validated by an online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the political agenda reflecting those values. The core valu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most significant and necessary for innovativ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Korea turned out national obligation, compulsory curriculum, professionalization(expertise), collaboration & cooperation, social integration, accessibility, and endogenous principles of career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re values (philosophies) are found to be serving as the primary direction for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over the entire lifespan and lay the foundation for key strategies that shall be put forward for innovativ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Korea.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박 동(Tong Park),정지은(Jieun Jeong),박나실(Nashil Park),권효원(Hyo Won Kwon),김민석(Minseok Kim),최영렬(Young Real Choi)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재 양성과 진료교육의 방향 및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실시한 대학과 산업체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대학 신입생의 디지털 문해력 수준,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의 산업체 적합성, 대졸자의 디지털 분야 취업, 대졸자의 디지털 분야 창업,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정부의 디지털 분야 정책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해 두 집단 모두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여기서는 1) 대학 이전 초․중․고 단계에서 보편적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 2)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법률 제정 및 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구축, 3) 인공지능 등 디지털 분야 전문 교․강사 확충, 4)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대학의 디지털 특성화 대학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부 지원 강화, 5) 인공지능 융합교육(AI+X)을 위한 산학연 협력 촉진 등의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s and tasks of cultivating digital talents and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ing on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Korea is lagging behin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both groups showed negative evaluations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digital literacy level of college freshmen, career guidance for university digital talent training and suitability for industrial us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the digital field, activation of young entrepreneurs in the digital field of college graduates, overall satisfaction with college digital talent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government's digit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new policy measures in six areas. First, it is urgent to establish a system for universal digital talent cultivation not only in the higher education stage such as universities but also in the pre-university stage such as K-12. Second, it is necessary to enact laws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tal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towers at the government level. Third, the training and retraining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in the digital field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carried out in depth. Fourth,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local universities in danger of extinction can be converted into specialized universities in the digital field.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universities, industries, and local communities can cooperate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artificial intelligence. Fi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new start-up in the field of digital new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