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 연구를 위한 질적 접근의 한 대안으로서 맥락-패턴 분석

        권지성(Kwon, Ji-S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9

        이 글의 목적은 사회복지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질적 연구접근의 한 대안으로서 ‘맥락-패턴 분석’을 소개하고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개발하게 된 배경과 이 분석방법의 주요 발상들을 소개하고, 그동안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고 발표한 논문들의 주요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러한 일련의 학술 작업을 통해 구성된 맥락-패턴 분석방법의 절차와 방법들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이 글은 사회복지학이 사회복지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기반하여 사회복지학에 적합한 새로운 질적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으며, 후속연구를 통해 이 방법론이 더욱 정교해지고, 더 새로운 방법론들이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suggest the context-pattern analysis as an alternativ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inquiring social welfare phenomenon. To achieve this purpose, I describ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ing this analysis method, introduced main ideas of that, showed the main results of journal articles to that I applied this analysis method, and described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e context-pattern analysis. The implication of this article is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n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inquiring social welfare phenomenon, based on perspective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보육사 2교대 제도에 따른 시설 내 변화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권지성(Kwon Ji-Sung),김정득(Kim Jung-Deuk),상혜진(Sang Hye-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사들의 2교대 제도가 실시되면서 시설 내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교대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아동양육시설의 관리자와 보육사, 아동들을 대상으로 보육사와 아동의 생활, 시설전체에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 등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사들은 재충전의 기회가 생기고 근무조건이 좋아졌으며, 자기개발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 반면에 주인의식이 부족해졌다는 지적이 있었고, 아동의 경우에는 개별적인 돌봄이 가능해졌지만 애착관계 형성이 어려워졌으며, 혼란스러움이 있었고 파트너 보육사들간의 상호보완적인 양육이 가능해졌다. 시설 전체로 보면, 인적 자원이 양적, 질적으로 향상되었다는 점이 두드려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from adopting daily two-shift roster in child care institution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mainly from depth interview with managers, child care workers, and children in child care institutions adopting daily two-shift roster, and analysed these data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workers take the chance of recreation, their working conditions improved, they were participated in self-development activity, and they could make relationship with persons in social network. But, some participants worried about decrease of responsibility of workers.<br/> Second, one hand, possibility of high-quality care for child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possibility of improving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children is decreased. some children is confused by shift. But, most important strength is that partners have complementary parenting roles through discussion about parenting skills. They have developed communication skills by trial and error, and growed with children through sharing.<br/> Third, many qualified persons have applied for institution because of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hus institutions had the chance of adopting qualified workers. These workers have various abilities and resources, could mobilize resources from community, and could progress various programs and intervene for children. But, institutions had many difficulties in process adopting daily two-shift roster because of unstable financial support and previous structure. Most of participants worried about that local government may cut down a subsidy.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직원 채용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권지성(Kwon Ji-Sung),이은미(Lee Eun-Mi)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의 직원 채용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개모집과 다차원적인 선발방법을 통해 직원을 채용하기로 한 사회복지관과 접촉하여 심층면접과 관찰, 기록물 등을 통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채용과정 분석결과는 결원에서 채용 공고까지, 서류심사, 면접심사, 최종 선발과 발표, 임명의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제시하고 기관과 면접관, 지원자들의 관점을 반영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주제 분석을 통해 '역지사지', '경험을 통해 성장하기', '동상이몽', '사회복지에 특화된 채용방법의 부재'라는 주제들이 도출되었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직원 채용과정에서 사회복지조직들이 고려해야 할 실천적 지침들을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staff recruitment proc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providing specific practical implications for better practice in the process. To achieve this, we have contacted a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has decided to adopt open and multi-method approach in recruitment proces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ocuments review. Case study analysis has been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have been presented at five different processes, i.e. recruitment advertisement, documents screening, job interview, selection and result announcement, appointment. A number of themes has been raised such as 'By others faults wise men correct their own', 'Lessons from experience', 'No two men are of a mind', 'Lack of speciality in recruitment metho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se themes have been discussed in detail. In conclusion, we have made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both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job applicants concerning recruitment process.

      • KCI등재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권지성(Kwon Ji-s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기술지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 1년 정도의 기간에 쪽방 지역과 쪽방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참여관찰을 하고 쪽방 거주자들과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문화기술지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주체와 공간, 시간, 생활방식의 네 가지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쪽방 거주자들과 관련된 주체는 나, 우리, 그들로 파악하였다. 쪽방 거주자들이 살아가는 공간은 쪽방, 쪽방지역, 쪽방상담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이 존재하는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경험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쪽방 거주자들의 생활방식을 생존, 생계, 생활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생활방식을 생존계층, 생계계층, 생활계층으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책과 행정, 실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aily life of the residents in Jjok-bang. To achieve this purpose, I conducted an ethnographic approach. I contacted the residents in Jjok-bang, collected data from an in-depth interview, participative observation, documents, and analysed data by an ethnographic approach. In research findings, I presented four dimensions of the daily life: subject, place, time, way of life.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I', 'We', and 'They'. I investigated the residents' places that were categorized as three places such as Jjok-bang, a Jjok-bang region, and a Jjok-bang service center. I identified the residents' experiences in time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addition, I gain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way of life which was divided to survival, living, and life. Based on the results, I offer suggestions for policy, administration,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이직의 맥락과 패턴

        권지성(Kwon, Ji-Sung),박애선(Park, Ae-Sun),이미선(Lee, Miseon),이현주(Lee, Hyeon-Ju)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이직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7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맥락-패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 연구결과는 사례별 맥락-패턴 분석과 전체 사례에 대한 통합 맥락-패턴 분석으로 구성되었다. 개별 사례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은 시간(이직 이전/이직 과정/이직 이후) 차원과 수준(경험된 현상/경험의 의미/현상과 의미들이 연결된 맥락) 차원을 교차하여 각 사례의 이직 이전 맥락과 이직 과정의 맥락, 이직 이후의 맥락을 분석하였으며, 전체 과정에서 나타난 패턴을 파악하여 유형화하였다. 또한 각 사례의 맥락과 패턴, 거기에 연결된 현상과 의미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맥락-패턴 구조를 구성하였다. 통합된 맥락-패턴 구조는 네 개의 영역들로 구성되었다. 즉, 첫째는 이직 전의 조직, 둘째는 이직 후의 조직, 셋째는 이직 당사자인 사회복지사, 넷째는 사회복지사의 관계망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과 관련하여 사회복지 조직들이 고려해야 할 사회복지행정의 지침들을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ontext and pattern of turnover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s of turnover and analysed the data using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Research findings are composed of individual context-pattern analysis and integrated context-pattern analysis. In individual context-pattern analysis, researchers mixed time-dimension(before turnover/on the process/after turnover) and level-dimension(experienced phenomenon/meaning of experiences/context connected with phenomenon and meaning) and analysed the context of every stages and serial pattern. Also, we connected with each contexts and patterns and integrated the context-pattern of turnover. Integrated context-pattern structure is divided for four areas; organization before turnover, organization after turnover, social worker as a stakeholder of turnover, and network of social work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dministrativ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manage the turnover of social workers in social work fields.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퇴소생의 퇴소 후 생활 경험 연구

        권지성(Kwon Ji-Sung),정선욱(Jeong Sun-W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 퇴소생의 퇴소 후 생활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양육시설에서 퇴소한 지 5년 이상된 퇴소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제는 “고립무원”, “발목을 잡힘”, “미래를 향해 달려감”으로 나타났다. 고립무원은 ‘진짜 고아가 됨’과 ‘고군분투’로 구성되었다. 발목을 잡힘은 ‘시설, 떠나야 할 고향’, ‘시설 출신이라는 딱지’, ‘가족이 준 상처와 흔적’으로 구성되었다. 미래를 향해 달려감은 ‘시설에서 얻은 것’, ‘함께 일어서기’, ‘미래를 바라봄’, ‘현실을 박차고 달려나감’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시설 퇴소생들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dults after leaving the care of the institu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collected various data from participants who left child care institution more than five years ago and analysed these data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key themes namely, "isolation-helplessness", "being chained to their past", and "marching towards a better future". "Isolation-helplessness" is divided into "becoming a real orphan" and "fighting alone the unsupported". "Being chained to their past" are composed of "institution, a hometown that one needs to leave", "being marked as a institutionalized person" and "scars and marks". Lastly, "marching towards a better future" are grouped into "taking advantage of institutional experience", "helping each other", "drawing a fine picture of their future happiness" and "moving ahead sweeping aside all difficulties". Lastly,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wellbeing of adults that have left the institutional care.

      • KCI등재

        저소득층 자산형성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평가연구

        권지성(Kwon Ji-S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자산형성 프로그램을 평가하여 저소득층의 자산형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지침들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서울형 저소득층 자산형성 프로그램인 ‘서울 희망플러스통장’사업에 대한 질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의 참여자 98명 중 30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체계이론의 틀 내에서 귀납적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투입, 과정, 산출, 결과 요소별로 연구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들이 반영되었으며, 이밖에 자산형성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얻게 될 자산(돈)의 의미,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문화, 공공부문 지원에 대한 인식 등이 별도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서울 희망플러스통장’ 본 사업을 비롯한 자산형성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선을 위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et-building program for low-income individuals and to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about asset-building of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evaluation study for 'Seoul Hope Plus Savings Accounts Program' Seoul Welfare Foundation have implemented.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 with 30 participants of 98 program members, and analysed inductively applying systems theory. As results, 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input, process, output, and outcome, and themes such as 'the meaning of asset(money)', 'the culture participants are sharing', 'attitude about public assistance'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er presented guidelines for developing asset-building program.

      • KCI등재

        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

        권지성(Kwon, Jisung),류정희(Ryu, Jeong-Hee),이주연(Lee, Juyeon),이현주(Lee, Hyunjoo)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보호대상아동의 발생경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 중 아동보호 전담팀을 조기에 편성하여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자치구를 연구사례로 선정하였고, 이 자치구 내에서 아동보호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공공과 민간의 서비스제공자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 서비스제공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면접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연구결과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즉, 공공과 민간 실무자들의 입장에서 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술한 부분과 이 실무자들의 경험을 하나로 통합하여 맥락-패턴 분석결과를 제시한 부분, 그리고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드러난 주요 주제들을 기술하는 부분이다. 주제로는 “발생 원인 대 발생 경로: 단순화의 맹점”, “양육 능력 대 양육 의지: 무엇이 더 중요한가?”, “지켜지지 않는 원칙: 무엇이 아동에게 최선인가?”, “사례관리 체계들의 체계: 분리된 아동, 분리된 체계”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보호대상아동 발생경로를 중심으로 아동보호서비스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s of occurrence of children to be protected. The government has publicized the child protective system in Korea and has established public child protection teams at a local government level since October 2020. This study utilize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a local government that organized a child protection team at the beginning of the publicization of the child protection system. The participants were public and private service providers who directly or indirectly provided child protection service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xt-pattern analysis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ntext-pattern analysi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participants’experiences, included the main themes as follows: “the cause of occurrence versus pathways of occurrence: the blind spots of simplification”, “parenting capacity versus willingness to parent: which is more important?”, “principles not followed: what is the best for children?”, and “case management systems: separated children, separated systems.” The study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reorganizing child protection services.

      • KCI등재

        보호종료성인 자립지원사업에 대한 질적 평가연구 -A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권지성(Kwon, Ji-Sung),김선숙(Kim, Sun-Suk),정선욱(Jung, Sun-Wook),조소연(Cho, So-Yeun),이정애(Lee, Jung-Ae),안재진(Ahn, Jae-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 지원과 사회적 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한 자립지원사업이 보호종료성인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A재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호종료성인(대학생) 자립지원사업을 사례로 선정하고, 논리모델에 질적 평가 요소들을 덧붙인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 사업의 장학생으로 참여한 보호종료성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과 개별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과정요소에 대한 평가와 결과요소에 대한 평가로 구성되었다. 결과요소에 대한 평가에서는 이 사업의 목표인 학업유지와 자기계발 기회제공, 자립준비 역량강화와 지지체계 형성 등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예상치 못한 결과와 확장된 성과 등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이 사업의 성과목표를 확장하여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전체 사업의 구조와 과정, 세부사업들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mpact and meaning of self-reliance support projects centered on economic support and social capital formation for young adults aging out of child ca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ject funded by A foundation to support college students discharged from child care. An analysis framework was created with qualitative evaluation factors added to the logical model. College students discharged from child care who participated in A foundation’s support program were interviewed in focus group and individual sessions for the collection of the data. A qualitative approach was taken to describe and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isted of process evaluation and outcome evaluation. Findings from the outcome evaluation showed that the main goals of the program such as academic persistence, provision of self-development opportunities, enhancement of the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and support network building were achieved. In addition, unexpected outcomes and extended outcomes of the program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pansion of outcome objectives of the program was suggest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tructure, process, and specific projects were also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