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양파 재배 중 식이유황 methylsulfonlymethane 처리가 양파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권은진(Eunjin Kwon),류다연(Dayeon Ryu),서정희(Jeonghee Surh)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2

        국내 토양층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원소인 황을 양파 재배 중처리함으로써 유황 처리가 식품 소재로서의 양파의 품질특성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5,000 ㎡ 농지를 세 구역으로 구분하여, 식이유황 MSM을 수확 2달 전 1달 간격으로 2회 처리한 군(S-1), 파종 시 토양에 직접 1회 처리하고 이후 수확 2달 전에 1회로 추가 처리한 군(S-2), MSM 유황을 처리하지 않고 재배한 양파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수확 이후 3종 양파의 품질 특성은 화학적 조성, 물리적 특성, 관능적 특성 분석으로 구분하여 비교ㆍ평가하였다. 3종 양파 모두 유황의 처리 유무 및 시기에 관계없이 칼슘(Ca)과 철(Fe)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이는 양파의 무기질 조성에 유황의 일시적 처리 유무보다는 지역 토양 자체의 특성이 더 크게 작용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양파의 대표적 유기 황 화합물인 thiosulfinate와 총 환원력은 파종 전 유황을 토양에 직접 처리한 S-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20%와 2.9배 높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유황 처리 유무 및 처리 방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종 양파 모두 매운 맛과 향은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아 화학적 조성의 차이가 관능적으로 인지 가능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었다. S-1, S-2양파는 대조군에 비해 낮은 명도로 그 색이 등색에 가까웠으며, 유황 처리로 양파의 색 특성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켰다. 양파의 아삭거리는 정도에 대한 물리적 지표로 선정·평가된 경도와 저작성은 양파의 압착 방향에 따라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는 S-1, S-2 양파에서 대조군 보다 높은 저작성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수준의 차이는 아삭함의 관능적 특성 및 그 기호도에는 유의적 차이를 유발하지 않았다. S-1, S-2 양파는 대조군과 비교 시 종합적 기호도에서 서로 다르지는 않았으나, 양파의 색과 단맛에 대한 기호도를 상승시켰다. 특히, S-2 양파에서 관찰된 thiosulfinate 증가와 총 환원력 증가 결과는, 토양층이 적정 유황을 함유할 수 있도록 지속적 유황 처리가 이루어진다면 양파의 기능성과 관능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wo types of onions cultivated with different methods of sulfur application (designated as S-1 and S-2) were examined for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then compared with onions without sulfur application as a control. During cultivation, dietary sulfur methylsulfonylmethane (MSM) was sprayed on the leaves twice starting at 2 months before harvest, with one month intervals for S-1. For S-2, the MSM was applied once onto surface soils before sowing, and then once again on the leaves at 2 months before harvest. Thiosulfinate, a major sulfur-containing compound in onions, increased in the order of control, S-1, and S-2, without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strength of spicy hot taste and flavor. The S-2 onions demonstrated a total reducing capacity three times higher than control and S-1 did. It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sulfur would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onions under the condition where sufficient time is given for soil mineralization.

      • KCI등재

        간호 술기 가상현실(VR)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학습몰입, 술기자신감, 술기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사용성 검증

        정애리(Ae-Ri Jung),권은진(EunJin Kwon),서지영(Jiyoung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 목적은 간호학생의 간호 술기 VR(Virtual Reality)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술기 자신감, 핵심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콘텐츠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 29일부터 12월 16일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부천 소재 B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7명 중 실험군 60명, 대조군 57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²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수준인 학습행동-사고의 통합영역(t=2.78, p <.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술기자신감(t=3.53, p =.001)과 술기 수행능력(t=3.55, 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용성 검증 결과 100점 만점에 78.13±9.80으로 나와 시스템 사용성이 수용 가능하며 등급상으로 좋음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간호 술기 VR 시뮬레이션 콘텐츠가 술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며, 향후 다양한 교과목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nursing skills 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program on the learning flow,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nd performance of the nursing students, and to verify its usabil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6, 2021, with 117 second-grade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60; control group, 57) at University in Bucheon.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n inequality control post hoc desig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he χ²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the SPSS 28.0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f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merging action-awareness performance (t=2.78, p <.01).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nfidence in the nursing skills (t=3.53, p =.001) and performance (t=3.55, p =.001) of the nursing students. The usability verification score was 78.13±9.80, indicating that the system usability was acceptable, and the grade was good. Therefore, the nursing skills VR simulation program may be termed effective for improving skills and could be expanded to various other subjec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