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가 만들어 가는 세계 - 자본의 공통장과 기존 질서를 유지하는 ‘참여’ 전략으로서의 공유경제

        권범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1

        In today’s social and ecological reproduction crisis, sharing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ool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create new values. The sharing usually takes the form of invitations to participate through the platform, presupposing that we can solve something together. However, the doing together mechanism appears to form a specific ‘we’ from above rather than autonomous solidarity from below, causing various problem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of sharing as a strategy for subsumption of capital in order to examine the problem. At first, it divides the two functions of capitalist sharing into economic functions and political functions in Section 3. While the former is to form the commons of capital that works for free or at low cost for sharing enterprises, the latter provides a way to ‘participate’ to those who may fall into depression or engage in subversive behavior in a crisis situation. It is to maintain the existing order that has created a crisis so far. In Section 4, it analyzes the world produced by capitalist sharing with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several sharing companies. Here, we examine what kind of unwaged labor we perform in social factories to form the commons of capital, and how sharing enterprises produce an “unknown, unreachable, and uncontrollable world” that turns us into believers. And finally, it analyzes the way in which sharing enterprises produce a society that imposes endless work while accepting the work refusal in a distorted way. In short, sharing is functioning as a good way for technology companies to absorb our lives as labor. This article attempts to reveal the complex social terrain surrounding sharing while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various aspects of such an subsumption strategy. 오늘날 사회적·생태적 재생산 위기 상황에서 공유가 사회 문제 해결과 새로운 가치 창출의 도구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한 공유는 대체로 우리가 함께 무언가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전제로 하면서 플랫폼을 통한 참여를권유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 함께 하기의 메커니즘이 아래로부터의 자율적인 연대가 아니라 위로부터 특정한 ‘우리’를 조성하는 것으로 출현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를야기한다. 이 글은 그 문제를 살피기 위해 자본의 포섭 전략으로서 공유의 역할에 주목한다. 우선 3절에서 자본주의적 공유의 두 가지 기능을 경제적 기능과 정치적 기능으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전자가 공유기업을 위해 무상으로 혹은 저렴한 비용으로 작동하는 자본의공통장(commons)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위기 상황에서 우울감에 빠지거나 전복적인 행동에 나설 수도 있는 이들에게 ‘참여’ 방안을 제시하여 지금까지 위기를 만들어온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다. 4절에서는 여러 공유기업의 작동을 사례로 자본주의적 공유가 만들어 가는 세계를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는 우리가 사회적 공장에서 어떤 비임금 노동을 수행하며 자본의 공통장을 형성하는지, 공유기업은 어떻게 ‘알 수 없고, 다가갈 수 없으며, 제어할 수 없는 세계’를 만들어 우리를 일종의 신도로 만드는지 살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유기업이 노동 거부를 왜곡된 방식으로 수용하면서 오히려 끝없이 일을 부과하는사회를 만드는 방식을 분석한다. 요컨대 공유는 기술기업이 우리의 삶을 노동으로 흡수하기 위한 좋은 방편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 글은 그러한 포섭 전략의 여러 측면들이 지닌 함의를 드러내면서 공유를둘러싼 복합적인 사회적 지형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에서 도시 커먼즈의 흡수 : 창조도시 전략과 예술 행동을 중심으로

        권범철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3

        This study deals with the risk of absorption of commons under neoliberalism, centered on art squat and creative city strategy. Creative city strategy seeks to utilize the activities of communities mobilized for solving social problems more productively. In other words, the strategy that aims to make socially produced creativity as the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is concerned with how to cultivate it socially, assuming that the immaterial qualities of creativity occupy an increasingly important place in contemporary economy. This discourse of creative city shares a point similar to the social factory and the biopolitical production concept that understand that society as a whole becomes the moment of production. However, the creative city discourse makes a crucial difference from the autonomist Marxism writers in that it tries to utilize real subsumption(social factory) positively and ‘productively’. In this regard, we can understand the creative city as a biopolitical machine that integrates life activities into labor, or ‘productive’ security dispositif. In the process, artists’ commons are being transformed from the basis of autonomous life into an instrument for improving urban competitiveness. These points indicate that commons are in a complex situation today. Commons emerged as an alternative in the threat of neoliberalism, but anti-capitalist subjects were not the only ones to pay attention to it. As the neoliberal program as a accumulation strategy reveals its limit, the commons began to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it. At this time, the commons was the exit chosen by capital as an alternative to neoliberalism (as opposed to capital). As a similar case, community is called as the subject to solve social problems. Thus the commons are not a sound discourse as an alternative to the state and market, but are being polluted as with many other languages under capitalism. Now, it is time to reclaim the commons from the ongoing process. At this time, the class analysis of the commons can be a tool to open the way for reappropriation away from the risk of absorption. 본 연구는 예술 스쾃과 창조도시 전략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하에서 커먼즈(commons)가 처한 흡수의 위험을 다룬다. 창조도시 전략은 오늘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동원되는 공동체의 활동을 보다 ‘생산적으로’ 활용하려 한다. 다시 말해사회적으로 생산되는 창조성을 경제 발전의 토대로 삼고자 하는 창조도시 전략은창조성이라는 비물질적 특질이 오늘날 경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전제하면서, 그것을 어떻게 사회적으로 배양할 것인가에 관심을 둔다. 이러한창조도시 담론은 사회 전체가 생산의 계기가 되었다고 이해하는 사회적 공장 및삶정치적 생산 개념과 유사한 지점을 공유한다. 그러나 창조도시 담론은 자율주의적 마르크스주의 계열의 논자들이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실질적 포섭의 상황(사회적 공장)을 오히려 긍정하면서 ‘생산적으로’ 활용하려 한다는 점에서 두 관점은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창조도시를, 삶 활동을 노동으로 통합하는 삶정치적 기계, 즉 ‘생산적인’ 안전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예술가들의 커먼즈는 자율적 삶의 기반에서 도시 경쟁력 향상의 도구로 흡수되고 있다. 이러한 지점은 오늘날 커먼즈가 복합적인 상황에 처해 있음을 말해 준다. 신자유주의의 위협과 더불어 대안으로 부활한 커먼즈에 주목한 것은 운동하는 주체들만이 아니었다. 축적 전략으로서 신자유주의 프로그램의 한계가 뚜렷해지면서 커먼즈는 그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되기 시작했다. 이때 커먼즈는 (자본이 아니라)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자본이 선택한 출구였다. 사회적 재생산이위기를 맞은 오늘날 공동체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호명되는 일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커먼즈는 국가와 시장의 대안으로서 굳건한담론이 아니라, 자본주의 아래 있는 다른 많은 언어들처럼 오염되고 있다. 지금은현재 진행 중인 그 과정으로부터 커먼즈를 되찾을 시간이다. 이때 커먼즈에 대한계급적 관점은 흡수의 위험에서 벗어나 재전유를 향한 길을 여는 도구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피지털계를 공통화하기 : 이광석, 『피지털 커먼즈: 플랫폼 인클로저에 맞서는 기술생태 공통장』

        권범철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1

        In Phygital Commons , Kwangsuk Lee brings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data society, platform apparatus, the sharing economy and city, copy left movements, the anthropocene, and the Green New Deal to the phygital sphere and examines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ons. In this sphere, the logic of the platform overwhelms the order of the material world. In other words, the dominant grammar of enclosure traps the activities of the multitude into the value circuit of capital. However, the phygital sphere is also an opportunity for the potential to construct an alternative society. Kwangsuk Lee closely analyzes this accumulation strategy of capital but does not miss the possibility of reappropriation to reverse it. As interest in the commons increases, a number of studies have addressed it, but attempts to situate the commons in various fields are rare.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hygital sphere that is emerging today, he critiques the commons discourse that focuses on small communities. The commons, he thinks, are not weak forces that occasionally appear in the interstices in capitalism, but powerful forces that can reverse the mechanism of capitalist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lies in its search for ways to overturn the grammar of the phygital sphere. And its usefulness will be even greater when we are engaged in this project together. 이광석은 피지털 커먼즈 (갈무리, 2021)에서 데이터사회, 플랫폼 장치, 공유경제, 공유도시, 카피레프트 운동, 인류세, 그린 뉴딜 등 오늘날 우리가 그냥 지나칠 수없는 중요한 문제들을 피지털계로 데려와 커먼즈의 관점에서 살핀다. 이 피지털계에서는 플랫폼의 논리가 물질계의 질서를 압도한다. 즉 다중의 활동을 자본의 가치회로 속으로 가두는 인클로저의 문법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피지털계는 그와 동시에 대안 사회를 촉매하는 잠재성의 계기이기도 하다. 이광석은 이렇게 양가적인 계기를 갖는 피지털계에서 우리의 삶을 가두는 자본의 축적 전략을 면밀하게 분석하면서도 그 전략을 뒤집을 수 있는 재전유의 가능성을 놓치지 않는다. 커먼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이책처럼 다양한 분야의 커먼즈를 아우르는 시도는 드물다. 그는 특히 오늘날 출현하는 피지털계에 주목함으로써 커먼즈 담론이 빠지기 쉬운 소규모 공동체 논의에 균열을 낸다. 그가 생각하는 커먼즈는 자본주의 틈새에만 가끔씩 출몰하는 약한 세력이 아니라 자본주의적 기술 메커니즘을 그대로 뒤집을 수 있는, 그래서 책의 부제처럼 “플랫폼 인클로저에 맞서는 기술생태 공통장(commons)”이다. 요컨대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인클로저가 지배적인 문법으로 작동하는 피지털계에서 그 문법을 뒤집을 가능성을 계속해서 찾아 나선다는 사실 자체에 있다. 그리고 우리가 그 길에 함께할 때 이 책의 쓸모는 더욱 커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