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위한 Prebiotic 소재로서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물의 가치

        이수정(Su Jung Lee),권규택(Gyoo Taik Kwon),정이형(Yi Hyung Chung),유종상(Jong-Sang Yoo),조경훈(Kyung-Hoon Cho),김용석(Young-Suk Kim),장한수(Han Su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6

        곤충은 세계의 중요한 미래 산업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곤충은 “곤충산업법”으로 불리는 정부 지원정책으로 대중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곤충은 천연식품으로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 B 등의 영양적 가치가 높고 동물사료에도 적합하다. 현재 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유충(밀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후 아미노산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을 이용한 사료를 제작하여 8주 동안 BALB/c 마우스에게 제공한 뒤 장내 미생물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료를 8주 동안 제공했을 때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각 그룹의 장내 미생물 전체 수는 변하지 않았다. 일반세균, 대장균 및 대장균군 모두 그룹 간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으나, FM 그룹에서 장내 유산균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물이 인간의 장내 환경개선을 위한 prebiotics로서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인간에 대한 추가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sects are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s important future industrial resources. Insect farming attracts public attention for commercialization especially in Korea, partly because of government subsidies and also support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so-called “insect industry law”. Insects have a high nutritional value and contain protein, amino acids, vitamin B, etc., and are suitable for animal feed following the natural food web. Currently, crickets and mealworms are the most widely utilized in this regard. In this study, we measured amino acid changes in fermented mealworms (Tenebrio molitor L.). In addition, control, positive, and fermented mealworm (FM) diets were provided to BALB/c mice for 8 weeks. There was no change in dietary and body weight during the 8 week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intestin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M group. There was no change in the total number of microbiota in each group nor was there any change in the general bacteria, E. coli, and E. coli form.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mealworm can be considered as a dietary prebiotic to improve the microbiota diversity of the human intestinal environment. However, further study for human application is necessary.

      • SCOPUSKCI등재

        등골나물 추출물이 인간의 유방암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

        우은영(Eun Young Woo),박소영(So Young Park),권수진(Soo Jin Kwon),권규택(Gyoo Taik Kwon),김종대(Jong Dae Kim),임순성(Soon Sung Lim),윤정한(Jung H.Y.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등골나물은 국화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 폐렴, 황달, 홍역, 요통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골나물의 꽃 부위를 추출하여 등골나물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농도(0-20 μg/mL)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TIMP-1의 발현은 감소시킨 반면 TIMP-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등골나물 추출물은 uPA, VEGF 그리고 ICAM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특히, 등골나물 헥산 분획물이 유방암세포의 이동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 uPA, TIMP-1 및 ICAM의 감소, TIPM-2의 증가를 통해 유방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효능을 지닌 등골나물 추출물을 암전이에 효과가 있는 암예방제나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metastatic effect of Eupatorium japonicum extract (EJE) o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was investigated. MDA-MB-231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JE (0, 5, 10 and 20 μg/mL). EJE inhibited cell migration, invasion and adhesion of MDA-MB-231 cells in dose-dependent manners. Gelatin zymography exhibited that EJE significantly down regulated secre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nd MMP-2. EJE de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1 but increased TIMP-2 levels. Additionally, EJE reduced the protein and mRNA levels of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 In several solvent fractions of EJE, the hexane fraction markedly decreased MDAMB-231 cell migration. Thus, these finding suggest that EJE may be a potential antimetastatic agent, which can considerably inhibit the metastatic and invasive capacity of breast cancer cells.

      • KCI등재

        청시닥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이한나(Han Na Lee),김진규(Jin Kyu Kim),권규택(Gyoo Taik Kwon),심재훈(Jae-Hoon Shim),김종대(Jong Dai Kim),윤정한(Jung Han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9

        본 연구를 통하여 청시닥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은 쥐 대식 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시닥나무 목질부와 수피부에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한 뒤 그 추출물과 분획물의 NO 생성능 및 세포증식능을 실험한 결과 수피부의 EtOAc 분획이 세포증식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NO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청시닥나무 수피부 에탄올 추출물 EtOAc 분획(EFEBA)은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생성된 NO의 분비와 iNOS의 단백질 및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염증 반응 시 생성되는 IL-6, IL-1β 그리고 TNF-α의 mRNA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IκBα의 degradation을 감소시키고 p65의 인산화를 감소시켜 NF-κB signaling을 통해 염증작용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Acer barbinerve Maxim belongs to the Aceraceae tree family and is often consumed as a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ethanol extract from the bark of A. barbinerve Max. (EBA) inhibit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264.7 macrophages. EBA was fractionated using n-hexane, CH2Cl2, ethyl acetate (EtOAc), and water. Raw264.7 cells were treated with 20 μg/mL of EBA and the EBA fractions. EBA inhibited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mong the three fractions, EtOAc fraction of EBA (EFEBA) w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ng LPS-induced NO production without significant cytotoxicity in Raw264.7 cells. EFEBA futher reduced LPS-induced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proteins and its corresponding mRNA. Additionally, EFEBA decreased the mRNA levels of interleukin (IL)-6,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LPS-treated Raw264.7 cells. Lastly, EFEBA inhibited LPS-induced degradation of the inhibitor of kappaBalpha (IκBα) as well as phosphorylation of p65 nuclear factor-κB (NF-κ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EBA exhibits strong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an be developed as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거저리 유충(밀웜) 가수분해물의 장내 미생물 연구

        신대근(Daeguen Shin),이수정(Su Jung Lee),최혜란(Hye Ran Choi),정이형(Yi Hyung Chung),장한수(Han Su Jang),유종상(Jong-Sang Yoo),조경훈(Kyung-Hoon Cho),권규택(Gyoo Tai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3

        밀웜 가수분해하여 30 kDa, 100 kDa으로 분리하였으며, 이를 식이로 제작하여 BALB/c 마우스에 8주간 공급하였다. 30 kDa, 100 kDa의 밀웜 가수분해물의 공급은 장내 유산균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맹장을 이용한 NGS 분석을 통하여 밀웜 가수분해물을 통한 Bifidobacteriaceae, Barnesiella 및 Parabacteroides 균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밀웜 가수분해물은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증식을 증가시키므로 외인성 미생물 증식 억제 및 항염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Insect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important future industrial resources in the world. Insect farming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for commercialization, especially in Korea, partly because of the government subsidy and support based on the legislation of so-called ‘insect industry law’. Insects have high nutritional values of protein, amino acid, and vitamin B, and are suitable for animal feeds following the natural food web. Currently, crickets and mealworms are utilized widely. In this study, control, positive, and mealworm hydrolysate (30 kDa and 100 kDa) diet feeds were provided to Balb/c mice for eight weeks. The diet did net change over the eight week perio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intestin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ose fed the mealworm hydrolysate. No change in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was observed in each group, and neither Escherichia coli nor the E. coli group showed a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lworm hydrolysate can be considered as a dietary prebiotic to improve the human gut microbial population, but further application studies on humans will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