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미국공보원 한국지부 전시와 그 영향

        국성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e Korean branch of the U. S. Information Service(USIS/Seoul) has worked in numerous areas, including movies, publishing, broadcasting and exhibitions, to spread the U. S. government’s political and cultural ideas to Koreans. Since the mid-1950s, exhibitions have been held to introduce American culture and science. After 1960s, USIS/Seoul set up 「Country Plan for Korea」 and made many exhibitions such as subject of science, economic, anti-communist. The exhibition of USIS/Seoul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ntroduced by the Korean branch itself. Among the exhibitions of the USIS/Seoul, there was an exhibition that focused on that period. [Atoms-for-Peace] exhibition, [anti-communist] exhibition are those exhibition. There was also an exhibition considering the political situation. There were exhibitions of [Great Ideas of Mankind] during the April 19 Revolution and election exhibitions that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election of President John F. Kennedy. Several exhibitions related to space science were also held in connection with the competition for space development with the Soviet Union. These exhibitions include the [Pioneer V Satellite] Exhibition. USIS/Seoul thought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ns were positive about U. S. policies and activities. Nevertheless, USIS/Seoul continued their exhibition activities out of the need for psychological influence to continue to support the United States by Koreans. USIS/Seoul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exhibition after the exhibition. Not only quantitativ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Koreans who watched the exhibition, but also the direct evaluation of Koreans and expression in newspaper articles were checked. The exhibition by USIS/Seoul served as a tool for Koreans to think positively of American culture, politics, and science. 미국공보원 한국지부는 미국의 정치사상, 문화를 한국인들에게 전파하기 위해 영화, 출판, 방송, 전시 등의 영역에서 노력했다. 전시는 주로 서울 미국공보원 문화관과 부산 등의 미국공보원을 이용하였다. 1950년대 중반부터는 공간을 대여하는 전시뿐만 아니라, 미국의 문화 등을 소개하는 전시를 열었다. 1960년대에는 한국에서의 공보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공, 경제, 과학 등의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진행했다. 미국공보원 서울지부의 전시는 자국의 공보원에서 제작한 전시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하기도 했고, 서울지부에서 직접 기획, 제작한 전시도 있었다. 미국공보원의 전시는 1960년대부터 보다 활발해졌는데, 대표적인 전시로는 1960년 [평화를 위한 원자력], 1961년 [베를린 : 소련이 만들어 낸 위기], [반공전시회] 등이 있었다. 정치적 상황을 고려한 전시도 있었다. 1960년 4⋅19혁명 이후 개최했던 [인류의 위대한 사상들] 전시,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전후해서 진행되었던 [선거] 전시, 1963년 베트남에서의 상황을 다룬 [베트남에서의 게릴라 전쟁] 전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소련과의 우주개발 경쟁과 연관해서 우주과학과 관련된 전시도 개최되었는데, 1960년 [파이오니아 인공위성] 전시 등이 있다. 미국 공보원은 한국인들에게 미국을 계속적으로 지지해 줄 심리적 영향의 필요에서 전시활동을 계속해 나갔다. 미국 공보원은 각 전시를 진행한 이후 해당 전시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전시에 참가한 양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의 직접적인 평가 등을 점검했다. 미국 공보원의 전시는 냉전이라는 체제 아래서 한국인이 미국의 문화, 정치, 과학 등을 긍정적으로 여기게 하는 도구로 기능했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 박물관의 교육적 의미

        국성하 한국교육사학회 2003 한국교육사학 Vol.25 No.1

        The inten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eums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Hereby, the following issues are in question. First, how was the procedure of reopening museum. Second, how did the museums have changed. Third, what w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eum during this period. Outcome of research comes into the following conclusion. After the Independence, three years of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was the essential period for Korean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museum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Japanese colonization. Under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Japanese was handing over museums to Korean smoothly. These actions allowed museums to have plenty of exhibitions - the key components to museum. At the same time, it means Japanese collection and its category have been affected to these days. During the US military adminstration, Korean museums has changed into the part of the national museum system. Newly founded museums were for injecting fresh vigor to Korean museums. Through management of museums under the national museum system, museums were to enhance its value and stature, not the museums of Chosum Governor General but Korean. In US military administration period, various activities were resumed and unfolded, contrast to the latter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Exca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restarted as well as the reopening of the museums. These activities gave Korean intellectual chances to hand over the cultural contexts, which accumulated by leading role of Japanese intellectual. Thus, museums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have following educational significances. First, in spite of new ownership from Japanese to Korean, the exhibitions in museums remains, the same contents and way which Japanese had collected and displayed with their own intention. Moreover, as Japanese neglected the raising of Korean museum experts on purpose, though Independence, Japanese had to help museum to collect and arrange the relics for a while. These caused a lesser attention to visitors. Second, although superficially museums was changed into the new museum system, in the reality, the organizational changes and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new museums were the all what had happened. Most museums were extended from Japanese colonization to US military administration. These caused the negative influence : continuing the course and custom set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nevertheless, "dynamic" could be felt outer and inner part of museums during US military administration. The establishments of new museums, the arrangement of scientific activities and the excavation of relics shows that museums did centripetal role for various activities. These could be expressed "dynamic", and are related to Korean museum development to these days.

      • 교육공간으로서의 박물관 : - 1909년부터 1945년을 중심으로

        국성하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8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

        박물관 건물 그리고 그 안의 유물․자료들을 관람자들이 들어가서 보게 될 때 느끼 는 호기심, 그리고 새로움은 박물관을 교육적인 공간으로 기능하게 한다. 관람자의 느 낌은 박물관 건물이 새로운 건물인가, 혹은 예 건물을 이용한 것인가, 그리고 그 내부 공간의 구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또한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생각 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기(1909-1945년)의 박물관 건물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박물관 건물이 위치한 곳에 대한 의미도 검토해 보았고, 그 결과 다음과 같 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전통한옥의 건물에 박물관이 만들어진 경우이다. 물론 박물관 건물을 만들기 위한 경제적인 여건이 좋지 않아서 전통한옥 건물을 박물관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 았겠지만, 문과 벽을 열어 올릴 수 있는 개방적인 전통한옥의 구조 때문에 전시공간으 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였다. 또한 관람자들이 보고 생활해 오던 건물이기에 친근한 느 낌으로 이 공간에 드나들 수 있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래서 그 안에 예전에 볼 수 없었던 토기, 석기류, 고려자기, 청동기 등의 유물들이 위치에 있더라도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이 공간을 바라보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건물에 박물관이 만들어진 경우도 있었는데, 은사기념 과학관과 시정기념관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옛 조선총독부와 총독관저를 이용했던 것인데 이 공간들은 전통한옥의 공간보다 그 규모가 컸으며, 일본인들은 조선인들에 게 일종의 시혜적인 차원에서 과학관을 만들고, 일본인의 이른바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서 시정기념관을 만들었다. 이러한 경우 박물관은 식민지화된 일본을 선전하는 도구 로서 기능하게 된다. 셋째, 박물관을 위해 새로운 건물을 만든 경우이다. 대표적인 건물들은 이왕가박물 관 본관, 이왕가미술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조선총독부미술관, 조선총독부박물 관 경주 분관의 금관고 등이다. 이 건물들은 새로운 박물관의 중심 건물로서 그 건설 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다. 특히 이왕가박물관 본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은 기존의 전통한옥을 중심으로 한 전시관의 중심에 있으면서, 대부분의 중요한 유 물․자료들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기능했다. 쇼케이스가 놓여지고, 관람공간이 시대별 로 구분되는 등 오늘날의 박물관 공간과 크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