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왜가리(Ardea cinerea)의 번식생태

        김정수(Jung-Soo Kim),구태회(Tae-Hoe Koo)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경기도 평택의 백로류 집단 번식지에서 2000~2001년에 왜가리(Ardea cinrea)의 번식생태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왜가리 둥지의 높이와 수간으로부터의 거리는 한 나무에 왜가리가 홀로 둥지를 틀거나 다른 백로과 조류와 함께 번식을 할지라도 둥지의 높이와 수간으로부터의 거리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한배산란수와 최초, 최종 한배새끼수는 년도 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2001년 조사에서는 최초 한배새끼수와 한배산란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ANOVA, p<0.01), 최종 한배새끼수와 한배산란수는 연구기간 동안 모두 유의한 차이(ANOVA, p<0.01)가 나타났다. 둥지 별로 최종 한배새끼수를 비교해 보면 한배산란수는 2001년에 최초 한배새끼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2000년과 2001년의 최종 한배새끼수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최초 한배새끼수는 연구기간 동안 최종 한배새끼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한배산란수와 최초, 최종 한배새끼수는 다른 연구의 범위 내에 있었다. 새끼의 무게와 부척의 성장률은 연구기간 동안 차이가 없었으나, 날개와 부리길이는 년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We studied the breeding ecology of Grey Herons Ardea cinerea in Pyeongtaek, Gyeonggi-do, Korea during 2000 and 2001. Nest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height and distance of nest from the tree trunk of Grey Herons were not different when nesting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Heron and Egret species. The mean clutch size, initial brood size and final brood siz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years. The initial brood siz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lutch sizes in 2001 (ANOVA, p<0.01). The final brood size differed among clutch sizes in both years (p<0.01). Comparing the final brood size per nest, clutch siz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brood size in 2001 and the final brood size in 2000 and 2001, but the initial brood size had not effect on final brood size in both years. Clutch size, initial brood size and final brood size were within the range of other studies. Mass and culmen-length growth rates of grey heron chicks did not differ between years, but wing and tarsus-length growth rates differed between years.

      • KCI등재
      • KCI등재
      • 연구논문 : 조류 다양성 확보를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개발

        채진확 ( Jin Hwak Chae ),구태회 ( Tae Hoe Ko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환경정책연구 Vol.4 No.1

        토지이용 강도가 높은 도시비오톱을 대상으로 조류다양성 확보를 위한 비오톱 면적지수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오톱 평가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조류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생태적으로 건전한 도시비오톱의 효과적인 복원방법을 계획하는 데 있다. 도시 비오톱에서 조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평가지수의 분석을 위해서, 각각의 사이트에 대해 비오톱 면적, 곤충종수, 인접도로와의 거리, 비오톱 면적지수를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비오톱평가 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조류종수와 곤충종수 > 조류종수와 비오톱 면적지수 > 곤충종수와 비오톱 면적지수 다시말해, 조류다양성은 실질적으로 곤충종수와 비오톱 면적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결과로부터 얻어진 등식은 조류종수는 6.124 × 비오톱면적지수 + 0.095 × 곤충종수 - 1.197 이다. 그러므로, 비오톱면적지수와 곤충을 위한 수직적 경관다양성이 유지된다면, 작은 면적의 비오톱이라 할지라도 도시지역에서 조류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n application method of biotope evaluation indexes to secure bird diversity on urban biotope that has high intensity of land us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lan the effective restoration method of sound urban biotope from the ecological aspects after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tope evaluation indexes. The biotope area, number of insect species, distance from adjacent road, biotope area index were surveyed on each designated site in order to analyze the evaluation indexes that influenced bird diversity in urban biotope.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iotope evaluation indexe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number of bird species and number of insect species > number of bird species and biotope area index > number of insect species and biotope area index, that is,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and biotope area index had a specific effect on the bird diversity. The equation derived from the above result is ‘number of bird species = 6.124 × biotope area index + 0.095 × number of insect species -1.197’ (R2 = 0.716, F = 27.743, P<0.001) Therefore, even a small area can be helpful for promoting bird diversity in the urban area if the biotope area index and diversity of vertical landscape for insects are maintained.

      •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오리과 3종의 중금속 농도비교

        임세랑(Se-Rang Im),권예인(Ye-In Kwon),김정수(Jungsoo Kim),구태회(Tae-Hoe Koo)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2006-2008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사망한 수금류(Waterfowl) 4종, 흰뺨겸둥오리(n=4), 쇠기러기(n=6), 홍머리오리(n=16), 청둥오리(n=20)의 간에서의 철(Fe), 아연(Zn), 망간(Mn), 구리(Cu), 납(Pb) 그리고 카드뮴(Cd) 농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 우리나라 야생조류의 중금속 오염 정도를 다른 지역의 야생조류 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드뮴(Kruskal-Wallis test, p=0.039), 망간(Kruskal-Wallis test, p=0.015), 아연(Kruskal-Wallis test, p=0.036)에서 원소별 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연은 쇠기러기가 홍머리오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망간은 청둥오리가 쇠기러기와 홍머리오리보다 높았으며, 카드뮴은 청둥오리가 홍머리오리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구리, 철 그리고 납농도는 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야생조류의 납과 카드뮴농도는 서식지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납은 물떼새류와 도요새류에서 가장 높았고, 카드뮴은 해양성 조류인 바다쇠오리에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presents iron, zinc, manganese, cooper, lead and cadmium concentration in livers of White-fronted Geese Anser fabalis (n=6), Eurasian Wigeon Anas penelope (n=16), Mallards Anas platyrhynchos (n=20) and Spot-billed Ducks Anas poecilorhyncha (n=4) from Korea during 2006-2008. Zinc (Kruskal-Wallis test, p=0.036), manganese (Kruskal-Wallis test, p=0.015) and cadmium (Kruskal-Wallis test, p=0.039)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waterfowl species. Zinc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White-fronted Geese than in Eurasian Wigeons, manganes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Mallards than in White-fronted Geese and Eurasian Wigeons, and cadmium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Mallards than in Eurasian Wigeons. However, iron, cooper and lead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among species. We found differences of lead and cadmium concentrations by habitats in Korean wild birds. Lead concentrations is highest to shorebirds and cadmium concentrations is highest in sea birds (Ancient Murrelets Synthliboramphus antique).

      • KCI등재

        산림지역에서 서식지 환경이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김정수 ( Jung Soo Kim ),신주렬 ( Ju Ryul Shin ),이화수 ( Hwa Su Lee ),구태회 ( Tae Hoe Ko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속리산 국립공원에서 쌍곡계곡 지역과 법주사 지역 내에 위치한 지역 중에서 인간의 의한 교란이 가장 큰 도로개설지역, 교란이 중간 정도인 등산로지역 그리고 간섭이 거의 없는 출입통제지역을 선택하여 산림생태계에서 인간의 교란 정도에 따른 조류군집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의 조사(n=12)에서 조류의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및 밀도에서는 세 지역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번식기의 조사(n=9)에서는 조류의 종수(Kruskal Wallis, χ2=10.32, p=0.006)와 개체수(Kruskal Wallis, χ2=7.118, p=0.028) 및 종다양도(Kruskal Wallis, χ2=9.847, p=0.007)가 인간에 의한 교란이 중간정도인 등산로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번식기 조류 군집의 영소 및 취식 길드분석에서는 세 지역 사이에 영소 및 취식 길드 분포비율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소길드는 세 지역모두 나무구멍 영소길드가 가장 높았고, 취식길드는 수관층 취식길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effects of disturbance on bird community were studied in Ssanggok Valley and Beopju Temple area, Songni Mt. National Park in 2006~2008. We divided three sites by habitat condition such as traffic road (strong disturbance), trail (medium) and control (weak) site. During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n=12),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and density did not differ among three sites, but in breeding season (n=9), number of species (Kruskal Wallis, χ2=10.32, p=0.006), number of individuals (Kruskal Wallis, χ2=7.118, p=0.028) and species diversity of birds (Kruskal Wallis, χ2=9.847, p=0.007)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rail site with medium disturbance than in other sites. In breeding season, nesting and foraging guild rate were not different among three sites. In guild analysis, hole was the highest nesting guild and canopy was the highest foraging guild in three sites.

      • KCI등재후보

        양재천에서 자연형 하천공법적용에 의한 조류(鳥類) 군집의 변화

        김정수 ( Jung Soo Kim ),채진확 ( Jin Hwak Chae ),구태회 ( Tae Hoe Koo ) 한국하천호수학회 2003 생태와 환경 Vol.3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the bird community would change in a stream ecosystem after implementation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conducted on the Gwacheon, Seocho and Hakyeul reaches in the Yangjae Stream, Seoul. At the Gwacheon reach,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tended to decline. However, at the Seocho reach, the number of species w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appeared to be not changed greatly. Especially, density of Dabbling Ducks were rapidly increased. At the Hakyeul reach wa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increased. Density of Herons and Dabbling Ducks were rapidly increased. At the Hakyeul reach wa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increased. Density of Herons and Dabbling Ducks rose, while density of Wagtails was decreased suddenly. Except the Gwacheon reach, the survey areas were gradually improved in species richness and densit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improvement. We suggested that the naturally-formed meandering (channel) bar,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nd artificial ponds were helpful for birds habitation, however bicycle path constructed in flood plain was negati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