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국어수업을 통한 현실 인식의 과정과 의미

        구영산 ( Young San Goo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수업이 하나의 사회적 장으로서 갖는 특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경기도 소재 한 초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국어수업을 일종의 `의미망`으로 보고, 국어수업의 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언어적 사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국어수업의 의미를 특징적으로 규정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1년 동안의 국어수업 참여관찰 결과 한 가지 특징적인 현상을 발견하였다. 국어수업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과서 제재를 매개로 한 교사와 학생 사이의 담화는 가장 일상적인 국어수업의 장면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장면에서 학생들이 교과서 제재에 대한 기존의 지배적인 해석에 상반되는 입장을 개진하였다. `지배적 해석에 대한 배반`으로 칭한 이 특징적 현상은 여러 국어수업의 장면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이 배반 담화가 발생하는 규칙을 보면, 담화 구성의 동기화 측면에서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교과서 제재에 대한 기존의 해석에서 학생들이 보기에 실현불가능한 일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둘째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도덕적으로 문제의 소지가 있는 일이라고 보이는 경우, 학생들은 기존의 지배적인 해석과 상치하는 자신들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제재에 재현된 현실에 대해서 실현가능성과 도덕성 여부에 입각하여 특정한 문제 상황을 이해?판단하였으며, 이를 교과서 제재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의 대안(對案)으로 제시하였다. 그러한 맥락에서 국어수업은 학생들에게 있 어서 그것을 통해 현실에 대한 이해와 특정 상황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관철하는 담론 형성의 속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 conducted fieldwork in a third-grad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classroom from March 2009 to February 2010,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Korea language arts class (KLAC). I tried to identify significant phenomena that characterize KLAC. It turned out that many students in the classroom were against the privileged interpretation of stories in textbook-I called this a revolt discourse.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n. One is that some students were against deriving morals from impossible or implausible stories, such as when a bug suddenly becomes a butterfly in Narae and Tulduri(impossible) or when two brothers threw away gold to preserve their love for each other in Two Brothers Throwing away Gold(implausible). The other characteristic of the phenomenon is that some students were against deriving morals from perceived immoral behavior such as when a cloth-cutter lied to the king in The Emperor has no clothes or when the heroin jumped into the sea leaving behind her blind father in Shimcheongjeon. In understanding and judging the dilemma in a so-called figured world, students appeal to two criteria, possibility/plausibility and morality. This is an important phenomenon in KLAC. A revolt discourse does not merely involve being against the privileged interpretation of stories in textbooks, but taking a position from which to analyze the story and relate it to reality.

      • KCI등재

        교훈 생산의 글쓰기 행위에서 일어나는 상위 욕구와 필자의 정체성 사이의 관계-임길택 동화를 중심으로-

        구영산 ( Young San G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8 No.-

        Writers often convey moral lessons in their stories. This study examines how writers` identity influences the morals that they chose to convey.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suggests that writers often promote moral ideals that they themselves failed to live up to in their youth, but for which they developed an appreciation later in life. The details of the writer`s failure to live up to a particular moral ideal in a particular scenario are reproduced in the story that he writes. The protagonist--just as the author in real life--also fails to live up to this moral ideal, but is ultimately put in a position to develop an appreciation for it. The writer`s psychology can be analyzed as containing desires of different orders. First-order desires are those that motivate behavior. Second-order desires (or volitions) with which the writer identifies correspond to behaviors that he would like to engage in, i.e., that he wants to want. Moral values are represented by second-order desires, and failure to live up to those values is the result of opposing first-order desires. Writing stories that promote their second-order desires is one way in which writers honor the corresponding values.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의 다문화주의 수용에 대한 숙고

        구영산 ( Young San G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5 No.-

        In recent years, Westerners have become increasingly disillusioned with multiculturalist policies. Minorities living in America and Europe have remained alienated from and hostile toward mainstream society. This paper shows that not only has multiculturalist policy failed, both th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assumptions upon which multiculturalist theory is founded are confused and inaccurate. Philosophically, multiculturalism claims that all cultures are equal because cultures cannot be compared-but the judgment of equality between items cannot be made without the possibility of comparing them. Also,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products associated with one culture are in various ways objectively superior or inferior to the products of other cultures. Scientifically, multiculturalist theory claims, in opposition to the facts, that all racial/ethnic populations of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identical.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t would not be wise for Korea to adopt multiculturalist policies that can be seen to be failing all over the Western world.

      • KCI등재

        국어교육 정책 종결 과정에서 형성된 고교 선택 과목에서의 "선택"의 의미 -"매체 언어" 과목의 폐지를 중심으로-

        구영산 ( Young San Goo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 정책 종결의 한 가지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 아래 선택 과목으로 설정된 ``매체 언어``가 학교 현장에의 적용조차 못 해 본 상태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아래 해당 과목의 시행 정책이 종결된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 종결의 과정에 대한 이해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문헌연구, 면담,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자료는 근대 실천철학자들의 ``행위``에 대한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해당 정책이 종결된 과정은 두 가지 국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가 국어교육 연구자들의 자발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하나의 책무로서 전달되었으며, 둘째 그것에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표면적으로 통합의 요구에 응하는 일련의 행위 안에서 해당 정책의 존폐는 달라졌다. 문제는 각각의 국면에서 고교 선택 과목이 함의하는 의미가 재규정되었다는 점이다. 전자와 관련하여 ``다수``의 선택만이 선택 과목에서의 선택이 함의하는 조건으로 작용하였으며, 후자 안에서는 선택 과목의 통합, 재구조화가 근거 없는 우연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정부 측에서는 ``선택의 다수성``이라는 가치를, 국어교육 연구자 측에서는 ``선택의 우연성``이라는 구조적 산물을 창출해 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상의 국어교육 정책 종결의 과정에서 양측은 ``상징``, ``숫자``, ``비판 대상의 선정``, ``공통된 관심사와 이익``, ``결정`` 등과 관련된 내용을 활용하여 당면한 문제를 해석, 재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해당 정책 종결의 담론이 과제를 둘러싼 합리성에 근거를 둔 과학의 모델이 아닌, 과제의 해석과 재현에 입각한 예술의 모델임을 함의한다. 그러므로 국어교육 정책 종결의 과정에서 무엇이 특정 정책의 종결을 이끈 근거인지를 묻는 질문은, 공공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각 집단의 관점이 사실적 기술이 아닌 상징적 재현에 의해 구성되고 유지되는 일에 대한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tudy explores how a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policy (KLAEP) terminated focusing on a case where an elected subject called ``Media Language`` under 2007 revised curriculum put into an end without being applied into classroom. I`ve employed archive research, interview, and survey methods. The policy termination was carried by the two parts;one i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put a request that elective subjects chosen by a small number of students need be restructured in an integrative way without considering public opinion:the other is professionals involved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KLAE) who put the government`s request into practice they didn`t agree with on little academic or practical grounds. As a result, the former produced a value of ``popularity`` required for elective subjects in a highschool curriculum and the latter got clicked on ``contingency`` in selecting elective subjects. The two parties employ numbers, symbols, assignment of blame, common interests, and decisions rather than reason based on efficiency to build a skillful discourse to terminate a KLAEP. That means the process of policy termination of KLAE could be called art than a science in that policy terminators define, represent and interpret problems not in a descriptive way but in a symbolic way.

      • KCI등재

        선거공보에 대한 고등학생 유권자의 흥미, 이해, 평가

        구영산 ( Goo¸ Young-sa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7

        이 연구의 목적은 선거공보에 대한 고등학생 유권자의 흥미, 이해, 평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국어과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용된 선거공보를 자료로 이에 대한 흥미, 이해, 평가를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고등학생 유권자들이 선거공보라는 언어 자료를 올바르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내용의 방향을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선거공보 텍스트의 올바른 이해가 성숙한 선거권 행사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이 우선적으로 해당 텍스트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교육 내용의 구상이 필요하다. 두 번째,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지 않는 수준에서 정치 및 정책 관련 주요 용어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선거공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고 판단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요구된다. The study analyzes high school student voters’ interest in, understanding of, and evaluation of campaign pamphlets, and suggests ways in which education can prepare people to be informed voters. I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king 3rd-grade high school students to report their interest in, understanding of, and evaluation of campaign pamphlets used in the elections for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 propose three major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about politics to prepare them to evaluate these kinds of materials. First, since engagement with campaign pamphlets is necessary for informed voting decisions,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geared to generating interest in the text. Second, basic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partly to inform students about important terminology used in political campaigns. Third, we need educational content that trains students to critically examine campaign materials and form educated views.

      • KCI등재

        일반논문5 : 특성화고 학생들을 위한 국어 능력의 한 가지 정의 방식에 대한 연구

        구영산 ( Young San Go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policy for vocational school student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performed in Korean language arts classes in two vocational school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students, and educational professionals. Students were tested for their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rts. Due to the high rate of low-performing students in vocational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ORP Institute cooperated to develop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TeenUp. The curriculum at vocational schools is now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to take TeenUp, which includes a Korean language arts section. TeenUp tests Korean language arts abilities that are thought to be specifically relevant for job performance, focusing on basic communication skills to the exclusion of grammar and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 Korean language arts skills tested by TeenUp are too narrow. Developing basic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ype used in low-skilled jobs requires an acquaintance with elementary grammar and basic literature. Of course, grammar cannot be taught in vocational schools at the same level as in humanity school, nor can the same literature be taught. But basic grammar can be taught, as well as simple poems, fables, and the like.

      • KCI등재

        도구 교과로서 국어과의 역할 -핵심어 찾기 기반의 사회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구영산 ( Young San Go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도구 교과로서 국어과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점검하는 데에 있다.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핵심어 찾기기능을 기반으로 한 사회과 수업의 언어활동 양상을 고찰한 뒤, 이에 대응하여 같은 언어 기능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핵심어 찾기 기능을 근거로 볼 때 현행국어과 교육과정이 타 교과 수업을 위한 도구 교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기에 교육 내용 측면에서 관련 내용을 온전히 포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의성 측면에서도 중학교 교과별 개념 학습을 뒷받침하기에 충분치 않은 내용이 초등학교 [3-4학년군]에 마지막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어과 교육과정 차원에서 해당 언어 기능의 미비는 수업 장면에서 관련 언어활동이 교사 주도로만 흐르게 하는 동시에 학생에게는 일회성의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Korean education as a basic subject which provides foundational language capacity for learning other subjects. I examined the 2009 National Korean Curriculum (NKC) to learn how it prescribes the use of Key words as an educational tool, and compare this prescription with the activity of finding of key words in an actual social studies class. The study found that the 2009 NKC did not cover all elements of Key word identification that play a role in social studies: in the classroom, key word identification activities are driven not by students but teachers.

      • KCI등재

        환자로서 "환자"를 대하는 서로 다른 방식: 소록도 환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구영산 ( Young San Go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소록도병원에 거주하는 한센병 환자들의 유대 방식을 탐구함으로써 소록도 환자들 간 관계를 중심으로 소록도의 현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개입(intervention)이 필요한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06년 5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간헐적이나 지속적으로 수행된 현지 연구 결과 생산된 참여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환자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소록도에는 ‘도움’과 ‘가시’로 상징되는 환자들의 두 대표적 행위가 발견되며, 이는 각각 소록도 환자들의 표현에 따르면 자신보다 약하다고 인식되는 환자를 도와주거나 아니면 약한 점을 수단으로 ‘못된 짓’을 하는 행위를 지칭하고 있었다. 그런데 환자들의 이상과 같은 유대 방식은 우연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국립소록도병원의 구조적 기능에 체계적으로 반응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환자들은 행위 주체로서 자신이 속한 의료기관의 기능 및 성격에 반응하며 환자들 간 ‘수평적 차별화’와 ‘수직적 차별화’를 각각 만들어 내고 있었으며 그 결과 소록도 환자들 사이에는 공존의 구조와 폭력의 구조가 자리 잡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행위를 통해 실현되는 인간의 주관에 관여함으로써 소록도 내 사회적 폭력을 양산하는 문제적 행위를 재정향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The study explores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conditions in the leprosarium on Sorok Island (Sorokdo)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rokdo patients. The study is based on fieldwork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May 2006. I found two patterns of patient behaviors called “help” and “thorn” meaning “helping of the weaker patients” and “mistreatment of the weaker patients”, respectively. “Help” involves performing duties of the sort usually carried out by nurses; because there is a shortage of nurses, the stronger patients must contribute to the care of the weaker. When a Sorokdo patient encounters a weaker patient, he may interact with him in one of two ways. First, he may try to improve his condition: this is called “horizontal differentiation”. Second, he may take advantage of him somehow: this is called “vertical differentiation”. I suggest ways to improve the way that pati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elp them contribute in a positive way to the hospital system.

      • KCI등재

        초등 국어수업에서 행위지향적 표현의 형성과 의미, 기능, 인식

        구영산 ( Young San Goo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수업의 장에서 지배적으로 생산되는 어린이의 `행위지향적 표현`의 생산과 수용 과정을 맥락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9년 3월에서 2010년 2월에 걸쳐 경기도 부천시 소재의 한 초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택된 자료는, 중요한 사회문제이자 교과서 주제지식이기도 한 `질병과 장애`를 다룬 행위지향적 표현이다. 어린이의 행위지향적 표현은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그것의 사회적 실현을 위해 자신이 구체적으로 실천할 세부 행동들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표현은 생성의 순간부터 실천에 대한 의지를 담고 있으며, 자신과 타인을 향한 약속의 어조를 띤다. 그러나 어린이들은 자신의 말이나 글에 견주어 대치되는 행동들을 보임으로써 그들의 행위지향적 표현은 그 진실성 측면에서 의문을 갖게 만들었다. 이러한 기형적인 행위지향적 표현의 생산과 수용의 맥락이 만들어진 원인은, `질병과 장애`라는 주제를 예로 살펴볼 경우, 국어수업의 장에서 공유되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확한 이미지, 이를 토대로 수행되는 어린이들의 말하기와 글쓰기 행위, 나의 언어에 대한 반성 없이 습관적으로 같은 언어수행이 반복되는 국어수업의 기제, 그리고 이에 대한 무자각 등을 찾아낼 수 있었다. 자신의 말과 글, 행위가 갖는 상관성에 대해 자각할 필요가 있다. 이는 나의 언어가 대사회적으로 지녀야 할 책임, 즉 표현에 앞서 표현에 담겨야 할 근본적인 철학이다. The study aims to contextualize the production of "action-oriented words" by childre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 I conducted field work in a 3rd grade classroom from March 2009 to January 2010. I focused specifically on children`s action-oriented words dealing with disease, illness, and disability. Children`s action-oriented words are words which rouse or otherwise compel them to behave according to moral values. Children, however, are not consciously aware of how words influence their behavior. Children parrot without thinking words they are instructed to speak. They easily confuse fantastical descriptions of events in fiction with reality. Children develop unrealistic representations of disabled people. I conclude that children should be explicitly instructed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words and behavi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