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분 문항 반응 자료를 위한 순차적 G-DINA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구슬기(Seulki K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lytomous response data, and to provide various measurement implications when apply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to the polytomous response data. For this purpose, The sequential G-DINA model was selected to compare the model fit and the recovery rate of item and examinee parameters through simula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As a result, the higher the number of items and the number of examinee, and the higher the item diagnosticity, the higher the model fit, the higher the item and examinee parameter recovery rate, when the restricted categorical Q matrix was used. Also, the SG-DINA model had better fit, item and examinee parameter recovery than the G-DINA model.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information in response data, it is appropriate to apply a polytomous cognitive diagnostic model to polytomous item response data. 본 연구는 최근 학교 교육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구성형 문항을 통해 생성된 다분 문항 반응 응답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다분 인지진단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다분응답 자료에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하고자 할 때 다양한 측정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순차적 G-DINA(Sequential generalized DINA) 모형을 선정하여 문항 진단성(높음, 보통, 낮음, 무선), 문항 수(20, 40), 피험자의 수(400, 800), 단계형 Q행렬 형태(제한적 단계형 Q행렬, 비제한적 단계형 Q행렬), 다분 응답 자료의 이분화 전략(partial credit, full credit)을 모의실험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SRMSR), 문항 및 피험자 모수의 회복률(RMSE, PCV)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 수와 피험자의 수가 많을수록, 문항 진단성이 높을수록 단계별로 인지요소를 구분하여 지정하는 제한적 단계형 Q행렬을 사용한 경우에 모형 적합도, 문항 및 피험자 모수 회복률이 높았다. 또한 대체로 이분 모형인 G-DINA 모형보다 SG-DINA 모형의 적합도, 문항 및 피험자 모수 회복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다분 문항 반응 자료에 대해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할 때에 고려해야할 측정학적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다분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성취도 국제비교 분석

        구슬기(Seulki Koo),김경희(Kyunghee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다분 문항 반응 자료를 위한 순차적 G-DINA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자료인 TIMSS 2015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 간 수학 성취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TIMSS 2015 4학년 수학에 대한 단계형 Q행렬을 개발하여 내용 및 측정평가 전문가들의 검토와 순차적 G-DINA 모형에 적합한 통계적 타당화 절차를 거쳐 최종 Q행렬을 완성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과 TIMSS 성취도 상위국에 해당하는 4개의 비교 국가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통계적 타당화 절차, 내용 및 측정평가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자료에 보다 적합한 Q행렬을 완성하였고, 둘째, 다분 문항 반응 자료가 지니는 부분점수에 의한 정보를 소실하지 않고 각 단계별 문항 모수를 산출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하였다. 셋째, SG-DINA 모형에 의한 국가별 비교 분석을 통해 국가별로 학생의 수학 성취 향상을 위해 필요한 인지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분 인지진단모형의 적용 활성화, 향수 수학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mathematics achievements between countries using TIMSS 2015 elementary school 4th grade mathematics data, which are actual data,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sequential G-DINA model for multi-item response data. To this end, a step-by-step Q matrix was developed for TIMSS 2015 4th grade mathematics, and the final Q matrix was completed through review of content and measurement evaluation experts, and a statistical justification procedure suitable for the sequential G-DINA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Korea and four comparative countries, which are the top countries in TIMSS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rough the review of statistical validation procedures, content, and measurement evaluation experts, a more suitable Q matrix could be completed, and second, the information by the partial score of the multi-item response data was not lost and each step More detailed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by calculating the item parameters. Thir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country using the SG-DINA model,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ognitive factor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student s mathematics achievement by country.

      • KCI등재

        영어 쓰기 검사의 준거 설정 방안

        이용상 ( Lee Yongsang ),구슬기 ( Koo Seulki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8 중등영어교육 Vol.11 No.4

        Since a standard setting method often requires number of panels, cost, and time, it is difficult to use standard setting methods to obtain cut-off scores to classify students' performance levels in schools. The current study has proposed a standard setting method using the Many-facet Rasch model which i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and does not need any panel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y between the bookmark method which is also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and the proposed method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standard-setting method using the multi-faceted Rasch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student performance levels produced by these two methods are not critically different showing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ful in school-setting.

      • KCI등재

        국내 대규모 영어 쓰기 평가에서의 자동채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시기자(Kija Si),이용상(Yongsang Lee),박도영(Doyoung Park),임황규(Hwangkyu Lim),구슬기(Seulki Koo),박상욱(Sangwook Park),임은영(Eunyoung L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KICE automated scoring system and explore how to apply this automated scoring system in the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e Level 2 writing test of the NEAT is composed of two items,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se items are evaluated based on four rating domains: task comple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In ord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nd adjacent agreement between human scoring and automated scoring, rater severity using the many-facet Rasch model, test score reliability using G-theory, and scoring time and cost. Our study results clearly show that, in performance, the automated scoring is essentially equivalent to human scoring; and, in fact, the KICE automated scoring system is much more efficient than human raters in that it saves time and cost. Based on our finding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 large corpus of Korean students be established, writing scoring standards be reformed, the efficiency of machine learning by adapting accurate standard scores be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and complement of features be continu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KICE automated scoring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자동채점 프로그램의 성능을 검증하여 공식적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동채점 대상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2급은 일상생활에 관한 글쓰기(60 ~ 80단어 제한, 15분)와 자기 의견 쓰기(80 ~ 120단어 제한, 20분)의 두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채점 영역(과제 완성, 내용, 구성, 언어 사용)별로 분석적인 채점이 이루어진다. 성능검증을 위해 인간채점과 자동채점에 따른 상관계수와 일치도 통계에 근거한 채점자 간신뢰도의 차이, 다국면 라쉬 모형에 근거한 채점자 엄격성의 차이, 검사점수의 일반화 가능도 계수의 차이, 시간 및 비용 차이 등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능 검증 결과, 자동채점이 인간채점과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시간 및 비용의 효율성은 자동채점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