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장애여성의 정치참여 영향요인 분석

        곽지영(Kwak, Jee-young),고진경(Goh, Jin-ky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현실 및 인터넷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장애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여성의 현실정치참여에는 고용상태, 정치효능감, 정치신뢰감, 장애정체감, 장애원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장애여성의 인터넷정치참여에는 연령, 정치효능감, 장애유형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여성과 장애남성 모두가 정치효능감이 있을수록 현실정치와 인터넷정치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장애여성의 정치참여를 통한 정치세력화를 위해서는 장애여성의 정치효능감의 확보, 장애여성 자조단체에 대한 정부지원과 장애여성 정치 할당제의 제도화와 관련된 특화된 서비스와 정책적인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internet of disabled women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internet of disabled wome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disabled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reality and internet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political social factors, political psychological factors, and disability-related facto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disabled women in reality were the degree of employment, political sense of efficiency, political confidence, the disability identity, causes of disability.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disabled women internet were age, political sense of efficiency, and types of disability. The factor of political sense of efficency was affected by both disabled women and disabled men. For disabled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intervention and policy aimed at improving social support system and formal services such as freedom of movement, access right and the disabled quota system.

      • 장애인 정치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곽지영 ( Jee Young Kwak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1 사회복지실천 Vol.10 No.-

        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 271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현실 및 인터넷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장애인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인터넷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교와 거주지역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현실정치참여에는 장애유형과 장애원인, 장애인의 인터넷정치참여에는 장애유형, 장애정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의 현실정치참여에는 장애인단체소속, 장애정체감, 정치효능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의 인터넷정치참여에는 장애정체감, 정치효능감, 정치신뢰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장애인 정치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권의 확보, 장애인단체의 역할지원과 장애인 정치 할당제의 제도화와 관련된 특화된 서비스와 정책적인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interne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internet .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 and personal interview with the people with disability. The final sample was consisted of 271 respon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reality and internet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ocial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related factors and political psychological facto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emographics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internet were religion and residential district. Second, the disability-related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reality were types of disability and cause of disability and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internet were types of disability and grades of disability. Finally, the political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reality were the beloning of the organization for the disability, the disability identity and political sense of efficiency. the political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internet were the disability identity, political sense of efficiency and political confidence.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and policy aimed at improving social support system and formal services such as freedoam of movement, access right and the disabled quota system should be considered by policy makers.

      • KCI등재

        문화자본 결핍 저소득 장애청소년과 장애가정청소년을 위한 두드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엄미선(Mi-Sun Ohem),곽지영(Jee-Young Kwa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우리 사회는 교육을 통한 부의 대물림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장애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계층 이동은 어려운 상황이며, 이는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문화자본이 결핍된 저소득 장애청소년과 장애가정청소년은 빈곤취약계층으로 전락할 위험이 높은 집단이다. 두드림 프로그램은 저소득 장애청소년과 장애가정청소년에게 사례관리방법을 활용하여 맞춤형 장기적 지원을 통한 빈곤의 대물림 차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2009년에 시작하여 2016년 현재 7년이 경과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두드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드림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욕구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의 자아개념 중 학습 및 성취자아, 사회자아, 가족자아 모두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이용자의 진로의식 성숙도 측면에서도 진로결정성, 진로준비성, 진로타협성이 모두 향상되었으나, 진로준비성이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역별 사례관리 거점기관과 협력기관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들이 확보되었다. 이를 통해 두드림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ociety faces problems from unequal access to quality education which eventually lead to unequal distribution on wealth. Specifically, those youths with disabilities have a higher risk of living in poverty and becoming marginalized. First established in 2009, the Dodream program has addressed the issue of poverty fixation by establishing long-term supports for households of youths or adults with disabilities through case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Dodream program for youths with or youths whose parents are with disabilities on low-income household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Dodream program leads to improvements in self-concepts and career consciousness among youth. The program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preparedness of those who were involved. By establishing connections and collaborating with regional case management base institutions and cooperation centers, the program secured various social support resources. Finally the study presents plans on vitalizing the youth support by thoroughly investigating the cases of each study and establishing the program as long-term Human Capital Investment Model.

      • KCI등재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일상생활만족, 행복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고진경(Jinkyung Goh),곽지영(Jee-Young Kwak)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7

        본 연구는 차별경험이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 행복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중 5차자료를 사용하였고, 3,738명의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차별경험은 일상생활만족, 행복감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끼쳤고, 스트레스에는 정적 영향을 끼쳤다. 장애수용은 일상생활만족,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끼쳤다. 차별경험과 일상생활만족, 행복감에서 장애수용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별경험을 줄이고, 장애인의 장애수용도를 높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비장애인의 장애인식의 수준을 높이고, 장애수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disabled on every day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stress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stress. The Panel Study of Employment for Disablied data(second wave, fifth survey)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consisting 3,738 respond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discrimination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everyday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disability accept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veryday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more discrimination experiences the disabled have, the lower their everyday life satisfaction, happiness.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mediates partially the influence of discriminatioen experiences on their everyday life satisfaction, happiness, stress. Based on this study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wareness of disability of non-disabled had to be improved and concludes wit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the disability acceptance.

      • KCI등재
      • KCI등재

        시각 장애인의 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박수경(Park, Soo-Kyeong),곽지영(Kwak, Jee-Yo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3 재활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시각 손상 그리고 이에 따른 기능적 제한 및 참여의 제한으로 인하여 다양한 직업생활을 영위하지 못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의 취업실태를 살펴보고,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시각장애인들의 다양한 직업욕구와 변화하는 산업구조 및 사회상황에 대응하는 제도적인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른 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장애정도가 시각장애인에게도 취업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시력 장애인과는 달리 전맹 장애인의 경우 실명시기가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제약정도의 경우 전맹 장애인보다 저시력 장애인에게 더욱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각장애인의 교육 참가여부는 의사소통교육만이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체계 및 직업교육 훈련 확대가 필요하며. 재활공학서비스의 연구개발 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적합직종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employment of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 with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final sample was consisted of 593 respon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rosstabulation,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visually impaired people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the attribution to disability, physical functioning, psychology and social support syst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ffecting employment of visually impaired people was severity of disability. Second, the factor affecting employment of the blind than the low vision was the time of losing eyesight. Third, the factor affecting employment of the low vision than the blind was the limitation of daily activities. Finally,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visually impaired people was participation of education for braille.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and policy aimed at improving social support system and form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rehabilitation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policy makers.

      • KCI등재

        여성 장애인의 직업 선택 및 유지 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곽지영,조정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장애인들이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파악해보고, 그 경험에 대한 현실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찾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취업을 시도한 경험이 있거나 직업을 가진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 16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2001)이 제시한 질문하기와 지속적 비교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장애인의 직업 선택 및 유지 과정은 직업 인식기, 직업 탐색기, 직업 준비기, 직업 적응기의 4과정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따른 여성장애인의 경험은 단순히 성인기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경험이 아닌 전 생애에 걸친 연속적인 과정으로서 "여성장애인의 직업적 사회화 과정에서의 배제 경험과 적응 경험"으로 드러났다. 특히 배제 경험으로 인해서 여성장애인들의 직업적 사회화 과정은 연속적이기보다는 분절적이며, 순환적으로 경험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여성장애인의 직업상태는 성인기 직업 재활 훈련이나 서비스의 미비보다는 직업 인식기에서부터 시작되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산물임을 발견함으로써, 향후 여성장애인의 직업 선택 및 유지에 관련된 이론적 논의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이 직업적 사회화의 장(arena)인 가정, 학교, 사회에서 경험하는 배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의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disability m choosing and maintaining their jobs. It is the aim of study to fin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ased on the pragmatic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 This research use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group interviews. Participants are 16 women with disability, who have experiences in finding and maintaining employment. Collected data are analysed using Strauss and Corbin's (2001) method of asking questions and constant comparis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whole process of job selection and maintenance experienced by women with disability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and these stages experienced by women with disability are not simply limited to adulthood. It is not a temporary or fragmentary process but one that continues throughout life and is identified as "an experience of exclusion and adaption during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women with disability". Noticeably, this study finds that the exclusion experience by women with disability has resulted in fiagmentary and recurring occupational socialization. Furthermore, the job status of women with disability is not attributed to the lack of job rehabilitation training or service during adulthood but is the outcome of interaction between various elements starting from the early job preparation peri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bute to the basis of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disabled women's job choice and maintenan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ways to minimize the exclusion on disabled women in the arena of occupational socialization - family, school and society. Those approaches can have implications in carrying out social welfare practices.

      • KCI등재후보

        국민기초수급대상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곽지영,신은경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장애와 고용 Vol.16 No.2

        본 연구는 국민기초수급대상 여성장애인 중 자활대상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노동시장 진입 실태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여상장애인 노동시장 진입 실태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보충적으로 질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국민기초 수급 여성 장애인들의 경우 거주지역, 장애유형, 자활의지가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드러났다. 질적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진입 장벽',' 노동시장 진입 경로 상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관계적 특성과 제도적 요인이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던 한계를 지적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민기초 수급 여성장애인의 탈 빈곤을 위해서는 노동시장 진입 수준을 높이기 위한 특화된 서비스 및 제도적인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conditional welfare women recipients wlth disability who are under the double torture of poverty and handicap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entry Into the labor marke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entry into the labor market such as residential district, the attribution to disability, wililngness for self-sufficiency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Secon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found the barrier and problem of entry process into labor market. We pointed the Iimitation of social support system and institu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