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피학대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오연희 ( Yeon Hee Oh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의 예방 및 치료를 강화하며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모색하고 다양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개입 방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총 네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또래관계소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넷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또래관계로부터의 소외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서 서울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이며, 독립변수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으로 구성되었다.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부모 유대감, 또래지지, 참여활동 및 서비스로 설정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빈곤,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 가족 구성형태)을 통제변수로 보았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감정을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정서적 학대가 비행을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에 따르면 또래관계소외를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학대경험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변수를 추가하였지만 유의미하게 비행을 설명하는 변수는 없었다. 네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상호작용을 투입하였을 때, 조절변수인 부모 유대감이 유의미하게 또래소외를 설명했는데 이는 신체적 학대경험이 높은 아동의 부모유대감이 높을수록 또래 소외정도가 높아짐을 말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해 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에 대한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라는 문제를 동시에 다뤘다는 부분에 의의를 갖는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보았는데 여기서 사회적 지지가 받고 있는 서비스 및 참여활동을 포함하여 보다 거시적 맥락의 사회적 지지를 다루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와 같은 비가시적인 학대유형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예방하는 제도화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at people recognize the severity of child abuse, intensif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strategy by exploring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king various opportunity. The author sets four study questions to make an object of this study. First,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delinquency? Second,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peer rejection? Third,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Fourth,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peer rejection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The author used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SPSC)`s third data as analyzing data to solve these study questions.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Social suppor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is set by parent-child bond, peer support, and service. Then, demographic factors(sex, poverty, self-esteem, parents` education level, and family form)are regarded as control variables. To verify study questions and hypothesis`, the author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demographic factors are controlled, emotional abuse which is one of child abuse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in first question result. In secon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n thir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despite of adding interacting variables about experienced abuse and social support to observe moderating effect. In fourth study question result, parents`bonding which is moderating variable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t means that if parents` bonding is low, peer rejection will be high. There are some implications based on above results. First, this study handles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t the same time. Second, a meaning for this study to include social service. Third, it shows that people should recognize not only physical abuse but also emotional abuse as one of social problem, and need a system to prevent these problems.

      • 지역사회조직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이마리아 ( Maria Lee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8 사회복지실천 Vol.7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의 지역사회조직화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여 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하는 146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고 있는 지역사회조직화 사업 2005년, 2006년 담당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주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상관관계 분석,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조직화의 실태, 즉 전반적인 조직형성·문제해결·지역사회 역량강화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점대로 측정이 되었다. 한편 응답자 중 50% 이상이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한 학부과정 교육이 충분치 않았다고 응답하였고 지역사회조직화 전략, 기술, 역할, 과정에 대한 교육이 보충되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고 기관과 외부 단체에서 시행하는 지역사회조직화와 관련된 보수교육에 관하여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독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직형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사회복지사의 기술 및 태도(p<.05)와 기관장의 지원(p<.05)으로, 문제해결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사회복지사의 기술 및 태도(p<.01), 기관장의 지원(p≤.001), 지역사회 유형(p<.01)으로,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기관장의 지원(p<.001),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조직화 지식 및 경험(p<.00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이론적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한 고급통계를 활용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고, 질적연구방법의 결과와 양적연구방법의 결과 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실천적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조직화 담당자가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을 충분히 경험하여 지역사회조직화의 기술 및 태도를 체득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담당기간이 증가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조직화 담당자가 본인의 사업에 전력을 다할 수 있도록 기관장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는 학부과정에서 지역사회 조직화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마련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조직화 담당자를 위한 보수교육이 다양한 사회복지 관련 조직과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by inferential statistic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organizing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organizing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Further, this study wishes to find strategic devices for reinvigoration of the community organizing which is a important practice part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based on the community.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2 social worker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charge of community organizing in 2005 or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degree of organization building·problem solving·community empowerment were average about 3 in standard of 5 grade. The educational degree of social worker in charge of the community organizing examined as undergraduat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and supplementary training or education in social work field. More over 50% of answers replied that undergraduat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weren`t sufficient. Also, they answered to supplement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skill, process and organizer` role in undergraduate educational contents. However, they satisfied supplementary training or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in social work fiel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organization building are social worker`s skills and attitude(p<.05), and supports of chief(p<.01) in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problem solving are social worker`s skills and attitude(p<.01), and supports of chief(p<.001) and community type(p<.01).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have an effect on community empowerment are supports of chief(p<.001), and social worker`s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p<.001).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 points. Firstly, personal manager need to consider that social worker charge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for long time. Secondly, support of chief need to extend to social worker charge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 points. First, education of the social work association need to make various curriculums about community organizing in undergraduate. Second, social work association need to support education or training for social worker charge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 사회복지기관 실습수퍼비전 체계개발 -『사회복지현장실습 지침서』에 준한 기관용 매뉴얼-

        최원희 ( Won Hee Choi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6 사회복지실천 Vol.6 No.-

        최근 사회복지학과와 관련 전공학과의 양적 팽창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대상자 또한 함께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실습현장도 확대되어가고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연구(2005)에 의하면 절반이상의 실습기관이 실습수퍼비전 지침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채 실습지도에 임하고 있어서 실습지도가 실습지도자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기본적인 내용과 수준, 질에 있어서 일정수준을 기대할 수 없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실습기관들이 수퍼비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그 중요성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 체계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습을 새로 시작하려는 기관과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 실습 수퍼비전 체계가 준비되어있지 않은 기관들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매뉴얼 형태의 실습수퍼비전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는 나름의 지침서를 가지고 있으나 검토를 필요로 하는 기관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영역의 실습기관들에 있어서 가장 공통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가능한 실습 수퍼비전 체계를 만들고자 일반주의 실천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기관을 모델로 삼았으며 앞으로 시행될 실습기관 인증제를 고려하여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지침서(2005)의 기본내용을 충족하는 범위로 작성하였다. 또한 연구의 결론부분에서는 이러한 실습 수퍼비전 체계를 만들면서 기관들이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을 제안함으로서 실습기관들이 실습교육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을 짚어보았다. In recent quantitative expansion of social welfare course and relevant major courses in campus, there have been increasing subjects of field practicum, resulting in extended field agency. A study(2005) conducted by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KASW) showed that over half of field agencies performed field guidance without any field supervision guideline, which indicates that field guidance relies on individual capabilities of field instructor. This tendency brings a potential worry about giving up certain expectations for the basic contents, level and quality of field practicum as required for social workers. However, many field agencies still lack in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supervision, and have difficulties for various reasons in developing a system in practice, even though they understand its importance. So this study suggests an easy applicable manual-like field supervision system for agency planning new field practices and those under field education without field-practicum supervision system prepared. It is expected that the manual system will be also helpful for agencies that have their own guidelines but needs to review them. In order to create most common and universal field-practicum supervision system for field agencies in various areas, this study was modeled on social welfare agencies based on generalist approach, and prepared the manual system in compliance with basic contents of Social Welfare Field Practicum`guideline(KASW, 2005) in regard to field agency certification system to be in force in near future. Furtherm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ed major points that agencies have to bear in mind for creating this field-practicum supervision system, and pointed out highest priorities for field agencies to consider in field education.

      •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 및 과제

        홍순혜 ( Soon Hae Hong ),방진희 ( Jin Hee Pang ),김선화 ( Sun Hwa Kim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서울·경기·인천에 위치한 44개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설문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관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업 비중에 대한 인식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사회복지관이 실시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회봉사, 사례관리, 학생 자원봉사 활동 지원 순이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학교급이 낮을수록 사례관리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봉사프로그램 및 자원봉사활동 지원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기관차원의 어려움에는 예산·인력 부족, 학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사업 효과성 증대를 위한 여건의 불안정이 제시되었고, 학교 차원에서의 어려움은 학교의 협조 부족과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해·신뢰 부족, 학교 내 일정한 담당부서의 부재, 시간 조율 및 배분의 어려움,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개입의 제한, 학교와 기관 프로그램의 중복으로 인한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실무자 차원에서의 어려움으로는 학교와의 의사소통 및 업무조정의 어려움, 기관-학교-교육청 간의 평등한 상호관계 형성의 어려움, 잦은 외근과 5일 근무제로 인한 학교와의 프로그램 연계 어려움, 학교와 자신의 소속 기관 모두 신경을 써야 하는 부담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더불어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의 활성화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to seek measures for activating such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urvey targeting forty-four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welfare centers had considerably high recognition level with respect to school social works. Second,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carried out by th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community service, case management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order of frequency. While the case management was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lower level, the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were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higher level. Third, the following difficulties were raised in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in terms of center, a manpower shortage, difficulty in providing services to satisfy schools` demands and unstable conditions for the increase in the effect of the social work; in terms of school, a lack of school cooperation, insufficient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f the social welfare, absence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difficulty in adjusting and distributing time, restriction on continuous cas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nd overlapping programs between the school and the center; and in terms of hands-on worker,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school and adjusting works, difficulty in forming equal relationship among the center, the school and the education office, difficulty in linking a program to the school due to a frequent outside work and a five-day work week and burden of taking care of both the school and the center.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of the analysis, an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measures for activating and improving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have been presented.

      •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청각장애대학생에 관한 연구

        배영미 ( Young Mi Bae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0 사회복지실천 Vol.9 No.-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사회복지전공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현재 대학에 재학중인 청각장애인 1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하였다. 연구를 통해 장애인으로서의 살아온 생의 내러티브를 통해 사회복지를 전공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하고,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장애인으로 살아오면서 경험한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편견과 낙인을 변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장애인을 위해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의 삶 속에서 장애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과정에서의 정체성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연구참여자에게 사회복지는 장애인을 위한 학문으로서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성과 사회복지전공과정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 사회복지실천에서 장애인을 그들을 위한 옹호자로 인식변화를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reconstruct the biographical experiences of a participant, disabled student in social welfare program. It aims to examine the social welfare program`s meaning through biographical background and the life history of the participant. The research analyses one student`s experience using the methodological equipment of narrative inquiry. There are two finding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participant is trying to find life meaning throughout his negativ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due to being disabled. Second, the participant has been strengthening himself with such important people of his life and transitional meaning. Even though, it is hard the participant tries hard to improve the world. The experience of this social welfare program will contribute to right-based social work practice and future advocate clients such as the weak and minorities.

      • 공법상 사회복지수급권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고찰

        노기남 ( Ki Nam Roh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8 사회복지실천 Vol.7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법상 사회복지법제의 체계적 정립을 통한 공법상 사회복지수급권의 실효성을 강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8년 금융위기로 촉발된 IMF의 管理體制를 극복하기 위한 개혁을 실행하면서 국민이 당한 고통과 발생했던 現狀(사건)들을 통해서 그 동안 우리 사회가 얼마나 낙후된 사회복지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는가를 깨닫고, 이러한 낙후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법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권위주의를 극복하고 민주주의로의 體制轉換過程에 있는 시점에서 사회복지체계의 낙후성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과제이며, 사회복지법제의 체계가 합리적으로 접근하여 역사적으로 누적되어 온 사회적 차별과 소외를 시정하고 국민의 社會福祉受給權을 "수요자 중심주의"에 입각하여 균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국민의 복지가 국가의 헌법상에서 가지는 의미를 인간다운 생활권적 기본권(사회복지수급권)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법제에 대해서 구체적 분석을 통해 특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사회복지법제의 체계적 과제를 "통일적인 법체계 구성"이라는 요소로 채택 연계하고, 우리 사회복지 법제 체계의 재편방안을 모색하면서 합리적인 社會福祉受給權의 實效性 確保를 위한 提案 등을 고찰하였다.

      • 사회복지시설의 자원개발에 관한 서설적 연구

        엄미선 ( Mi Sun Ohem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1 사회복지실천 Vol.10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자원에 대한 개념과 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시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유형별 자원개발의 전략과 과정을 제시해 보았다. 사회복지자원개발이란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실천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시설, 설비, 자금, 인력, 프로그램 등을 지역사회 내에서 발굴하여 유용하게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사회복지자원은 자원의 내용에 따라 인적, 물적, 정보자원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사회복지 종사자뿐만 아니라 후원자, 자원봉사자, 지역사회(주민)등을 적극적으로 사회복지시설에 유입하고 이를 교육, 훈련, 개발시켜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다. 물적자원개발은 물질적 자원으로써 사회복지시설에 도움이 되는 현금이나 현물을 시설에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적 자원은 ``사회복지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는 자료``를 사회복지 정보라 할 수 있는데, 정보적 자원은 자원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들 자원개발 전략은 유형별로 다르며 자원개발과정은 지역의 욕구파악, 자원개발목표의 설정 및 계획, 홍보 및 지역사회자원의 파악, 자원의 목록화, 자원개발 활동의 평가 및 보고 등으로 진행된다.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r the craving solution of the social welfare developed and applied the social welfare resources which is various. Consequently the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knowledge and techniqu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hich is essentially necessary, that distinguished the uniqu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igure from other organizations. The study which sees according to like this necessity type and the community of concept and resources of social welfare resource development from concretely tried to observe resource development method and process. Like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which is useful i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액션러닝(action Learning)을 활용한 학습조직 구축 사례 연구 -T 사회복지관 학습체계 및 지원체계 설계를 중심으로-

        안정선 ( Jeong Sun Ahn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6 사회복지실천 Vol.6 No.-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T사회복지관의 액션러닝을 활용한 학습조직 구축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세부적으로 직원 학습체계와 지원체계 설계결과를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2005년 8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액션러닝(action learning)팀 활동을 실시하여 7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기관의 예산, 구조, 제도 등에 대한 기존 자료를 활용한 분석과 학습조직 및 조직문화 진단을 위해 조직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액션러닝팀 활동은 주 2회 모임이 이루어졌으며 학습체계설계를 위해 총 42차의 팀 활동이 진행되었다. T사회복지관 조직진단을 통해 전략 기획의 필요성, 재원확보, 사업조정 및 특화사업 개발, 팀제의 활성화, 부서간 의사소통 강화, 리더십 및 기획능력의 제고가 긴급한 해결과제로서 도출되었다. 또한 학습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학습지원금의 확보와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함이 주요과제로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학습체계 및 지원체계로써 수퍼비전, 캔미팅(can meeting), 액션러닝(action learning), CoP(학습동아리)제도 등이 마련되었고 기관주도, 부서장 주도, 개인 주도의 상시학습체계가 구축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학습조직 구축을 통한 중장기적인 성과를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지식사회 조직의 문제해결과 혁신의 대안으로 학습조직이 거론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의 방법과 내용을 시도적으로 규명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ccess the outcomes and build-ups of learning organization which were using the action running at T Social Welfare Center of Seoul and, in details, presents the analysis on the cases focused on the design outcomes for the staff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support system.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action learning team activities for the 7 months(August 2005-February 2006).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urrent data for budget, structure, and regulation of the institution and interviewed with the staff to access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 culture. The action learning team had the periodical meeting on a biweekly basis and implemented totally 42 times activities to design the staff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support system. This study has resulted in the priorities on the necessity of the strategic planning, the budget, the restructuring & new program development, the team organiza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epartments, the leadership through the analysis on the organization in T Social Welfare Center. In addition to that, it showed that the learning fund and support system to stimulate the learning Motivation shall be very important to set up the staff learning system. For this purpose, the new staff learning system, the supervision as the support System, can meeting, action learning, CoP(community of practice)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ordinary learning System have been set-up initiated by the organization, the team leader, and the individuals. This study has not clarified the long-term performance outcomes by the set-up of the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tried to clarify the methods and contents for the learning organization for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hen the learning organization is mentioned as the alternatives to the solution of the knowledge society.

      •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명성 ( Myeong Seong Kim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9 사회복지실천 Vol.8 No.-

        세계화, 개방화로 외국인의 국내정착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본격화 될 것이다. 그러나 사회안전망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생산하고 가족해체를 가속화시켜 사회통합을 저해하므로 결혼이민자의 조기정착과 자립역량강화, 결혼이민자2세의 건강한 성장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다문화정책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정책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의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이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갖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결과 한국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적용대상의 협소함, 사회통합의 의미가 동화에 초점이 맞춰진 점, 경쟁적으로 관련 정책들이 추진되고 정책총괄부처의 부재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통합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일관성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목적측면, 대상·서비스측면, 사업추진체계측면에서의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As the world`s nations open up to one another and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join in matrimon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gin to increase. For the well-being of the 2ndgeneration of these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the successful resettlement and self-sufficiency of the immigrant partner, more policies must be developed in regards to inter-racial marriage because multicultural families become increasingly socially vulnerable often times resulting in broken families as well as a lack in social integration. This paper aims to further investigate the challenges multicultural families face and aims to resolve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Kore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Korea is under developed because a governing body in regards to intercultural marriage is absent, while a strong emphasis is placed on assimilation, and there exists a lack in support and resour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policy-making system be developed, services improved, and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e clarified through furthe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