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 탐색

        곽승주 ( Seungju Kwak ),황인애 ( Inae Hw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참여하는 어머니들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바람직한 부모역할 및 자녀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일(在日) 다문화가정 한국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들이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참여하면서 모국어의 재발견 및 현지어에 대한 새로운 탐색과 배움이 일어났다. 둘째, 그림책을 중심으로 자녀와의 소통이 밀접해지면서 어머니-유아간 정서적 관계가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재활동 참여를 통해 어머니들이 연구자를 멘토로 여기고 정서적 지지 속에서 자녀양육 지원을 받는 것에 큰 의미를 두었다. 넷째, 중재활동 참여과정에서 어머니들이 부모역할 수행을 위한 적극적인 학습자로 변화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구체적 지원방안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at seeking an proper way for the parent’s role and children instruction by investigating on the mothers’ experience who participated in picture book reading medi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 interview on picture book reading mediation targeting 3 Korea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in Japan. As the result, first, mothers had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native language by participating in picture book reading mediation, and could experience new exploration and learning about the local language. Second, they could experience enhancement in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as thei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ecame close through picture book. Third, the mothers considered the researcher as their mentor through participation in mediation activity, and they significantly meant the comprehensive support for child care in the emotional support. Fourth, mothers became more active learners to perform a desirable parent’s role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mediation activity. Since then,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rete support plan for the parent’s role and child care of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 특별활동 실태 및 원장과 부모의 인식 비교

        서은경 ( Seo Eunkyung ),곽승주 ( Kwak Seungju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 특별활동 실태와 특별활동에 대한 원장-부모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 적절한 영아대상특별활동 운영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경기도 220개 어린이집 원장 173명과 부모 235명, 총 40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의 특별활동 실태에서 실시과목 수는 주 당 `3개`, 특별활동 종류는 `체육`, `음악`,`영어 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특별활동과 보육과정과의 연계는 `조금 있다`, 특별활동 계획 및 평가는 전체교사 회의 시 평가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 특별활동에 대한 원장-부모 인식차이 분석결과, 특별활동의 필요 이유에 대해 원장은 영아에게 다양한 경험제공을, 부모는 영아의 특기 및 재능 조기 발견을 위한 것으로 보았다. 특별활동이 불필요한 이유로는 원장과 부모모두 영아교육전문가인 보육교사가 전반적 교육을 담당하는 것이 더 합당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원장이 부모보다 더 높게 인식하였으며, 개선점에 대해서는 원장과 부모 모두 유아와 차별화된 영아 발달 및 흥미에 적합한 특별활동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about special activity operation targeting infants by looking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infants` special activity in a daycare center, and a director and parents` perception of special activity. As study subjects, a total of 408 persons, 173 directors of 220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235 school parents participa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subjects for infants` special activity in a daycare center was `3 pieces` per week, and that the most preferred sorts of special activity were `Physical Education`, `Music` and `English.` Also, the connection between special activity and child care curriculum was found to be `a little`, and special activity planning and evaluation were found to be evaluated by all teachers at the time of teachers` meeting. Second, as regards the reason for necessity of special activity, a director was found to give weight to diverse experience provision to infants while parents aimed for early discovery of an infant`s specialty and talent. With regard to the reason for unnecessity of special activity, both a director and parents were found to commonly think that it`s more reasonable for a child care teacher to take charge of general infant education as an expert in infant educ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ducational effect of special activity between a director and parents, but regarding the point to be improved, both a director and parents were found to unanimously perceive the development of special activity programs suited for differentiated infant development and interest as the prime need.

      • KCI등재

        위인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 및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희(Kim, Sun Hee),곽승주(Kwak, Se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위인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 및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실험집단 유아 18명에게 8주간 매주 2회, 총 16회의 위인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적용하고, 비교집단 유아 18명에게는 생활주제에 따른 활동을 진행한 후 집단 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위인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보다 대인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인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 보다 국가정체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처럼 역사 속 위인이 고난과 역경을 해결하고 풀어나가는 이야기 중심 교육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국가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결과를 토대로 유아역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eat human-centered storytelling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on children 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To this end, a storytelling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8 great human was applied to 18 children aged 5 years ol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a total of 16 times(twice a week), and 18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life themes. After that, the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ts ability to solve interpersonal problem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fter providing great storytelling history education. In addition,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history education of storytelling centered on great human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see that story-oriented educational activities, in which great human in history solve hardships and adversity, had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 s ability to solve problems between people and their identity to the n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we were able to lead discussions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김효진 ( Hyojin Kim ),곽승주 ( Seungju Kw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원격수업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8개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들은 원격수업을 실제 교육활동과 온라인 콘텐츠를 병행하는 쌍방향 수업으로 개념화하였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불가피하게 직면해야 하는 과제로 인식하였다. 영유아 원격수업에 적절한 자료 및 매체는 교육부 및 교육청,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라고 인식하였다. 원격수업 적정연령은 대체로 만 3세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기관유형에 따라 보다 어린 연령도 원격수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둘째,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요구는 원격-등원수업 병행에 대한 명확한 운영지침 마련 및 인적자원 지원 요구가 컸다. 희망하는 연수내용은 원격수업을 위한 적합한 교육계획ㆍ실행 및 원격수업 실제사례 교육 요구가 높았다. 본 결과를 통해 영유아 원격수업에 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원격수업이 영유아와 교사에게 보다 적절한 내용과 방법으로 실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remote learning.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22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eight c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ualized remote learning as interactive classes that combine actu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online content, and recognized them as tasks that must be faced with changes in the times. Materials and media suitable for remote learning were recognized as online content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The appropriate age for remote learning was generally recognized as appropriate for 3 years old, but it was considered that remote learning were possible even for younger ages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Second, the dema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remote learning operation was largely due to the need for clear operation guidelines and human resource support for remote-school learning parallelism. The desired training content was the high demand for appropriate education planning and execution for remote learning and actual case education for remote learning. Through th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remote learning will be implemented in a more appropriate contend and metho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by providing empirical data on remote learning for children.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반 안전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탐색

        이선영 ( Lee Sunyoung ),곽승주 ( Kwak Seungju ),김신영 ( Kim Shinyoung ),노상경 ( Roh Sang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영아안전교육에 대해 교사들이 어떤 어려움과 요구를 갖는지 분석함으로써 영아에게 보다 적절하고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아교사 13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안전교육 지도 시 교사의 어려움은 영아기가 지닌 발달적 한계로 인한 안전교육 실천의 어려움, 실생활 안전과의 괴리감, 외부평가 대비로 인한 능동적 교수 수행의 어려움, 영아안전교육 평가 체제 미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안전교육을 위한 교사 요구는 영아발달에 적합하고 다양한 수준별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영아전담 안전 체험시설 확충, 가정에서의 안전교육 병행 강화, 영아교사에게 특화된 교사교육 실시를 들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영아안전교육의 방향 및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를 이끌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more proper, effective safety education plan for an infant by inquiring into the reality of infant safety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in a daycare center, and analyzing teachers-perceived hardships and request.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the qualitative approach with focus on in-depth interviews with 13 infant teacher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eacher’s hardships in time of guidance of infant safety education were from the developmental limit of the infancy, difficulty in developing daily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 conflict as a passive teacher, and insufficiency in the evaluation system of infant safety education. Second, teachers’ requests for infant safety education include supply of diverse programs suited for infant development, expansion of dedicated safety experience facility for infants, strengthening of combination with safety education at home,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ized teacher education for infant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교사 관계 및 교사역할기대 간 관계

        신인정 ( Jeong Shin ),곽승주 ( Seungju Kw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교사 관계 및 교사 역할기대 간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0-5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4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전체 수준 및 노동ㆍ휴식권은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보육교사 관계에 있어 신뢰관계에 대한 인식이 높은데 비해 의사소통 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들은 보육교사 역할 중 상담 및 정서 지원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고,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 대한 기대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은 교사-어머니 관계 및 교사역할기대 모든 영역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현장에서의 교사-어머니 관계 개선 및 적절한 교사역할 기대에 필요한 교권이해와 부모교육의 구체적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teacher’s authority, mothers-teacher relationship, and teacher role expectations for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58 mothers with children aged 0-5. As a result, first, the overall level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teacher’s authority and the right to work and rest were high.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the perception of trusting relationship was high, but communication relationship was low. Third, mothers had the highest expectations for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among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and low expectations for research and reflective practice. Fourth, a mother’s perception of teacher’s authority toward child care teach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areas of teacher-mother relationship and teacher role expect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pecific directions of parental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rights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er-mother relationship and expect an appropriate teacher role in child care settings.

      • KCI등재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혜숙(Kim HyeSook),김주후(Kim Juhu),곽승주(Kwak Seung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논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치원에서의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공 . 사립 유치원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영아통합에 대 해 찬성보다 반대 인식을 더욱 많이 보였고, 그 이유는 영아-유아 교사의 역할수행 차이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살릴 필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교사 역할로 가장 요구되는 자질을 영아 발달특성 이해라고 인식하였고, 영아교사의 가장 중요한 능력은 영아의 감정 및 정서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이며 영아 개별요구에 민감하고 반응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교사의 자질이 영아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자격기준의 강화와 전문적 훈련, 전문지식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보통합의 맥락에서 연령통합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실태를 탐색하게 하고, 영아기 교사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 주는 결과 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eachers' understanding of infant teachers' role and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of infant care with education of kindergarten. To this end, 217 public .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more dissenting views than assenting views about the integration of infant care with kindergarten. And it was shown that this was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ant teachers-kindergarten teachers' playing a role an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own respective functions needed to be utilized.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most required quality for infant teachers' role was an understanding of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it was presumed that infant teachers should have a sensitive and responsive attitude to infant's individual needs and infant teachers' most important skill was ability to empathize with infant's emotion and affect. Third,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ood that infant teacher's quality had a very important effect on shaping infant's development. And it was shown that tightening qualification standards, professional training and professional knowledge was required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in infant teachers'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