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기 개념과 현대적 글쓰기 주체 - 네르발과 로트레아몽을 중심으로

        곽민석 ( Kwak Minseok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8

        착란이나 광기와 같이 비일상적인 것을 통해 작가나 예술가는 비정형화된 무의식의 각종 욕구와 충동을 꺼내어 예술적 영감에 의해 다른 시각과 세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기존의 의식과 관습에 고착된 사회와 규범들, 현대적 삶이 갇혀있는 일시적이고 표면적인 ‘정상성’의 경계들을 극복하고자 했을 뿐 아니라 물질적이고 외적인 삶의 우위로 현대인들이 포기해야 했던 삶과 사유의 가능성을 일탈이나 광기를 통해 끝까지 추구했던 사람들이 바로 시인이고 예술가들의 궁극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점에서 일탈과, 파괴 그리고 광기로 만들어낸 상상과 환상의 미지의 세계는 인간이 지향해야 할 자유로운 사유와 삶의 무한한 잠재성을 드러내 준다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글은 ‘광기 folie’라는 개념이 프랑스 현대시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며 나타나는지를 특히 주요 프랑스 현대시인인 네르발과 로트레아몽의 문학 세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광기는 정신병의 일종으로 간주해서 그 현상을 주로 정신 분석학이나 심리학 등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그러나 이런 병리적 관점과는 달리 창조와 상상력의 글쓰기를 지향하는 작가들에게 광기는 정신병이나 심리적 이상 현상이 아닌,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광기의 양상이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예술 세계의 창조적 세계를 구축하려고 한다. 다시 말하면, 작가 자신들의 문학-예술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정형화된 의식이나 이성으로는 넘어서지 못하는, 오히려 이성의 의도적인 반작용으로 다양한 반이성적인 광기의 모습들을 작품 속에 드러냄으로써 끊임없이 진화하는 작가 고유의 정신세계와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광기는 바로 이성과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플라톤은 예술가들의 광기 또는 착란의 형태를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선견적 광기», «신비적 광기», «시적 광기» 그리고 «사랑적 광기»가 그것인데, 19세기 많은 시인들, 특히, 네르발, 뮈세, 보들레르, 랭보 그리고 로트레아몽 같은 작가들에게 있어 이러한 광기의 양상은 깊고도 다양하게 그들의 삶과 작품세계에 투영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인 네르발이나 로트레아몽처럼 시인이 자신의 실존적 삶과 작품세계에서 드러내는 자아와 타자와의 존재론적 갈등과 내적 불안정성의 양상은 종종 광기나 착란 또는 일탈의 이미지들로 그들의 작품세계에 투영되고, 동시에 새로운 자아와 세계를 끊임없이 추구하려는 시인의 예술적 갈등과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을 위시한 문학가와 예술가들에게 광기는 단순한 병리적 현상이나 심리적 이상이 아니라, 예술적 창조를 위한 존재 자체의 위기의식을 보여주는 예술적 탈출구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문학과 예술 세계에서 광기라는 개념은 의도적이자 의식적인 창조과정이며, 바로 이러한 ‘의사 광기 (folie simulee)’ 또는 ‘유희적 광기 (folie-jeu)’라는 창조적 상상력을 통해 시인은 부단히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고 추구하는 것이다. La folie est une notion imprecise et ambiguë, puisqu'elle est en rapport complexe avec tous les niveaux de la vie humaine. Elle peut s'appliquer aux phenomènes nevrotiques, pervers et psychotiques, c'est-à-dire aux phenomènes de l'action mentale. Il y a aussi des folies collectives et individuelles. En general, on croit que la folie est un symptôme lie à la maladie mentale. Pourtant les aspects de la folie ne sont pas toujours ceux de la maladie psychique. Dans certains cas, la folie pourrait être prise pour l'autre aspect de la raison. C'est dire que la folie peut se presenter non seulement comme l'anomalie mentale, mais aussi comme la deraison de la raison. C'est pourquoi la folie peut provenir de la revolte ou du jeu de la simulation selon le cas. Autrememt dit, la folie pourrait surgir du domaine conscient. Dans son dialogue Phèdre, Platon decrit quatre formes du delire: «delire divinatoire: mania manikè - Apollon», «delire mystique: mania telestikè - Dionysos», «delire poetique: mania poiètikè - les Muses» et «delire amoureux: mania erôtikè - Eros (Aphrodite)». C’est avec ces quatres delires, surtout le delire poetique et le delire amoureux que nous avons examine les oeuvres des poètes modernes français, notamment chez les poètes comme Nerval et Lautreamont. C’est parce que sous la notion de la folie, ils montrent bien l’exploration inimaginable du monde inconnu en rapport avec la creation poetique et la quête de la nouveaute.

      • KCI등재

        현대 사회의 글쓰기 주체의 양상들 - 보들레르의 시세계를 중심으로

        곽민석 ( Kwak Minseo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9 유럽사회문화 Vol.0 No.22

        본 논문에서 우리는 현대성의 시인 보들레르가 과학과 진보 그리고 주된 공간인 대도시로 상징되는 19세기 중반 이후의 ‘모더니티’ 시대를 자신의 시 세계에서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시인은 19세기 근(현)대를 미래를 향해 가는 진보와 희망이라는 ‘낙관적 국면’으로 파악하는 대신에, 근대적 삶에 대하여 근본적인 권태, 무기력, 허무감, 슬픔 등을 내포하는 현대적 주체의 존재론적 우울과 불안 그리고 반동과 멜랑콜리라는 감정을 그의 작품 세계에서 잘 드러내고 있다. 보들레르는 그의 모더니티 개념 정의에서도 보여주듯, 현대의 대도시와 군중의 등장에 매료되면서도 동시에 자기가 살던 시대의 현대성과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갈등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여준다. 상호보완적이면서도 동시에 모순적인 시인의 이런 관점 자체가 바로 모더니티의 본질이라는 새롭고 진보적인 성찰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의 시 세계는 자본주의의 발전과 그 상징인 도시화에 따른 사회구조와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 산업과 기술 그리고 과학의 눈부신 발전과 그에 따른 무한한 낙관주의의 시대를 묘사하면서도 동시에 지식의 진보와 발전이 야기하는 실존적 위기를 넘어 현대의 대중들과 예술가들이 본질적으로 느끼는 존재의 상실을 보여주고 있다. 보들레르의 이러한 세계관은 주체, 세계 그리고 주체와 세계에 대한 시적 글쓰기를 통해 현대 세계를 재해석한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자신의 시대를 비판하고 부정하면서도, 그 시대가 내포하고 있는 진정한 현존의 가치를 파악함으로써 현대적 주체-자아가 겪는 본질적인 갈등과 모순을 깊이 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들레르의 현대성은 시인이 자신을 글쓰기의 주체이자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인간과 세상에 대한 본원적 관계를 다시금 고찰하게 만드는 문학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highlight the identity and attitude of the modern subject in the face of the modern society - the big cities and the various inhabitants - in the ‘so-called’ modern poet, Baudelaire. In the Baudelairian poetic universe, particularly in Les Fleurs du Mal, we can see the instability and revolt of the poet-subject in the face of the progress of modernity and the replacement of spiritualism by materialism, which has led modern man to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crisis of his own identity. To understand well what causes the unstable and troubled state of mind in a man like Baudelaire, we analyze the poems by accessing the essential notions: modern subject and modernity, as contemporary and essential terms used by the poet. Thus, it is clear that in his poetic universe, Baudelaire describes the various aspects, sometimes coherent, sometimes contradictory, of the modern man lost in the middle of his time, having different identities in order to overcome the existential crisis of his be. Today this modern subject is just a wanderer in the life of uncertainty. He is situated in the midst of unstable society in an increasingly vast and ambiguous circle of modern life; not only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but also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STFT와 DMD를 이용한 GH₂/GO₂ 로켓 연소기의 연소불안정성 분석

        곽민석(Minseok Kwak),Hung Truyen Luong,한희선(Hee Sun Han),손채훈(Chae Hoon Sohn),정승민(Seung-Min Jeong),최정열(Jeong-Yeol Choi) 한국연소학회 2019 한국연소학회지 Vol.24 No.4

        The post-processing analysis tools, Short Time Fourier Transform (STFT) and Dynamic Mode Decomposition (DMD) were applied to analyz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GH₂/GO₂ rocket model combustor. The STF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ressure data in the chamber to exhibit the appearance of frequency components at instant time. The STFT results indicate resonant frequencies of signal through their amplitudes. DM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planar pressure data to extract the resonant frequencies and damping coefficients of acoustic modes. The damping coefficient is a parameter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a certain pressure oscillation in a dynamic system. By combining the results of STFT and DMD, the appearance of the resonant frequencies causing unstable combustion can be determined.

      • KCI등재

        레이몽 크노 Queneau-울리포 OuLiPo 그룹과 프랑스 현대 시학

        곽민석 ( Kwak Minseok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科學 Vol.109 No.-

        Raymond Queneau, a veritable encyclopaedic spirit, is interested in all forms of knowledge, especially mathematics and language, whether literary or written, oral or spoken. Through his explorations of language and number, his writing activities are first of all inventing new structures, forms or "constraints", capable of allowing the production of original works. In this research, the import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 use of combinatorial resources are the main instruments. From there, with OuLiPo (the Potential Literary Works), he experimented with new literary structures, and elaborated numerous formal constraints, which were considered as new ways of creating literature. Their idea is to show that one can write magnificent texts while respecting very strong constraints, constraints that resemble many mathematical structures. For example, the "S + 7" method of replacing each word in a text (except for the word-tools) with the seventh following in a given dictionary. Also, Queneau`s passion and quest for language games makes us see his sincere conviction of the need for a new verbal expression based on the most contemporary popular spoken language. This is what he calls "neo-French", characterized by a syntax and a vocabulary typical of spoken language and a more or less phonetic spelling. To do this, Queneau jostles words and uses a profusion of puns, inversions, suitcases and other literary finds which, combined with the importance he gives to rhythm, give him this style so peculiar. All these attempts of Queneau are mainly aimed at creating the new writing by the new language, and then at eliminating the space of literature.

      • KCI등재

        프랑스 현대시의 위기와 변혁 - ‘시어’(詩語)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곽민석 ( Kwak Minseo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8 유럽사회문화 Vol.0 No.21

        20세기 프랑스 현대시는 새로운 시적 영역 특히 시 언어에 대한 추구를 먼저 다양한 영역과 문학과의 관계에서 추구하게 되고, 다른 학문들과 문학과의 접목을 통해 ‘문학적 구속’(contraintes litteraires)이라 불리는 이전과는 다른 인위적인 ‘문학적 법칙 또는 규칙’을 고안하여,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와 형식을 무한하게 형성하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면 끄노는 문학과 수학 영역의 관계에 관심을 집중하면서, 수학 법칙, 숫자 조합이나 집합 관계 등 수학적 이론들과 원리를 이용하여 문학에 적용을 하게 된다. 바로 이런 경향의 현대시 시어가 보여주는 다양한 시어의 층위 변화는 프랑스 현대시를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이다. 다시 말하면, 시어가 드러내는 위상과 그 변화는 바로 시간적 개념이자 공간적 개념으로서 초월적이거나 이상적인 주제의 선택이 아닌 일시적이면서 우연한 현대시 세계의 경향을 암시하고 있다. 동시에 바로 현대시의 시어가 지니는 우회적이 아닌 직접성, 즉 대상의 재현과 같은 이차적 기능을 하는 시어가 아닌 시어 그 자체가 현대시의 주된 목표이자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특징은 근본적으로 시인이나 시 세계가 다른 어떤 시적 요소보다도 스스로의 본질인 언어 요소, 즉 시어를 다시 성찰함으로써 생기는 프랑스 현대시 정체성의 위기이자 동시에 그 끊임없는 회복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시각에서 본 연구의 전체적 방향은 위에서 언급한 현대성의 개념과 그 의미 그리고 역사적 맥락 등을 정리하면서 19세기 후반에 기초를 둔 현대시의 태동과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20세기 프랑스 현대시의 다양한 시인과 그들의 시세계를 위에서 언급한 주된 개념인시어의 특징을 중심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Dans la poesie moderne, les variables formes et idees en conflit sont etroitement liees avec le statut des arts, de sorte que, inevitablement, une nouvelle theorie artistique apparait dans les art et societe en meme temps, dont l'efficacite des discours sera en processus. Ainsi, dans l’idee de processus avec lequel le travail rend compte de figuration des differents langages poetiques, le modernisme en tant que processus litteraire et perspectives revele le mouvement qui a ete recu, en meme temps en dynamique et la valeur canonisee de son importance et que, en la comparant legitimise desormais le sens de cette tradition litteraire. De ce fait, la poesie française du XXe siecle est heritiere et novatrice dans ses themes et dans sa forme, avec une nette preference pour les couplets libres, mais elle semble en declin ou du moins transferee au domaine plus incertain de la forme classique. Chez les poetes modernes, notamment du XXe siecle, les variations thematiques et les analyses globales du modernisme soulignent, en fait, les tensions litteraires, surtout poetiques auxquelles ils ont ete soumis. En verite, ces complications ont ete vecues par ceux qui ont pousse les changements complexes litteraires et culturels de la fin du XIXe et du debut du XXe siecle.

      • KCI등재

        저항과 불복종의 신화적 여성 이미지 <안티고네> - 장 콕토와 장 아누이의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

        곽민석 ( Kwak Minseo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1 유럽사회문화 Vol.- No.27

        신화는 전해지는 이야기이고 허구적이며,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가가 창조적으로 재창조할 수 있는 소재이다. 신화가 시대와 함께 변화하며 늘 새롭게 재생산되는 이유는 신화가 인간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생산하며 인간의 근본가치를 탐구하는 기능을 가졌기 때문이다. 신화에는 창조 신화, 역사신화, 문화적 신화 등이 있는데, 특히 문화적 신화는 서사구조를 통해 인간 삶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현재성을 지닌다. <안티고네> 신화가 그 문화적 신화의 한 예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안티고네 신화를 다룬 작품을 주된 분석의 대상으로 했는데, 바로 20세기 극작가인 장 콕토와 장 아누이의 안티고네 소재 작품들이 그것이다. 장 콕토의 안티고네는 소포클레스의 비극을 기본적인 플롯을 유지한 채 축약하고 이 과정을 통해 신화를 혁신적인 방식으로 다시 현대적 관점에서 되살려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소포클레스의 비극의 등장인물, 특히 안티고네 캐릭터의 비극적 의미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는 안티고네라는 인물의 존재의 이유를 잃지 않기 위해 존재의 깊이에 충실하고, 목숨을 걸고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안티고네의 기본적인 특징, 즉 운명에 복종한다는 소포클레스의 의도를 반영하면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포클레스의 희곡에서처럼 콕토는 주인공 안티고네의 마지막 모습에서 죽음 앞에 약해지는 주인공의 특징을 20세기 동시 대적 상황에 맞게 그려내고 있다. 즉, 안티고네가 자신의 반란과 이로 인한 죽음에 대해 두려움을 보여주는 인간성을 보여주면서 자존감과 동시에 자신에게 복종하는 비극적 영웅의 요소를 통해 20세기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콕토가 소포클레스의 작품에서 보인 안티고네 신화의 고전적 의미에 현대적 생명을 불어넣은 것이다. 장 아누이의 안티고네는 소포클레스의 희곡 안티고네를 보다 극적으로 변형시킨다. 즉 소포클레스의 희곡을 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 점령당했을 때 비시 정부와 자유 프랑스군 사이의 견해 충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아누이는 이를 통해 도덕적 타협의 세계에서 등장 인물, 특히 안티고네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주된 주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의 정치적 시나리오를 비유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안티고네는 이상주의자로, 크레온은 실용주의자로 묘사하며 그들의 사고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에게 타협하는 쪽에 공감하게 하면서 도덕적 타협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아누이는 도덕 측면에서 타협한다 해도 자신의 욕망과는 상관없이 상황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주장하며, 권위주의적 질서 속에서 법과 질서의 정확성과 절대성을 비판하기도 한다. 따라서 아누이는 국가와 종교간의 충성을 위한 소포클레스의 경쟁에서 초점을 이동하여 모든 것에 대한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The original Antigone, tragic play, was written by the Greek poet Sophocles, but the different playwrights, especially in France, often picked up Greek themes and rewrote them, with the aim of bringing out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s' attitudes, or by using the old theme, to give it "a modern breath, and a new spirit, often appearing in their philosophy." As everyone knows, the story of Antigone is well known and prevalent in most works of art and literature in the occidental culture. With the image of resistance and disobedience, the heroine Antigone has more than once served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many works of art, literature, music, theater and cinema. In France, ancient Greek mythology thus became an important theme of French literature of the twentieth century, as evidenced by the writings of Jean Cocteau and Jean Anouilh among other writers. First, the replicas of the heroes of the French playwright follow quite faithfully the lines of the characters of Sophocles, but they are appreciably abbreviated by the author, in particular the songs of the choir. Since Cocteau carefully adheres to the plot of ancient tragedy, it is often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he lines of modern heroes with those of ancient Greek tragedy. Next, in his play Antigone, Jean Anouilh directly expressed his inner poetic feelings through the genre of ancient Greek tragedy, exposing his thinking on people and his reflection on the value of human life. There is no other way to describe Anouilh's gaze than cynical. Destruction is the only thing that happens to those who keep the ideal or ultimately keep it. Even the noble Antigone is confused in the face of death. Creon, who is destroying Antigone, awaiting his own destruction and speaking to the choir, recalls a Greek tragedy, although it was originally a Greek tragedy.

      • KCI등재

        반상호침투 구조체 형성을 이용한 막대형 양자물질의 분산과 안정화

        리스티아나 옥타비아(Listiana Oktavia),김성진(Seong-Jin Kim),김종형(Jong Hyung Kim),박해인(Haein Park),이창환(Peter Chang-Whan Lee),곽민석(Minseok Kwak) 한국고분자학회 2016 폴리머 Vol.40 No.1

        PEO-b-PPO-b-PEO를 기본 구조로 한 F127, L64 등의 pluronic은 수용액에서 미세상분리에 의하여 자기조립하고 그 중심부에 소수성의 분자들을 담지할 수 있는 응용가능성이 높은 고분자이다. 수십 나노 미터의 길이를 가진 막대모양 나노결정인 막대형 양자물질(quantum rod; QR) 콜로이드를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담지한 뒤, 곧바로 반상호침투 구조체를 제조하여 장기간 형광 세기의 현저한 저하가 없는 안정한 유-무기 복합 나노소재를 수월하게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제조한 F127-QR-sIPN 나노구조체는 표면이 poly(ethylene oxide)(PEO)로 둘러싸여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형광특성을 가진 QR이 세포섭취됨에 따라 형광 이미징도 가능함을 보였다. Pluronics (e.g. F127 and L64) are linear triblock copolymers capable of loading hydrophobic moieties within the core of aggregates via micro-phase separation. We demonstrate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form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composites consist of quantum rod (QR) firmly encapsulated by F127. The stabilized nanoobjects are stable for a long period. Furthermore, we report that QR-IPN is promising material applicable in fluorescent cell-imaging with guaranteed biocompat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