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척도 개발 및 분석

        곽노의 ( No Ui Kwak ),임은정 ( Eun Jeong L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 부모의 인식은 올바른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부모용 척도를 개발하여 유아를 둔 부모들이 자녀에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 척도 문항은 문항의 양호도, 척도의 타당도, 신뢰도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검증하였으며 검증된 결과를 통하여 척도를 완성하였다. 첫째, 문항의 양호도를 살펴본 결과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 척도 문항 반응분포도는 평균이 4.42에서 2.77사이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1.01에서 .69까지 분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부모용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 척도문항 상.하위 집단 간 점수 차이도 모든 문항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p<.001). 따라서 본 척도를 통해 부모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을 할 때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의 차이를 변별할 수 있는 평가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내용 타당도를 위하여 전문가에게 도구의 하위영역, 내용, 적합성 등을 검토 받았다. 또한 평가 문항별 구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총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43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의 Cronbach α 계수는 α=.92로 분석되었다. 각 영역별 신뢰도는 사용동기의 적절성이 α=.83, 사용방법의 적절성이 α=.76 사회관계가 α=.69, 스마트폰이 가지는 가치에 대해 느끼는 정도가 α=.76, 사용시간의 적절성이 α=. 88, 의사소통이 α=.72 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parents, which enables the parents to verify the extent of Early Childhood`s use of smart devices and determine whether the parents has right awareness,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parents who have Early Childhood when they allow their children to use smart devices. The questions, which were related to the ``scale for parents``- developed in this study - enabling the verification of Early Childhood`s use of smart devices, were verified from the three standpoints, i.e., the soundness of questions, validity of scale, and reliability thereof, and based o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the scale was brought to comple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oundness of questions showed that the mean value ranged between 4.42 and 2.77 regarding the question response distribution of the ``scale for parents`` which enabled the verification of Early Childhood`s use of smart devices, and furthermore, the standard deviation ranged from 1.01 to .69.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was observed for all questions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scores between the upper-ranking group and lower-ranking group with respect to the ``scale for parents`` which enabled the verification of Early Childhood `s use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is is the evaluation tool all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ranking group and lower-ranking group to be distinguished when the parents look into the extent to which their Early Childhood use the smart devices through this scale. Second, the sub-area, contents, suitability, etc., of the tool were reviewed by the experts in order to validate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of the total scores was analyzed based on each question in order to look into the validity of recrui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43 questions. Third, the Cronbach α coefficient for the results in whole was found to be α=.92 when the reliability of questions was examined. The validity of scale was established, considering that the reliability for each area was found to be stable with the suitability of motivation of use standing at α=.83, the suitability of usage standing at α=.76, the suitability of social relationship standing at α=.69, the extent of value perception towards the smartphone standing at α=.76, the suitability of time spent on using the smart devices standing at α=. 88, and the suitability of communication standing at α=.72.

      • KCI등재후보

        통합형 숲유치원의 교육활동에 관한 참여관찰연구

        곽노의 ( No Ui Kwak ),김도이 ( Do I Kim ),임은정 ( Eun Jeong L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입단계에 있는 숲유치원의 정체성 확립과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 실정에맞는 숲유치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순수 숲유치원과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통합형 숲유치원의 교육활동을 참여관찰 하였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통성 있게 하루 일과를 운영하고 있다. 둘째, 교육활동은 자연의 변화를 따르며 세시풍속을 반영한다. 셋째,교육방법은 체험을 통한 통합적인 배움과 창의적 표현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넷째, 교구와 놀이도구는 자연에서 가져온다. 다섯째, 열정 있는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성장한다. 이와 같은 통합형숲유치원의 교육활동은 ① 순수 숲유치원이 아니어도 주변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연을 직접 체험하는 놀이와 활동이 가능하다. ② 생활영역을 통합한 다양한 체험과 표현활동을 돕는 놀이 및 활동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한다. ③ 아이들의 감성과 상상력, 창의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자연의 산물을 교실로 가져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④ 숲유치원 교육에 필요한 소양과 태도를 갖춘 교사양성과 계속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form of forest kindergarten fit to our country``s situa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activation of forest kindergarte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o do thi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about educational activity of integrated forest kindergarten which is operated in different way from pure forest kindergarte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go out to surrounding forest, park, or field to play in the nature everyday. Second,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integrating life category, children understand nature and shape their own life. Third, Play and activity of children was made centered on change of nature according to circulation of season. The meanings of collection of Korean folk customs were investigated. Fourth, Children brought products of nature to classroom and utilized them as a educational tool or play tool. This makes them remember experiences in the forest and foster creativity and imagination. Fifth, The most important driving force is firm belief and passion of a director and teachers of kindergarten about value and effects of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Such educational activity of integrated type forest kindergarten is: ① Although kindergarten is not pure forest kindergarten, play and activity of directly experiencing nature is possible by properly using surrounding environment. ② Play and activity programs which help various experiences and expression activity integrating life category should be studied. ③ it is necessary to help foster emot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children by seeking methods to bring products of nature to classroom. ④ This educational activit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foster teachers with refinement and attitude necessary for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with continuous training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