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KI 다중 서명 알고리즘의 연동 방법

        고혜원(Hyewon Ko),임복희(Bokhee Im),서창호(Changho seo)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Ⅲ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공개키 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하에서의 상호 인증 기술이 정보보호 기반기술의 중요요소로 논의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환경의 각종 응용분야에 대한 정보보호 서비스를 위하여 PKI 환경구축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PKI 환경구축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PKI 환경은 상호 연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 연동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서명 알고리즘의 상호 연동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국 직업훈련정책의 제도주의적 접근

        고혜원(Ko Hyewon) 서울행정학회 200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5 No.2

        This study examines Britain’s vocational training policy in the period of Blair government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itain’s unique custom of corporate voluntarism left no room for government intervention in company’s vocational training. Second, the market-principle was even more reinforced in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of the Blair government. The outcome of Britain’s vocational training policy indicated an evident weakness of low-skill equilibrium because companies were only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good enough to be used immediately in their production. From Britain’s experience, it can be implied that it is essential to foster the power of a stake-holder so that the key stake-holders of vocational training can fulfill their roles maintaining balance, and to come up with a system to guide participation in the vocational training.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와 말하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과제

        고혜원(Ko, Hyewon)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본 연구는 2014년 2학기부터 2017년까지 중앙대학교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본 센터의 성과와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글쓰기’나 ‘말하기’와 같은 의사소통 교과와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가 연계하여 학생들의 소통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본 센터의 성과를 살펴보면, 센터 설립 후 인문학 글쓰기 및 말하기 개인지도 시스템과 저부담 · 고효율 인문학 글쓰기 및 말하기 교육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또한 프레젠테이션과 발표 및 외국인 클리닉까지 영역이 확대되어 학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기대 효과를 확인하고 확산시킬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센터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의 과제가 남아있다. 먼저 양질의 상담을 위해 교강사가 튜터로 투입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첨삭이나 상담을 받는 학생들이 인문사회나 경영경제 계열처럼 특정 계열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공계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튜터링한 내용을 정리한 체계적 결과물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2018년 2학기 튜터링이 끝난 후 중앙대학교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의 미래와 비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Communication Clinic Center at Chung-Ang University and suggest the direction it might take in the future. The Communication Clinic Center of Chung-Ang University has operated since 2014. The Center performs consultations on writing as well as speak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a method of linking the Communication Clinic Center to a 〈writing〉 subject and a 〈speaking-related〉 subject at the university. In addition, by sharing the center’s accumulated achievement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operation of non-subject programs. The role of a communication clinic center at a university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as well as the university. However, this kind of project is usually connected to government projects, and therefore the very existence of a center generally depends on government funding.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enter as an independent project through efforts by and around a university and in cooperation with the university’s budget. In addition, through developing novel and truly essential programs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communication subject with a writing center, thus conducting a libe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continuously.

      • KCI등재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정책, 효율성(efficiency)인가? 형평성(equity)인가?

        고혜원 ( Ko Hyewon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4

        직업교육훈련정책은 경제정책이자 사회정책으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의 추진 이후로 본격화된 직업교육훈련정책이 첫째, 경제적 차원의 ‘효율성’ 측면에서 국가가 필요한 수준의 인력을 공급하고, 개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여 왔는지, 둘째, 사회적 차원의 ‘형평성’ 측면에서 취약계층의 참여나 사회적 이동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여 왔는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경제 및 산업구조가 단순했던 1970년대까지는 직업교육훈련이 경제개발계획과 연계하여 인력수요에 부응한 점이 확인되나 1980년대 이후 직업교육훈련은 인력수요에 부응하는 데 미흡하였다. 직업교육훈련의 성과인 취업률의 경우에도 지속적인 증가나 감소와 같은 경향성보다는 정부가 취업률을 강조한 시기에는 증가하는 등 변화가 심하였으며, 직업교육 참여자의 대학진학률도 최근에 낮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교육훈련제도 도입 초기부터 취약계층이 직업교육훈련에 주로 참여해왔고, 취약계층이 주요한 참여자로 설정되고 있음도 확인된다. 그러나 직업교육훈련 자체가 일반교육보다는 교육서열상 낮은 상황에서, 직업교육훈련을 통한 사회적 이동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된다. 향후에는 과거와 달리 중등 및 고등교육에서 학습이 종료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평생에 걸친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VE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s construed both as economic policy and social polic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VET in Korea that has been fully-fledged after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1960s on two major ways: 1. how economically (efficiency) VET supplied labor force to the country, and supported individual job-seeking process; 2. how socially (equity) it was in accomplishing the social integration and mobility. It turns out that, VET in connection with economic development plan fulfilled the labor force demand at least until 1970s, where the nation’s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was relatively monotonic. Starting 1980s, however, we found a contrasting evidence that VET was insufficient to support the labor force demand. For instance, employment rate fluctuates more to government’s agenda rather than economic trend, and college entrance rate still remains high, despite the declining trend.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have participated in VET since its inception, and this trend continues nowadays. Nonetheless, social mobility is not guaranteed through VET, as VET itself is socially regarded as inferior to general education. This points to a conclusion that those who participate in VET remain to be low at societal hierarchy, i.e. cannot climb up the ladder. All combined, we therefore argue that governmental support for lifetime VET is inevitable, as learning experience does not end in secondary or tertiary level, but extends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