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미 중심의 동사 교육 방안 연구

        고춘화(Ko Chun-hwa)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7

        In construction grammar,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conformed by argument structure and in case grammar, that of a sentence is conformed by semantic-case roles for verbs. I note that it is effective to apply argument and construction to teaching the verbs. A native speaker intuitively knows the meaning of verb but this is just ambiguous comprehension. A Korean teacher must act as a facilitator for learners.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from ambiguous comprehension to clear comprehension by various methods. These are as follows. 1. A teacher leads students to give an explanation for the meaning of verbs in a context. 2. A teacher leads student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data by presenting the data related to argument. 3. A teacher makes full use of cloze-test and constructions to upgrade the student's verbal ability. 4. Students can have many ideas on writing topics if they concretely recognize verbal phrases. Most of all, I emphasize on the need of pedagogical dialog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in the context of a real classroom.

      • KCI등재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의식``의 개념화 및 해석을 통해 교육적 실현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국어 의식``은 화자의 국어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태도라는 일반적 의미에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 작용을 강조하는 언어 인식의 의미가 융합되어 개념화되었다. ``국어 의식``은 문법 교육에서 인지적 가치와 정의적 가치를 연계·통합하는 지점으로 작용한다. ``국어 의식``은 언어에 대한 호기심과 민감성 촉진,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와 탐구, 화자 자신의 국어 의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메타적 인식, 국어에 대한 가치와 얼의 형성에 이어지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이는 문법 교육의 이상적 학습자의 모습을 상정한다. 기존 연구와 문법 교육과정의 검토를 통해 ``국어 의식``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였다. 1.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언어 자체, 즉 ``국어``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2. 개인의 국어사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언어 메타 의식과 논리적 사고 3. ``국어``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 얼의 형성 문법 교육과정에서 ``국어 의식``은 단어의 형성과 국어사 관련 내용 기준에서 명시되어 제시되었다. 단어의 형성 부분은 새로운 말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에서의 국어 의식의 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국어사 관련 내용에서는 국어의 역사, 특히 국어 수호의 역사와 선인들의 국어 연구 및 수호 활동을 통해 정의적 측면에서의 가치(얼)를 형성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어 의식``을 중층적 구조로 해석할 때 교육적 가치를 따져 기준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올바른 ``국어 의식``의 형성은 국어를 통한 민족의 ``얼``을 형성하고 국어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이는 문법 교육의 한 지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 for educational realization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Through reviewing existing study and grammar education process, a meaning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 1. Curiosity and inquiry spirit about language itself which is human essential characteristic, that is, ``national language`` 2. Reflective study about use of national language by individual : language meta consciousness and logical thinking 3. Attitude and view of value about ``national language`` : formation of spirit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grammar,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learly shown and suggested on formation of words and criteria of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Part of formation of words emphasizes 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gnitive aspect through exploration of formation process of new words. The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focuses on formation of spirit in the emotional aspect through histor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history of guarding Korean languag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activity to guard Korean language by predecessors. When interpreting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s twofold struc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based on educational value and to logically organize educational process. For qualitativ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properly include value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to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language unit. Formation of righ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forms ``spirit`` of national people through Korean language and becomes basis of creating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is could be a goal for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문법 교육과 비속어 교육

        고춘화(Ko, Chun-hwa) 국어교육학회 2015 국어교육연구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design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of slang education. Slang is an aggressive language expression. Although slang is originated from human minds pursuing novelty, intimacy, and power among relationships, this has been the mean to express bad judgement, negative emotion, and aggression against the party of conversation. While the use of Teenager’s everyday slang has reached a very serious level, the school prohibits students from speaking slangs under the name of ethical normative value. It is not an education action to simply impose a ban on using slangs. Therefore, we need to design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of slang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of slang are designed in the level of metalinguistic awarenes. Metalinguistic awareness involves a learner’s attention on language and the spirit of inquiry of the language. These contents are composed of understanding of the typical semantic function of slang, the analysis of slang use, inquiry learning context and intention of slang, replacing slang with the basic vocabular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eaceful and amicable teenager’s language culture by raising learner’s language awareness of the use and function of slang in their daily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의 언어정체성과 문법 교육의 역할

        고춘화(Ko, Chun-hwa) 국어교육학회 2016 국어교육연구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anguage identity in Korean education. Language is a part of one’s identity. Each country has its own language, cultural identity, and unique history. This fact seems to be more self-eviden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n the other countries. This article takes a stand on a view point that defines Korean as them other tongue. The Korean language identity has been in the crisis due to the superiority of English.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learner’s language identity should be recovered by grammar education. Language ident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values and affective factors of the language. Korea is the nation with a single language, Korean. Korean has been changed to an official language from the national language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s of language identity in the grammar education have been composed of language awareness, language attitude, and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identity can facilitate the learners to have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attitude. Language in the Korean education must be qualified as the identity of a native language, and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language identity of native speakers.

      • KCI등재

        문법 지식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설계

        고춘화(Ko, Chun-hwa) 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4

        이 연구는 문법 지식의 개념적 이해를 설계하여 정통적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법 지식의 개념적 렌즈(변이, 전형성 등)를 추출한 후 교육내용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법 지식은 국어에 대한 탐구와 해석이 녹아있는 개념의 구조체이다. 이해 중심문법 교육의 가능성을 문법 지식과 개념에 대한 기존 논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문법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는 언어에 대한 사실적 정보들을 서로 연결하고 일정한 틀을 파악하여 스스로 앎을 구성할 수 있다. 문법 지식의 본원적 가치는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에서 실현된다. 문법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전이가 높은 지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개념적 렌즈’를 활용하여 문법의 개념적 렌즈를 추출, 적용하였다. ‘변이’와 ‘전형성’은 인간이 언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법 현상에 대해 통찰할 수 있게 하는 추상적 개념이다. ‘변이’를 통해 형태소의미 관련 지식을, ‘전형성’을 통해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관련 지식을 개념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문법 지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는 고차적인 사고와 함께 이루어진다. 마치 드릴로 땅을 깊게 파는 것이 넓게 파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듯 문법 지식의 제대로 된 이해는 학습자의 지적 능력을 강화하고 확장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design conceptual grammar education by utiliz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increase the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grammar knowledge. Grammar knowledge is a structure of concepts that contains explor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n grammar knowledge. By hav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learners can connect factual information about language to each other, grasp a specific framework, and organize knowledge on their own. The original value of grammar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learner’s conceptual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learner’s deep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and transfer price, concept lens of grammar was extracted using the conceptual lens of concept-based curriculum and organized into contents of education . Variety and Typical are abstract concepts that enable humans to gain insight in to the grammatical phenomena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orld through language. A deep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accompanies high-level thinking. Just as drilling deep in to the ground naturally leads to making the ground dig widespread, a proper understanding of grammatical knowledge will strengthen, expand and sustain the learner’s intellectual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사고력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 -명사의 의미 기능과 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이 글은 문법 교육의 성격을 `언어`의 본질에서 찾고 학습자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안을 명사를 중심으로 설계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문법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서 `사고하는 문법`, `잘 사고하는 인간`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문법 지식 자체에서 `사고의 방법`을 찾아 그 내용을 문법의 `사고적 기능`이라 정의한 후 문법 교육 방안을 구상해 보았다. 우선 `명사`의 의미 특성 자체에서 `범주화, 개념화, 추상화, 관계성`의 사고작용을 도출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실행방법을 제시하였다. 보통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 형식명사 자체의 본질적 특성과 의미기능을 학습자의 사고과정과 연관시켜 교육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분류, 구별, 분석, 추상화, 해석 등과 관련시켜 제시하였다. 즉 의미와 기능, 사고를 통합하여 명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명사`를 학습하는 자체가 사고하는 문법의 본질인 동시에 사고하는 문법의 교수학습방안이 될 수 있도록 일관된 설계를 추구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명사 교육 방안은 한국어의 특질을 제대로 살펴 교육문법의 내용으로 적극 도입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문법 교육에서도 문법적 사고력의 신장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문법적 사고는 문법의 사고적 기능을 밝혀 재정립시키는 것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사고 문법으로서의 성격을 띤 교육문법의 구축을 위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sign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noun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thinking in perceiv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knowledge from the essence of language itself. This research set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thinking grammar`-improving leaner`s thinking ability and `a human with logical thinking ability`. I draw thinking methods out of grammar knowledge itself and research teaching methods about them. First, I conduct thinking processes from speaker`s cognition about the world such as categorization, conceptualization, abstraction, and relation, and suggest some practical ways focusing on semantic functions of nouns to apply it to a real classroom. I make up the contents of teaching based o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ouns including common, proper, abstract, and form nouns. I also propose teaching methods related to classification, distinction, analysis, abstraction and interpretation to teach effectively the contents of teaching. In conclusion, I try to grope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noun education by integrating semantic functions with thinking. I intend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pedagogical grammar to a real Korean class. If so, the contents of teaching must be designed for developing grammatical thinking in pedagogical grammar. Grammatical thinking should verify thinking function of grammar.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to construct pedagogical grammar as thinking grammar.

      • KCI등재

        교육내용으로서의 국어적 사고 범주 설계

        고춘화(Ko, Chun-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09 문화와 융합 Vol.3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the category of Korean verbal thoughts and to develop the content of a Korean curriculum based on the Korean verbal thoughts. The process of the Korean verbal thoughtsis similar with the understanding of texts and producing them. The content of a Korean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by the Korean verbal thoughts. The process of the Korean verbal thoughts is critical and constructive process for the texts and meaningful knowledges. I set up a thinking-oriented axis and thinkers consciousness axis for the standard for the category of thinking. The horizontal axis means factual, reason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the vertical axis means basic, complex, meta-cognitive and self-controlled thinking. By integrating the Korean verbal thoughts with the conten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Korean educational productivity and significance will become more meaning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